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내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 운영 현황
  • 작성일2010-03-19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국내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 운영 현황
Cohort of perinatal transmitted HBV patients in Korea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간염·폴리오바이러스과     
    


Ⅰ. 들어가는 말
  만성 간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인 B형간염(Hepatitis B virus; HBV)은 특히 신생아기의 주산기 감염을 통하여 만성 질환으로 이행되는 경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산모로부터 아기로의 주산기 감염예방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2002년 7월부터 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을 통해 만성화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세계적으로 주산기 감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또한 B형간염 백신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의 원인에 대한 구명(究明)이 충분하지 않아 주산기 감염에 의한 만성  B형간염 환자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주산기 예방조치 결과 B형간염 소아 환자가 상당수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예방조치자 중  전국적으로 300-400명 정도의 실패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예방조치 실패자들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B형간염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자들에 대한 관리 및 실패 원인구명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2008년부터 구축·운영 중인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에 대한 코호트를 소개하고자 한다.

Ⅱ. 몸 말

  1.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의 필요성
  B형간염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자의 경우 후천적인 B형간염 보유자에 비해 훨씬 높은 만성화 및 간경변, 간암 등의 발병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환자들의 경우 지속적인 B형간염 표지자 및 AST/ALT 등의 간기능 검사를 통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국내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는 매년 발생하는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자들에 대해 지속적인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환자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B형간염으로 인한 막대한 인적·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B형간염에 대한 예방 및 치료 기술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Figure 1).
                                               

  2.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 구축 및 운영
  국립보건연구원 간염폴리오바이러스과에서는 예방접종관리과, 시청/보건소 등 지역 보건담당자와의  업무협의를 통해 인천, 대전, 전주 3개 지역의 4개 거점보건소를 지정하여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에  대한 코호트를 구축하였다(Figure 2).
                                                
  코호트 구축사업 등록기준은 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 실패로 선천적 B형간염 보균자로 출생한 아기들 중 해당보건소 관할지역에 거주하는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부모가 자발적으로 코호트에 참여하고자하는 의사를 밝힌 경우를 등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환자정보 보호 및 코호트 참여 유도를 위해 환자와의 1차 접촉은 지역보건소 B형간염 수직감염 예방사업 담당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2차적으로 질병관리본부 담당 직원과 환자 및 환자보호자가 해당보건소에서 만나 동의서에 자필 서명을 받은 후 채혈을 실시하고 간기능 검사를 포함한 다양한 B형간염 관련 지표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Figure 3).
                                               
  인천, 대전, 전주 지역의 4개 보건소에서 총 22명의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를 구축하고 등록자들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결과 코호트 등록자 모두 10세 미만의 소아 환자들임에도 불구하고 e-항원 발현 및 간기능(AST/ALT)이상으로 확인된 18%(4명)의 환자에 대해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이들에 대한 검사결과 및 후속조치 등에 대한 권고사항을 지역 보건소 담당자들을 통해 각 개인별로 통보하였다(Figure 4).
                                               

  3. 향후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 코호트 구축 개선방안
  코호트 구축결과 환자 개인에게 적절한 치료시기를 알려줌으로써 조기치료를 유도할 수 있었으며,  다양한 연구를 위한 검체 및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질병관리본부에서 직접 지역보건소를 통하여 B형간염 주산기 감염자에 대한 사업설명 및 채혈을 실시하고 있으나 코호트 참여율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검사 및 치료를 유지하기 위해 병원과 연계된 코호트로 운영 체계의 변경을 고려중이다. 또한 10세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코호트를 환자 어머니에게도 확대 적용하여 수직감염 성공군과의   차이점 비교 분석 등 B형간염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 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좀 더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Ⅲ. 맺는 말


  B형간염 바이러스는 백신의 적극적 사용과 성공적인 수직감염 예방사업의 수행으로 발병률이 많이 낮아진 상태이나 아직도 주산기 감염에 의한 환자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 및 요인분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만성 간질환의 가장 많은 원인인 B형간염은 5세 이후에 감염되는 경우 만성화 비율은 10% 미만이나, 주산기에 감염이 되면 90% 가량이 만성화된다. 또한 이러한 주산기 감염 환자는 일정 연령 이후 바이러스에 노출되는 경우에 비해 간경변 및 간암으로의 진행될  위험성이 훨씬 높다. [B형간염 주산기 예방조치 실패자 코호트 구축] 사업을 통해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한다면, B형간염 주산기 감염의 기전 규명을 통해 최종적으로 만성 B형간염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1. O’Gorman CS, O'Connell K, Broderick AM, Butler KM.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children. Ir Med J 2009;102:328-31.
 2. Lin K, Vickery J. Screening for hepatitis B virus infection in pregnant women: evidence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affirmation
     recommendation statement. Ann Intern Med 2009;150:874-6.
 3. Wiseman E, Fraser MA, Holden S, Glass A, Kidson BL, Heron LG, et al. Perinat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an Australian experience. Med J Aust
     2009;190:489-92.
 4. Chen CH, Chen YY, Chen GH, Yang SS, Tang HS, Lin HH, et al. Hepatitis B virus transmission and hepatocarcinogenesis: a 9 year retrospective cohort
     of 13,676 relative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2004;40:653-9
 5. Bartholomeusz A, Schaefer S. Hepatitis B virus genotypes: comparison of genotyping methods. Rev Med Virol 2004;14:3-16.
 6. Bauchard M, Giannakopoulos S, Wang EH, Tanese N, Schneider RJ. Hepatitis B virus HBx protein activation of cyclinA-cyclin-dependent kinase 2
     complexes and G1 transit via a Src kinase pathway. J Virol 2001;75:4247-57.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