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재감염 및 60대 이상 환자비중 증가 따른 주의당부(8.16.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8-16
  • 최종수정일2022-09-13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11





재감염 및 60대 이상 환자비중 증가에 따른 주의당부

- 백신접종 통한 재감염 위험 및 치명률 감소효과 명확 -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21,836명(전주 대비 25.2%↑)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450명, 사망자 330명

 ○ 주간(7.31.~8.6.)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6.11%로 전주(5.43%) 대비 증가

 ○ 재감염은 백신 미접종자에게 위험 높아 예정 따른 백신접종 당부


□ 오미크론 유행시기 60세 이상 코로나19 사망자 추이 분석

 ○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 증가(8월2주 21.7%)

 ○ 오미크론 유행시기 60세 이상 치명률은 감소중이나, 60세 이상 사망자 수는 최근 확진자 증가와 함께 7월부터 증가세


□ 고위험군 일상방역 수칙 당부

 ○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일상 속에서 방역 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하고 가능한 외부 접촉을 최소화할 필요


□ 고위험군 확진자는 먹는 치료제 조기 투약이 중증 예방에 중요

 ○ 방역당국은 먹는 치료제의 충분한 물량 확보 및 처방·조제기관 확대, 의약품 관련 충분한 정보제공 등으로 의료진의 적극 처방을 지원


□ 백신 안전성 위원회 연구결과에 따른 보상위원회 개최

 ○ 빈발월경 및 출혈 이상자궁출혈 발생 위험이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으며 인과관계가 있음을 수용할 수준이라고 발표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8월2주 코로나19 주간 확진자가 전주 대비 25.2% 증가하여 일평균 12.1만 명 대 발생하였다고 밝혔다.


   * (7월3주) 42.4만 명 →(7월4주) 55.6만 명 →(8월1주) 68.1만 명 →(8월2주) 85.2만 명


 ○ 8월 2주(8.7.~8.13.) 주간 확진자 수는 852,854명,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21,836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18로 지난 주 1.14 대비 0.04 증가하였으며 7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64

(6.19.~6.25.)

65

(6.26.~7.2.)

71

(7.3.~7.9.)

72

(7.10.~7.16.)

73

(7.17.~7.23.)

74

(7.24.~7.30.)

81

(7.31.~8.6.)

82

(8.7.~8.13.)

확진자수()

49,368

59,815

111,840

229,988

424,786

556,337

681,197

852,854

일 평균 확진자()

7,053

8,545

15,977

32,855

60,684

79,477

97,314

121,836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3.7

16.5

30.9

63.6

117.5

153.9

188.5

235.9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9

1.2

1.9

2.1

1.8

1.3

1.2

1.3

감염재생산지수(Rt)

0.91

1.05

1.40

1.58

1.54

1.29

1.14

1.18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고, 60대 이상 고위험군의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 발생률은 여전히  20-29세(298.9명), 30-39세(266.0명)의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감염취약시설 발생과 집단 발생(7월1주 32건→8월 1주 122건) 증가 추세와 3차 접종 후 시간 경과 등 영향으로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와 비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 : (7월3주) 60,904명 → (7월4주) 94,733명 →  (8월1주) 137,395명→  (8월2주) 184,794명

    ** 60세 이상 비율 : (7월3주) 14.3% → (7월4주) 17.0% → (8월1주) 20.2% → (8월2주) 21.7%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74

81

82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556,337

(100.0)

153.9

681,197

(100.0)

188.5

852,854

(100.0)

235.9

21,236,355

(100.0)

41,125

성별

남성

256,301

(46.1)

142.2

312,944

(45.9)

173.6

393,024

(46.1)

218.1

9,960,170

(46.9)

38,685

여성

300,036

(53.9)

165.5

368,253

(54.1)

203.2

459,830

(53.9)

253.7

11,276,185

(53.1)

43,551

연령별

0-9

48,966

(8.8)

186.0

54,062

(7.9)

205.4

68,084

(8.0)

258.7

2,437,423

(11.5)

64,819

10-19

68,881

(12.4)

209.0

69,181

(10.2)

209.9

83,178

(9.8)

252.3

2,749,265

(12.9)

58,379

20-29

98,833

(17.8)

212.1

115,174

(16.9)

247.2

139,260

(16.3)

298.9

3,183,609

(15.0)

47,831

30-39

85,055

(15.3)

180.7

102,167

(15.0)

217.1

125,171

(14.7)

266.0

3,133,626

(14.8)

46,608

40-49

85,776

(15.4)

150.0

104,532

(15.3)

182.9

126,601

(14.8)

221.5

3,267,208

(15.4)

40,006

50-59

74,093

(13.3)

122.6

98,686

(14.5)

163.3

125,766

(14.7)

208.1

2,661,964

(12.5)

30,827

60-69

53,875

(9.7)

107.4

76,721

(11.3)

153.0

101,108

(11.9)

201.6

2,156,533

(10.2)

30,099

70-79

27,086

(4.9)

104.2

39,587

(5.8)

152.2

54,387

(6.4)

209.1

1,032,485

(4.9)

27,792

80세이상

13,772

(2.5)

93.3

21,087

(3.1)

142.9

29,299

(3.4)

198.6

614,242

(2.9)

29,139





□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8월 2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450명으로 전주 대비 38.9% 증가하였고, 사망자는 330명으로 전주 대비 57.9% 증가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7월 4주) 239명 → (8월 1주) 324명 → (8월 2주) 450명

  ** 주간 사망자 수 : (7월 4주) 172명 → (8월 1주) 209명 → (8월 2주) 330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 ’22년 8월 13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9.5명(치명률 0.12%)이다.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713.1명(치명률 2.4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8.5명(치명률 0.58%), 60대는 42.0명(치명률 0.14%)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8월 2주 사망자의 91.8%(303명)가 60대 이상이었으며, 세부적으로는 80대 이상이 62.1%(205명), 70대가 21.8%(72명), 60대가 7.9%(26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주간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34.0%(103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2%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3차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2%, ‘2차 접종후 확진군’도 69.7% 낮다.


  - 특히 60대에서는 중증위험 감소효과가 3차 97.2%, 2차 73.3%로 전체 연령군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




□ 국외 발생은 ’22년 31주차(8.1.∼8.7.)에  705만명(WHO기준)으로 전주 대비 3.6% 증가하고 사망은 7.8% 감소하였다.


   * 전 세계: (31주) 확진 7,052,858명(3.6%), 사망 14,721명(-7.8%)



 ○ BA.5형 변이 우세화 이후 독일, 영국, 뉴질랜드에서는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나, 최근 BA.5형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일본에서는 발생이 지속 증가하고 있는 양상이다. 


   * (독일)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 최근 3주 감소, 사망자 수도 감소세 지속

  ** (영국) BA.5형 변이가 우세화하며 발생 최근 4주 연속 감소, 사망자 수도 최근 2주 감소

   *** (뉴질랜드)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 최근 4주 연속 감소, 사망자 수는 증가에서 최근 감소

   **** (일본)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 최근 7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도 최근 4주 연속 증가 




□ 전국 중환자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주 대비 모두 증가하였고, 특히 수도권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이 7주 연속 증가하여 60%대로 증가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8.1주 → 8.2주): (전국) 35.3% → 43.0%, (수도권) 36.2% → 44.2%, (비수도권) 33.5% → 40.6%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8.1주 → 8.2주): (전국) 54.3% → 60.4%, (수도권) 58.9% → 65.2%, (비수도권) 44.5% → 50.6%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향후 코로나19 유행 예측에 대하여 모델링 전문가들은 최근 유행 상황을 반영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8.11. 기준).



 ○ 이번 유행의 정점은 8월 중 일평균 20만명 전후로 형성될 가능성이 제시되어, 기존 예측대로 유행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위중증 환자는 9월 초 최대 800~900명 재원, 일 사망자는 최대 100~140명까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유행 예측은 향후 변이 검출률 변화, 방역 정책 조정 등 외부 요인에 의해 변동 가능




□ 8월 2주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는 위중증·사망 증가,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 및 비중 지속 증가, 중환자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지속 증가로, 비수도권의 병상 부담을 고려 전국, 수도권 및 ‘중간’, 비수도권 ‘높음’으로 평가하였다.



<8월 2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4

5

6

7

8

3

(4.17.~)

4

(4.24.~)

1

(5.1.~)

2

(5.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4

(6.19.~)

5

(6.26.~)

1

(7.3.~)

2

(7.10.~)

3

(7.17.~)

4

(7.24.~)

1

(7.31.~)

2

(8.7.~)

전국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수도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비수도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높음

높음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 참고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8.13.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8월2주 100.0%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1.6%(-2.6%), BA.2는 1.5%(-0.8%), BA.5*는 87.9 %(+11.6%)로 확인되었다. 

   * (8월1주→8월2주) BA.5 국내감염 75.2% → 91.5%, BA.5 해외유입 78.7% → 80.4%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8.13.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형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BA.4

BA.5

전체

73

100.0

6.5

7.7

3.1

4.1

56.3

74

100.0

3.5

5.0

2.8

2.7

66.8

81

100.0

2.3

4.2

1.5

2.6

76.3

82

100.0

1.5

1.6

0.7

1.0

87.9

국내감염

73

100.0

8.0

11.8

1.9

2.5

49.1

74

100.0

2.9

7.1

2.6

0.9

60.9

81

100.0

3.0

6.0

1.6

1.6

75.2

82

100.0

1.3

2.1

0.7

0.6

91.5

해외유입

73

100.0

4.3

1.5

5.8

7.7

73.3

74

100.0

4.5

1.9

3.2

6.5

79.4

81

100.0

1.3

1.5

1.4

5.0

78.7

82

100.0

1.7

0.7

0.7

1.8

80.4


  * 유전체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별도 산출된 통계자료임



  - 오미크론 BA.2.12.1 18건(국내 12건, 해외유입 6건), BA.4 26건(국내 11건, 해외유입 15건), BA.5 2,240건(국내 1,577건, 해외유입 663건), BA.2.75 31건(국내 6, 해외유입 25건)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 (누적) BA.2.12.1 670건, BA.4 350건, BA.5 7,156건, BA.2.75 55건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주간(7.31.~8.6.)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6.11%로 전주(5.43%) 대비 증가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 (7월1주) 2.87, (7월2주) 3.71, (7월3주) 6.59, (7월4주) 5.43


 ○ (발생현황) ’22.8.7.0시 기준, 확진자 18,107,983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83,617명, 발생률* 0.91% 확인


   * (7월2주)86,092명(0.464%), (7월3주)113,766명(0.600%), (7월4주)142,732명(0.790%), (8월1주)183,617명(0.910%)





□  방역당국은 유행 확산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방역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무엇보다 국민 개개인의 방역수칙 준수가 중요한 만큼, 생활 속에서 방역수칙을 자율적으로 준수하고 건강관리에 신경써주실 것을 당부하였다. 



 ○ 해외여행 후 입국 시 입국 절차의 편의 및 공항 내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검역정보 사전입력시스템(Q-CODE)*를 적극 이용하여 주시고,


     * 입국자가 웹 상으로 입국 전 검역 정보를 미리 입력‧신고하고, 입국 시 QR코드 스캔을 통해 검역을 실시하는 시스템 

  - 입국자는 입국 후 1일 이내 반드시 PCR 검사를 실시하고, 음성확인 시까지 자택 대기하여야 한다.



 ○ 버스·철도, 여객선·터미널 및 영화관 등에서 취식 시 간단한 식·음료 위주로 섭취하면서 마스크를 벗는 시간은 가능한 짧게 하고, 섭취 전·후로 마스크를 상시 착용한다.



 ○ 휴가 중 또는 휴가 전후 증상이 발현되거나 유증상자와 밀접접촉 시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신속한 대면·비대면 진료*를 통해 조기 치료를 받을 것을 권고한다. 


     * (대면) 코로나19 검사, 먹는 치료제 처방, 확진자 대면진료까지 통합 수행하는 원스톱 의료기관(9.,926개소, 8.14. 기준)

       (비대면)의료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야간과 휴일 등 비대면 진료가 가능한 의료상담센터 지속 운영 중(173개소, 8.15. 기준)


  - 포털사이트(네이버, 카카오)를 통해 대면 진료가 가능한 호흡기환자진료센터(원스톱 진료기관)*을 안내하며, 어르신들이 쉽게 찾으실 수 있도록 PCR 검사 후 지역 의료기관 명단을 담은 안내문**을 배포하고 있다.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 원스톱 진료기관 명단, 24시간 운영하는 의료상담센터 명단, 검사 후 주의사항 안내 등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집중호우로 인한 이재민 임시대피시설의 집단감염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와 함께 방역상황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였다.



 ○ 이재민 주거시설 운영 시 확진자 발생 대응을 위해 보건소 전담인력을 지정하는 한편, 자가진단키트 등 방역물품 지원하고 소독 강화 등 방역 조치를 실시하고 있다.



 ○ 확진자 발생 시 격리 가능한 민간 숙박시설에 즉시 격리 및 이송하고,


  - 특히 고위험군의 경우, 증상에 따라 치료제를 즉시 처방하거나 병상 배정을 통해 건강 피해를 최소화할 예정이다.



 ○ 이재민 임시대피시설 내 거주 시 밀집환경으로 인한 코로나19 등 감염병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생활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하였다.







 2. 오미크론 유행시기 60세 이상 사망자 추이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 청장)는 코로나19 오미크론 유행시기의 60세이상 사망자 추이를 발표하였다. 


]

 ○ 오미크론 유행시기(’22년 1월4주 이후) 60세 이상의 코로나19 치명률은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사망자 수는 지난 3월 3주 이후 확진자 감소에 따라 지속 감소세 중 6월 말 확진자가 다시 증가하면서 7월부터 사망자도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 60세 이상 치명률(%): ’22년1월1주 4.54% → 3월4주 0.50% → 6월3주 0.33% → 7월4주 0.15%

  ** 60세 이상 사망자: ’22년1월1주 341명 → 3월4주 2,387명 → 6월3주 69명 → 7월4주 158명  → 8월2주 303명 


<그림> 60세 이상 확진자 및 치명률 추이(’22.8.13 기준, 확진일 기준) >

* 확진일 기준,확진자 모니터링 결과 사망환자를 집계하므로 모니터링 기간 고려 2주전 확진자까지 산출(22.8.13 기준)



<그림> 60세 이상 확진자 및 사망자 추이(’22.8.13 기준, 집계일 기준)



<그림> 60세 이상 확진자 및 치명률 추이


<그림> 60세 이상 확진자 및 사망자 추이




○ 최근 6개월간 60세 이상 코로나19 사망자의 예방접종률을 살펴보면, 60세 이상 전체인구에서는 미접종자 및 1차접종자가 4.1%이나, 사망자에서는 미접종 및 1차접종자가 41.3%를 차지하였다. 


<그림> ’22.2월1주 ~ 8월2주 60세 이상 사망자의 예방접종률





 3. 고위험군 일상방역 수칙 당부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60세 이상 연령층 등 고위험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역 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은 감염에 따른 중증·사망 위험이 큰 만큼 일상 속에서 방역 수칙을 더욱 철저히 준수하고 가능한 외부 접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고위험군 일상 방역 수칙 ]


(1) 꼭 필요하지 않은 외출이나 만남은 자제하기


(2) 불가피한 외출 시에도 보건용 마스크(KF80, KF94)를 항상 착용하고,사람이 많거나, 밀폐된 장소 방문은 최대한 피하기


(3) 코로나19 증상 발생 시 신속히 진료받고,의사 처방에 따라 먹는 치료제 복용 등 치료받기


(4) 코로나19 예방접종, 손 씻기, 주기적 환기 등 기본 수칙 준수하기



 ○ 또한 고위험군과 함께 거주하는 사람이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집 안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고, 고위험군과의 대화와 식사를 최소화할 것을 권고하였다.



 ○ 의료기관에서도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 확진자에 대해서는 먹는 치료제의 신속한 처방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 아울러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번 여름철 휴가를 다녀온 분들에 대해서도 복귀 후 열이 나거나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가까운 호흡기환자진료센터*에서 신속히 진료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포털사이트(네이버, 카카오)와 생활안전지도(행안부) 등에서 신속검사와 처방을 위한 호흡기환자진료센터(원스톱 진료기관) 검색 가능



 ○ 특히 코로나19는 증상이 가벼운 초기에도 타인에게 전파 가능한 만큼, 음성인 경우에도 증상이 있으면 외출을 자제하고, 다른 사람 접촉을 최소화할 것을 강조하였다.





 4. 요양병원·시설 환자 등 고위험군 대상 코로나19 적극처방 당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의 처방·조제기관 확대 및 수급·공급계획 등을 알리며 코로나19 고위험군의 중증 예방을 위해서 감염 초기 먹는 치료제 적극 처방 고려를 당부하였다.




□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첫째 주 60세 이상 코로나19 확진자 대상 먹는 치료제 처방 건수는 25,687건으로, 그 전 주(16,082건)에 비해 50%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 하지만 60세 이상 확진자 수 대비 처방률은 1.7% 상승한 18.7%에 머무른 것으로 확인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처방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  특히, 요양병원 입원 환자와 요양시설 입소 환자 등 60세 이상 고위험군에게는 코로나19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 투약이 중증화 위험도를 63%까지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의 보다 적극적인 처방을 지원하기 위해 처방기관 확대, 의료진 대상 의약품 정보 추가제공, 맞춤형 가이드라인 제작, 상시 교육, 홍보 등 여러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 우선, 함께 먹으면 안되는 의약품이 최소 23종에 달하는 등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처방 제한사항, 신약 우려, 처방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해 의료진이 처방을 쉽게 내리기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 먹는 치료제를 다수 처방하고 임상적 효과를 경험한 의료진이 직접 참여해, 처방 경험이 없는 의료진의 눈높이에서 ‘처방대상별 기준’, ‘병용금기 의약품 대응’ 등 ‘의료 현장형 처방가이드라인’을 ‘대한의사협회’와 공동으로 제작 중이며,


  - 먹는 치료제 처방 경험 및 처방 관련 교육 영상을 제작 및 온라인 상에 게재*하여,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게 조치하였다.  

     * 질병관리청 공식 유튜브 채널 ‘아프지마TV’에서 확인 가능 



 ○ 또한, 팍스로비드의 복용이 제한되거나 금기되는 환자들에게는 대체 약제인 라게브리오의 처방을 적극 권고하고, 특히 요양병원·시설 등의 연하곤란 환자에 대해서는 라게브리오를 현택액 형태로 투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 최근 호주 및 대만에서 캡슐을 삼킬 수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진의 판단하에 라게브리오 현탁액을 활용(4캡슐 분말을 물 40ml에 희석)하는 국외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임상전문가의 검토가 진행 중.




□  한편,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처방·조제기관 확대와 함께 먹는 치료제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하도록 8월 초에 94.2만 명분(팍스로비드 80만, 라게브리오 14.2만)에 대한 추가구매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 특히 팍스로비드 처방불가 환자 등에 대한 라게브리오 처방소요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8~9월 중 라게브리오 14.2만 명분을 우선적으로 국내 도입할 예정이다.



 ○ 아울러, 진료과목에 관계없이 외래처방이 가능한 병원급 의료기관의 확대를 추진하고, 조제 가능한 담당약국을 기존 1,082개소에서 2,175개소까지 확대하는 등 환자가 보다 쉽게 처방·조제 받을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하고 있다.




□ 백경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요양병원·시설 환자 등 고위험군에 대한 다양한 방면에서의 적극적인 처방 대책이 필요하며, 



 ○ 요양병원·시설 환자를 대상으로 먹는 치료제 처방 현황을 주기적으로 점검하는 등 적극 처방을 계속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 또한 의료기관에는 “제공되는 정보 등을 참고하여, 특히 고위험군의 확진 초기에 보다 적극적인 처방을 고려한는 등 중증 진행 예방에 힘써 줄 것”을 당부하였다.






 5. 백신안전성위원회 연구 결과에 따른 보상위원회 개최 안내



□ 코로나19백신안전성위원회*(위원장 박병주, 이하 ‘안전성위원회’)가 지난 8.11일 제4차 포럼을 통해 국내외 자료 분석 결과 등을 발표함에 따라, 

    * 코로나19 예방접종-이상반응 간 인과성 평가 강화 및 독립적인 연구·조사를 위해 대한민국의학한림원 내에 발족·운영 중(’21.11.12.∼)이며, 보상위원회는 안전성위원회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지난 3월과 5월에 심근염·심낭염에 대해 인과성을 인정하였음



 ○ 오늘 예방접종피해보상 전문위원회*(위원장: 서은숙, 이하 ‘보상위원회’)는 제15차 보상위원회를 열고 안전성위원회가 발표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상 및 지원 대상 질환에 대해 심의할 예정이다. 

   * 임상의사, 법의학자, 감염병·면역학·미생물학 전문가, 변호사 및 시민단체(소비자 단체)가 추천한 전문가 등 15명으로 구성



 ○ 특히, 안전성위원회는 빈발월경 및 출혈 이상자궁출혈 발생 위험이 코로나19 예방접종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으며 인과관계가 있음을 수용할 수준이라고 발표하였으며, 


   - 아울러, 심부정맥혈전증 등 혈전 관련 질환, 대뇌정맥동혈전증 등은 과잉진단의 가능성, 진단의 정확성 등을 고려하여 세부 분석이 요구되어 추가 분석 후 결과를 도출할 예정임을 발표하였다 



 ○ 보상위원회가 빈발월경 및 출혈 이상자궁출혈을 보상 또는 지원 대상 질환으로 결정하는 경우 보도자료 등을 통해 즉시 안내할 예정이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향후전망 (8.11 기준)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8.6. 기준)

        5.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BA.2.75) 인구학적·역학적 특성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7.24. 0시 기준)

        8.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8.7.0시 기준)

        9. 주요 집단발생 현황

        10.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위원회 발표 자료 요약(8.11)

        11.「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처방률 제고 방안 (22.8.12. 기준)

        12.「코로나19 먹는 치료제」시·도별 60대 이상 주간 투여 현황

        13.「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