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신규 발생 최근 13주간 지속 감소 (6.21.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2-06-21
  • 최종수정일2022-06-22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신규 발생 최근 13주간 지속 감소


- 신규 위중증 환자 수 및 사망자 수 전주 대비 각각 19.4%, 32.7% 감소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7,491명(전주 대비 18.4%↓)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50명, 사망자 76명

 ○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낮음’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이 3월 3주 이후 최근 13주간 지속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3월3주) 283.2만 명 → (4월3주) 61.7만 명→(5월3주) 18.1만 명→(6월3주) 5.2만 명


 ○ 6월 3주(6.12.~6.18.) 주간 확진자 수는 52,435명, 주간 일평균 7,491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18.4% 감소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86으로 12주 연속 1미만을 유지하였다.



<그림>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1.11.1.~’22.6.18.)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44

(4.24.~4.30.)

51

(5.1.~5.7.)

52

(5.8.~5.14.)

53

(5.15~5.21.)

54

(5.22~5.28.)

61

(5.29.~6.4.)

62

(6.5.~6.11.)

63

(6.12.~6.18.)

확진자수()

407,449

266,581

252,372

181,857

129,320

86,217

64,285

52,435

일 평균 확진자()

58,207

38,083

36,053

25,980

18,474

12,317

9,184

7,491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12.7

73.7

69.8

50.3

35.8

23.9

17.8

14.5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66

0.65

0.95

0.72

0.71

0.67

0.75

0.82

감염재생산지수(Rt)

0.74

0.72

0.90

0.83

0.81

0.74

0.79

0.86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며,


   - 20-29세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발생률(23.3명)을 보이고, 전체 발생 중 비중은 20-29세(20.7%), 30-39세(15.4%), 40-49세(14.5%) 순으로 나타났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줄었으나 발생 비중은 소폭 증가하고 있다.


   * 60세 이상 비율 : (5월4주) 17.0% → (6월1주) 15.4% → (6월2주) 15.0% → (6월3주) 15.6%

    ** 60세 이상 확진자수 : (5월4주) 21,974명  →  (6월1주) 13,287명 →  (6월2주) 9,652명 →  (6월3주) 8,181명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61

62

63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86,217

(100.0)

23.9

64,285

(100.0)

17.8

52,435

(100.0)

14.5

18,270,481

(100.0)

35,381

성별

남성

40,931

(47.5)

22.7

31,347

(48.8)

17.4

25,930

(49.5)

14.4

8,589,824

(47.0)

33,363

여성

45,286

(52.5)

25.0

32,938

(51.2)

18.2

26,505

(50.5)

14.6

9,680,657

(53.0)

37,388

연령별

0-9

7,215

(8.4)

27.4

5,088

(7.9)

19.3

4,443

(8.5)

16.9

2,188,866

(12.0)

58,209

10-19

11,485

(13.3)

34.8

8,250

(12.8)

25.0

6,522

(12.4)

19.8

2,392,951

(13.1)

50,813

20-29

18,698

(21.7)

40.1

14,454

(22.5)

31.0

10,876

(20.7)

23.3

2,661,776

(14.6)

39,991

30-39

12,501

(14.5)

26.6

9,508

(14.8)

20.2

8,060

(15.4)

17.1

2,686,718

(14.7)

39,960

40-49

12,218

(14.2)

21.4

9,197

(14.3)

16.1

7,605

(14.5)

13.3

2,819,364

(15.4)

34,522

50-59

10,813

(12.5)

17.9

8,136

(12.7)

13.5

6,748

(12.9)

11.2

2,255,696

(12.3)

26,122

60-69

7,684

(8.9)

15.3

5,630

(8.8)

11.2

4,759

(9.1)

9.5

1,852,359

(10.1)

25,854

70-79

3,506

(4.1)

13.5

2,550

(4.0)

9.8

2,271

(4.3)

8.7

878,624

(4.8)

23,650

80세이상

2,097

(2.4)

14.2

1,472

(2.3)

10.0

1,151

(2.2)

7.8

534,127

(2.9)

25,338





□  6월 3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50명으로 전주 대비 19.4%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76명으로 전주 대비 32.7% 감소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6월 1주) 103명 → (6월 2주) 62명 → (6월 3주) 50명

  ** 주간 사망자 수 : (6월 1주) 99명 → (6월 2주) 113명 → (6월 3주) 76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6.18. 0시 기준)





 ○ ’22년  6월 17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7.3명(치명률 0.13%)이며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81.8명(치명률 2.6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1.5명(치명률 0.64%), 60대는 40.4명(치명률 0.16%)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6.17.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6월 3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0.8%(69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50.0%(38명), 70대가 22.4%(17명), 60대가 18.4%(14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46.4%(32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등 내분비계 질환, 폐암·간암·위암 등 악성신생물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3주차(6.6.∼6.12.)에 신규발생 325만명(WHO기준)으로 최근 1주간 전반적으로 발생 및 사망이 증가하였고,


   * 전 세계: (23주) 확진 3,250,433명(+1%), 사망 8,737명(+4%)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소폭 증가하며,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미국, 독일, 이스라엘에서도 최근 발생이 증가세이다. 


   * (미국) BA.2.12.1형 변이 및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 및 사망자 수가 최근 1주 증가

  ** (독일)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이 최근 3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12주 연속 감소

 *** (이스라엘)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이 최근 2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감소세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3,073건) 및 해외유입(239건)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6.18.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6월3주 100.0%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56.9%(-4.8%p), BA.2 검출률은 34.8%(+4.0%p)로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6.18. 기준) >


구분

분석주차

분석

건수

주요 변이

오미크론

검출률(%)

검출률(%)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2

BA.2.3

BA.2.12.1

국내감염

54

4,112

4,112

100.0

4,112

100.0

33.5

60.2

1.8

61

4,033

4,033

100.0

4,033

100.0

33.7

60.9

2.8

62

3,556

3,556

100.0

3,556

100.0

30.8

61.7

3.2

63

3,073

3,073

100.0

3,073

100.0

34.8

56.9

2.9

해외유입

54

89

89

100.0

89

100.0

52.8

22.6

9.4

61

117

117

100.0

117

100.0

48.5

21.2

21.2

62

173

173

100.0

173

100.0

23.1

20.5

30.8

63

239

239

100.0

239

100.0

31.3

7.2

26.5


   * 전장유전체분석 기반 별도산출





 ○ 오미크론 BA.2.12.1 69건(국내 36건, 해외유입 33건), BA.4 12건(국내 7건, 해외유입 5건), BA.5 38건(국내 27건, 해외유입 11건)이 추가로 검출되어, 관련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현재까지 BA.2.12.1 총 196건, BA.4 총 26건, BA.5 총 73건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주 추가로 확인된 변이는 다음과 같다.


변이 바이러스

확인 건수

유입 국가

BA.2.12.1.

국내감염 36

-

해외유입 33

미국 25, 필리핀 3, 1, 불가리아 1, 스페인 1, 인도 1, 프랑스 1

BA.4

국내감염 7

-

해외유입 5

미국 1, 오스트리아 1, 콩고민주공화국 1, 태국 1, 호주 1

BA.5

국내감염 27

-

해외유입 11

미국 3, 모로코 2, 베트남 1, 스페인 1, 카타르 1, 캐나다 1, 터키 1, 호주 1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5%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2.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5%,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70.1% 낮음


  * 분석대상: ’21.4.3.∼’22.6.11. 확진자 17,998,070명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10% 이하를 3주 연속 유지하며 의료대응역량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상황이다. 


 ○ 유행 수준을 고려하여 확보병상을 지속적으로 감축하는 가운데 중환자와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7.5% → 7.2%, (수도권) 5.8% → 6.2%, (비수도권) 12.9% → 10.4%

   * 준-중환자실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9.7% → 7.6%, (수도권) 6.0% → 5.3%, (비수도권) 20.4% → 14.4%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국내외 연구진들이 6월 15일 수행한 향후 발생 예측을 종합한 결과,


 ○ 현재 유행은 당분간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2주 후 일평균 확진자 5~7천명대까지 감소(7개 기관 중 6개 연구진) 예상되나, 유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재원중 중환자도 당분간 감소하여, 2주 후 60명대까지 감소(3개 기관 중 3개 연구진)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국내외 연구진들이 주기적으로 유행상황을 모형에 반영함에 따라, 예측 결과의 변동 가능성이 크지만, 유행 상황에 대비·대응 하기 위해 예측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 6월 3주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6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

3

4

5

6

3

(2.13.~)

4

(2.20.~)

1

(2.27.~)

2

(3.6.~)

3

(3.13.~)

4

(3.20.~)

5

(3.27.~)

1

(4.3.~)

2

(4.10.~)

3

(4.17.~)

4

(4.24.~)

1

(5.1.~)

2

(5.8.~)

3

(5.15.~)

4

(5.22.~)

1

(5.29.~)

2

(6.5.~)

3

(6.12.~)

전국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높음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높음

높음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낮음

낮음



□ 정부는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무더위 쉼터, 물놀이 시설 등 이용 활성화 및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으로 지역축제가 재개됨에 따라, 여름철 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인구 밀집지역 및 취약시설에 대한 방역 관리·감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7월부터 여름철 고위험군이 감염위험이 높은 무더위 쉼터, 경로당를 비롯, 물놀이 시설을 중심으로 생활방역 수칙 준수를 위한 계도 등 방역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며,


 ○ 지자체에서는 주요 지역축제 시, 사전 안전점검 시행, 현장 안전순찰, 질서유지 및 상황관리 등 방역 및 안전관리대책을 수립·운영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향후 유행상황을 좀 더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하반기 예방접종으로 안전하게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여름철 활동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손씻기, 환기·소독, 마스크 착용 등 개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준수해야 하는 생활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참고






 2.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실시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6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4차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최근 4주간(’22.5.15.∼6.11.) 위중증 환자의 87%, 사망자의 89%가 60세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사망자 중 80세 이상이 55.0%를 차지하고 있어, 추가적인 접종을 통한 중증·사망 예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또한, 16일 발표한 국내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3차접종군 대비 4차접종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20.3%, 중증화 예방효과는 50.6%, 사망 예방효과는 53.3%로 나타났다. 


   - 추진단은 4차접종으로 감염, 중증, 사망에 대한 추가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4차접종 대상자에게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 (분석기간·대상) '22.2.16. ~ '22.4.30.,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약 151만 명 


<그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현재 미국, 영국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며, 4차접종 대상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최근 미국은 12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4차접종을 ‘허용(allow)’하였던 권고수준을 높여 ‘권고(recommend)’하였다.




□ 60세 이상 연령층의 4차접종은 위중증·사망 예방을 목표로 하며, 특히 치명률이 높은 80세 이상에 대해서는 적극 권고한다.


 ○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고, mRNA 백신으로 접종받게 되나, 노바백스 백신으로도 접종 가능하다. 


 ○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고,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은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도 할 수 있다.


 ○ 현재까지 60세 이상 연령층 중 약 419만 명이 4차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은 30.5%로 집계되었으며,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4.4%이다.


   - 특히, 치명률이 높아 접종이 적극 권고되는 80세 이상의 대상자 절반 이상이 접종에 참여하여(대상자 대비 접종률 54.3%)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4차접종 현황(6.21. 0시 기준)

(단위 : , %)

구분

인구1)(A)

대상자2)

(B)

예약자

예약률

접종자

접종률

인구

대비

(C/A)

대상자

대비

(C/B)

인구

대비

(D/A)

대상자
대비

(D/B)

60세 이상 계

13,743,932

12,153,926

4,343,794

31.6

35.7

4,186,010

30.5

34.4

80대 이상

2,455,738

2,049,737

1,147,916

46.7

56.0

1,112,664

45.3

54.3

70-79

3,883,747

3,532,251

1,627,682

41.9

46.1

1,574,941

40.6

44.6

60-69

7,404,447

6,571,938

1,568,196

21.2

23.9

1,498,405

20.2

22.8


1)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2) ‘22. 6. 30일 기준 접종대상자(대상군별 접종간격은 상이)




□ 추진단은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서는 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르신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국내 발생 예측(6.17. 분석)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6.18. 기준) 

        5.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6.20. 기준)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돌파감염 발생 현황(6.12. 0시 기준)

        8.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6.12. 0시 기준)

        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