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SimSmoke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금연정책 평가와 향후 흡연율 예측
  • 작성일2010-08-13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SimSmoke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금연정책 평가와 향후 흡연율 예측


Application of SimSmok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tobacco control policies and
to predict future smoking prevalence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보건환경연구소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과     
  


Ⅰ. 들어가는 말
  흡연은 다양한 질병의 이환과 사망의 원인으로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금연정책을 통한 흡연율 감소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흡연율을 주기적으로 감시하며 국가적  차원에서 흡연율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다. 미국의 「Healthy People 2010」과 우리의 「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은 2010년까지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목표와 실천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흡연율 감소를 주요 건강증진 목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0년까지 남성 흡연율을 30% 선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으나, 2009년 하반기 흡연실태조사결과 남성 흡연율이 4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 30%의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표 달성에 실패한 주요 원인으로는 목표치 결정의 근거 부족과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정책강화 계획의 부재를 들 수 있다. 어떠한 금연정책을 어느 시기에 얼마나 강화할 경우에 몇 %의 흡연율 감소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얻을 수 있다면 보다 현실성 있는 목표설정과 정책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실제로 일부 국가에서는 금연정책 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타진하고, 현실적인 목표 설정과 달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 제시를 위해 시뮬레이션 모델(Simulation model)을 이용하였다[1, 2].
  시뮬레이션 모델은 복잡한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다양한 금연정책들이 흡연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이상적인 분석틀이 될 수 있다[3]. 인구집단 내 흡연자 수의   변화는 흡연시작, 흡연지속, 금연, 흡연재등으로 이어지는 되먹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금연정책의 효과는 수년에 걸쳐 장기적으로 지속되며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의 변화를 유도한다. 또한 담배 가격 정책, 금연홍보, 담배광고 제한, 경고문구, 금연구역지정, 흡연예방 교육, 금연 치료 등 다양한 금연 정책들은 사회경제적 세부 집단에 각기 다른 크기의 효과를 나타내며, 금연정책 효과는 정책 강도와 비선형적 관계를 갖기도 한다[4]. 그리고 여러 정책들이 동시에 적용될 때에는 정책 간 상호작용으로 인한 정책 효과의 변화가 생긴다.
  그러나 통계적 분석방법은 흡연행태 변화의 되먹임 구조와 다양한 금연정책의 효과 크기를 고려하는데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보다 실제적인 금연정책의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시뮬레이션 모델이 좋은 도구가 될 수 있다. 금연정책 분석을 위해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델로는 SimSmoke, Smoking Control Dynamic Model, 그리고 System Dynamic Model 등을 들 수 있다[2, 3, 5, 6].
  그러나 System Dynamic Model은 정책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Smoking Control Dynamic Model은 금연 치료 지원과 담배광고 마케팅의 제한적 금연정책을 고려하는데 반해, SimSmoke는 담배 가격 정책, 대중매체 금연홍보, 담배광고 제한, 경고문구, 금연구역지정, 청소년 흡연예방, 금연 치료 지원의 7가지 금연정책의 효과를 고려한다. 근래에는 보다 다양한 종류의 시뮬레이션 연구들이 개발되어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최근호(2010;100:7)에 개관이 되었으나 여러 가지 정책시나리오의 상세한 분석에 있어서는 대체로 SimSmoke를 앞서지 못하고 있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는 SimSmoke 모델을 활용한 미국의 애리조나 주의 금연정책 효과평가 사례[7]와 Healthy people 2010 달성 가능성을 평가한 연구결과[1]에서 잘 나타났다. 미국 애리조나 주의 흡연율은 1993년 22.6%였으나 강력한 금연정책을 적용하여 2002년 19.3%까지 감소하였다. SimSmoke 모델을 이용하여 이 기간 동안 적용된 금연정책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흡연율 감소에 대한 기여도는 담배가격 인상이 61%, 매스미디어 금연정책이 38% 기여하여 흡연율 감소에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미국 건강증진 종합계획 Healthy People 2010은 2010년까지 흡연율을 12%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SimSmoke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시행중인 담배가격 정책 대중매체 금연홍보, 금연구역지정, 청소년 흡연예방, 금연 치료 지원 정책으로 향후 목표치 달성 성을 분석한 결과, 모델의 2010년의 흡연율 예측치는 18.4%로 현재의 정책 수준으로는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예측하였다. 그러나 1달러의 담배세 인상으로 2010년 16.1%까지 흡연율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여, 목표 달성을 위해 보다 강력한 금연정책의 시행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이렇듯, SimSmoke 모델을 활용할 경우 과거 금연정책의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미래  흡연율 예측을 통해 향후 금연정책 강화에 대한 실제적 가이드라인 제시가 가능하다.
  우리나라는 WHO의 「2005년 담배규제협약 비준(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에 따라 가격 정책 강화, 경고 그림 삽입을 비롯한 다양한 금연정책의 강화와 보완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정책강화의 우선순위 선정과 구체적 정책 강화 계획을 세우기 위한 연구 자료가 미비하여, 본 연구진은 보건복지부의 지원으로 SimSmoke 개발팀과 함께 국내 실정에 맞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8].
  이 글에서는 정책분석 및 평가의 계량적 도구인 시뮬레이션 모델의 예로서 Korea SimSmoke에 대하여 소개하고, 모델에서 얻은 결과와 그 정책적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 모델 개발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 금연정책 연구의 발전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Ⅱ. 몸 말

  1. Korea SimSmoke의 구성 및 자료원
  SimSmoke 모델은 인구모델, 흡연모델, 흡연기여 사망 모델과 정책모델로 구성된다[8]. 3개의 세부 연산 모델은 미래 인구를 추계하는 인구모델, 흡연율과 흡연상태별 인구를 연산하는 흡연모델과 흡연기여 사망자수를 산출하는 흡연기여 사망모델로 구성된다. 정책모델은 다양한 금연정책 강도별로 흡연율 변화를 조정하여 연산한다.
  시뮬레이션은 기준년(baseline year)의 인구를 성·연령별 흡연자, 비흡연자, 과거 흡연자로 나눔으로써 시작된다. Korea SimSmoke는 1995년을 기준년으로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각 세부 영역의 통합적 연산을 통해 금연정책의 변화에 따른 향후 흡연율의 예측을 시행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다양한 자료를 한 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인구모델은 성별·연령별로 구분된 인구수, 연령별 출산율, 성·연령별 사망률을 적용한다. Korea SimSmoke에서 인구추계를 위한 기초자료로는 통계청 인구 센서스와 통계청 생정통계 중 출산율과 사망률을 이용하였다.
  흡연모델은 성별·연령별로 구분된 흡연율(과거/현재/비흡연),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이 필요하다. 모델에서는 흡연상태를 최소 3단계(과거/현재/비흡연) 이상 구분한 대표성 있는 흡연행태 자료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흡연과 비흡연으로만 구분되어 조사된 사회통계조사와 작은 표본수의 성인 흡연실태 조사는 Korea SimSmoke에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표본 대표성과 흡연상태의 다양한 구분이 가능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Korea SimSmoke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원 자료는  보건사회연구원에서 1992, 1995년 자료를 제공받았고, 1998, 2001, 2005년 3개년 자료는 질병관리  본부에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Korea SimSmoke에서는 1992년부터 5개년 조사자료를 모두 SimSmoke 모델 구성에 활용하였다. 그러나 1992년 자료는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제한적이며 표본수가 한계점이 있어, 시뮬레이션 기준년으로는 1995년을 선정하였다. 정책모델에서는 7가지 금연정책 별로 정책이 흡연율, 흡연 시작률, 금연율 혹은 흡연 재발률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의 크기를 계량한   연구결과가 필요하지만, 가격정책 이외에는 국내연구에서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없어 대부분의 정책 효과 크기는 해외 선행 연구자료와 국내 전문가 집단의 자문을 토대로 추정하였다.

  2. Korea SimSmoke의 흡연율 예측방법
  SimSmoke 모델은 이산시간 마코프 프로세스(Discrete time Markov process)를 기초로 미래 인구와 흡연자수를 추계한다. 인구모델은 출산율과 사망률을 기초로 미래 인구를 추계하며, 흡연모델은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을 이용하여 미래의 흡연자수를 추계한다. 정책모델은 담배 가격 정책, 대중매체 금연홍보, 담배광고 제한, 경고문구, 금연구역지정, 청소년 흡연예방, 금연 치료 지원의 7가지 금연
정책으로 구성되며 각 금연정책의 강도에 따라 흡연율을 조정한다. 세부 모델의 종합적 연산으로 최종적으로 미래 흡연율을 예측하게 된다.
  인구모델은 인, 출산율과 사망률을 기초로 추계된다. 인구추계는 출산율과 사망률을 이용한 0세 인구와 전년도 인구에 사망률을 곱한 1세 이상 인구수의 합으로 산출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인구의 국제적 이동률이 낮아,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인구 이동은 고려하지 않았다. 흡연 모델에서는 흡연자/비흡연자/과거 흡연자수를 사망률과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Smoking model에서 개인은 생후 그들이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거나 사망할 때까지 비흡연자로 구분된다.
  비흡연자는 흡연시작을 통해 현재 흡연자로 발전하며, 현재 흡연자는 금연을 통해 과거 흡연자로   변화되며, 재발을 통해 다시 흡연자로 회귀한다. 흡연 재발률은 금연 후 경과시간에 따라 변화한다(Figure 1).
                                                
  흡연율은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인구 센서스를 기준으로 연령 표준화하였고, 남녀별 5세 단위 이동을 산출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모델에서는 85세까지의 흡연율을 필요로 하나 1995년 보건의식행태조사는 15-69세의 대상자에게만 시행되어, 70세 이상 고령자의 흡연율은 1998년 자료로 추정하였다. 1995년의 70세 이상 흡연율은 1998년 70세 이상 흡연율에 1995년의 60-69세 가중치  적용 평균 흡연율을 곱한 후 1998년 60-69세의 가중치 적용 흡연율로 나누어 산출하였다(가중치는 1995년 인구를 기초로 적용).
  앞서 언급한 것처럼 과거 흡연자의 흡연 재발은 금연시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SimSmoke 모델에서는 흡연 재발률의 차등 적용을 위해 과거 흡연자의 금연기간 정보가 필요하다. 그러나 1998년 조사와는 달리 1995년 조사에서는 과거 흡연자에게 금연한 시기를 묻지 않아, 1998년 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흡연자의 금연시기를 추정하였다.
  금연율(1년 이내)은 흡연율 조사자료의 1년 이내 금연자수를 1년 전 흡연자수 즉, 1년 전 금연자수에 현재 흡연자수를 더한 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산출된 금연율은 1-7%까지 다양하며 70세 이상 고령자에서 가장 높았다. 흡연시작 연령과 금연시기를 고려하여, 금연율은 24세 이상 연령층부터 적용하였다. 흡연 재발률은 국내에서 조사된 자료가 므로, 미국의 조사결과를 모델에 적용하였다[9].
  SimSmoke 모델에서는 담배가격정책, 금연구역지정, 대중매체 금연홍보, 담배광고제한, 경고 문구, 금연의 치료적 지원, 청소년 흡연예방 정책의 7가지 금연정책의 효과를 포함하였다. 각 정책들의 강도와 그에 따른 흡연율, 흡연 시작률 및 금연율에 미치는 영향은 Table 1에 요약하여 기술하였다. 금연정책의 효과와 강도 책정은 WHO가 미국 CDC 등 기관과 공동 운영하는 국가담배정보온라인시스템(NATIONS, National Tobacco Information Online System, apps.nccd.cdc.gov/nations/)과 보건복지부를 포함한 국내 금연정책 전문가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였다. SimSmoke 모델에서 정책 효과 연산에 필요한 모수들은 금연정책 연구들의 문헌 고찰과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바탕으로 책정되었다[10].

  정책모델은 각 금연정책이 흡연율, 금연율과 흡연 시작률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기초로 연산되며 최종적으로 흡연율의 변화량(PR, percent reduction)으로 표현된다. 흡연율 변화량은 과거 흡연율 대비 흡연율 증감 분의 상대적 비율을 의미한다[(정책 적용 후 흡연율-이전 정책 유지시 흡연율)/이전 정책유지시 흡연. 일반적으로 금연 정책은 정책이 시행된 첫 해에서 가장 큰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시행 첫해의 금연정책 효과는 [흡연자수t,a×(1+PRi,t,a)]로 설정하였다(i:금연정책, t:시기, a:연령).
  시행 둘째 해부터 금연정책의 효과는 흡연 시작과 금연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금연정책 시행 둘째 해부터는 흡연 시작률과 금연율의 조정을 통해 금연정책의 효과를 설정하였다. 정책 i의 효과가 지속되는 기간 동안 PR은 흡연 시작률을 [흡연 시작률a×(1+PRi)]로 낮추게 된다. 또한 정책 i의 효과는 같은 기간 동안 금연율을 [금연율a×(1-PRi)]로 증가시키게 된다. 청소년 흡연예방 정책을 제외한 모든 금연정책은 경 흡연자(light smoker)의 금연에 영향을 미쳐 금연율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킨다. Korea SimSmoke에서 흡연 재발률은 정책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 가지 이상의 정책이 동시에 시행될 경우, 상호작용 효과를 가지므로 SimSmoke 모델에서는 각 금연정책의 흡연율 변화량을 이용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연산하였다. [(1+PRi)×(1+PRj); i,j: 각 금연정책] 즉, 각 금연 정책들은 독립적인 효과를 가지지만, 다른 금연 정책의 효과로 인해 흡연율이 이미 감소하였기 때문에 두 정책이 동시적용될 때 금연정책으로 인한 흡연율의 절대적인 감소량은 작아지게 된다.
  요약하면, 각 정책들은 정책이 시행되는 첫 해에(직접적으로 흡연율을 변화시켜) 금연율에 가장 큰  효과를 미치며 일정기간 흡연 시작률과 금연율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Korea SimSmoke의 모델 조정과 타당도 검증
  인구 모델의 추계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1995, 2000, 2005년의 통계청 인구센서스 결과와 SimSmoke 모델의 인구추계 결과를 비교하고, 2006년부터 2026년의 통계청 인구추계 자료와 SimSmoke 모델의 인구추계를 비교하여 오차율을 구하였다.
  모델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조사된 흡연율과(예를 들어 1998, 2001, 2005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의 흡연율) SimSmoke의 추정치를 성별, 세부 연령별로 비교하게 된다. 먼저 기준년 이후 실측 자료가 첫 번째로 존재하는 1998년 흡연율을 기준으로 모델을 조정(calibration)하며, 이후 실측 흡연율과 모델의 예측치의 차이를 확인하여 모델의 타당도(validation)를 검증하였다. 모델의 조정과 타당도 검증에 사용한 흡연율 실측치는 국건영 가중치 적용 후 1995년 센서스 인구를 기준으로 표준화하였다. SimSmoke 모델의 초점은 정책 변화가 일어난 시점을 기준으로 흡연율의 추이가 변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기 때문에 1995-1998, 1998-2001, 2001-2005년의 기간에 흡연율의 상대적 변화량을 기초로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 Korea SimSmoke 모델의 활용결과
  1) 과거 금연 정책의 효과 평가
  SimSmoke는 모델에 필요한 자료원이 존재하는 기준년에서 현재까지 과거의 금연정책 변천과정을  고려하여 흡연율을 추정하고, 이 과정을 통해 향후 흡연율 예측을 위한 모델을 구성할 뿐 아니라 모델의 예측력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시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과거부터 현재까지 국내 금연정책의 변화 과정이 실제 흡연율 변화에 미친 영향을 구분하여 그 실제적 효과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Korea SimSmoke를 근거로 설명해보면, 모델의 기준년인 1995년의 금연정책 수준이 유지되었을 때 추정된  현재 흡연율과 각 정책을 하나씩 강화했을 때 혹은 과거와 동일한 변화과정을 거쳤을 때 추정된 현재 흡연율을 비교함으로써, 각 정책이 흡연율 감소미친 금연정책의 효과를 상대적 변화율로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각 정책들의 상대적인 영향은 곱의 관계에 있다는 가정을 하였으므로, 여러 정책들이 동시에 시행되는 경우 개별 정책의 효과들을 전부 합산하여도 전체 기여한 양으로 계산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개별 정책의 상대적 감소율을 합산하고, 이 합에 대한 상대적 값으로 개별 정책 효과를 조사하게 된다. Figure 2는 SimSmoke 모델을 이용하여 과거 금연정책의 효과 평가를 시행한 것으로,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시행된 금연정책 중 가격정책과 대중매체를 통한 금연홍보 캠페인의 효과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2) 향후 흡연율의 예측
  Korea SimSmoke 모델을 이용하여 현재 금연정책과 동일한 정책강도가 유지될 때의 흡연율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우선 금연정책이 동일한 강도로 유지될 때 Health plan 2010의 목표달성 가성을  알아보고, 향후 10년, 20년 후의 흡연율의 변화를 확인한다. 이를 기초로 FCTC 권고기준에 따른 담배 가격 정책, 대중매체 금연홍보, 담배광고 제한, 경고문구, 금연구역지정, 청소년 흡연예방, 금연 치료  지원의 7가지 금연정책의 강화 시나리오에 맞추어 각 금연정책이 개별적으로 강화되었을 때의 흡연율과 포괄적으로 강화되었을 때의 흡연율의 변화를 예측하여 향후 10년, 20년 후의 흡연율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모델을 이용하여 Health plan 2010의 남성 흡연율 30%를 달성하기 위해서 금연정책이 얼마나 강화되어야 했는지를 분석해본 결과 2008년부터 전 지역의 금연구역 지정, 담배 광고·판촉·후원의 완전 금지, 적극적인 금연상담 전화서비스와 무료 니코틴 대체요법 지원, 담배경고 문구 확대 및 그림 삽입 및   극적 청소년 흡연예방 정책의 시행과 더불어 6000원의 담뱃값 인상을 시행했을 경우 2010년 30%의 흡연율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을 것으로 예측되었다(Table 2). 그리고 2010년부터 모든 비가격정책을 최대강도로 강화하고, 매해 500원의 담뱃값 인상을 시행할 경우 2020년 남성 흡연율을 25%까지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였다(Table 3). 이렇듯 시뮬레이션 모델 활용할 경우 보다 현실적인 정책 목표 설정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공이 가능하다.

  3) 향후 담배규제 정책의 과제
  그동안의 급속한 흡연율 감소를 가져온 우리나라 금연정책은 대체로 뚜렷한 성공으로 평가될 수 있다. 그러나 더 이상의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다면 아직도 남성흡연율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에 머무르게  되어 절반의 성공, 또는 절반의 실패에 그칠 것이다. 가장 큰 과제는 경제력에 비해 지나치게 담뱃값이 낮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부담 및 사회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한국 경제는 큰 짐을 지고 국제적인 경쟁을 하게 되는 불리한 조건에 처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사정에서 적절한 담배값이 얼마인가에 대한 연구는 이미 많이 이루어져 있으며 대략 6,000원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SimSmoke에 의한 결과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가격정책은 향후 정책 성패의 관건이 될 것이다.
  아울러, Table 1에서 비교적 높은 효과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현재 최고수준으로 적용되고 있지 못한 정책들이 그 다음으로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공공장소 금연, 직접 및 간접광고 금지, 청소년 접근제한, 그리고 금연치료의 활성화 등 여러 가지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비가격 정책들은 금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회투자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담배값 인상으로 얻어지는 추가예산은 우선적으로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보다 정확하고 세밀한 실증적 정책근거의 확보를 위한 지식생산 사업에 많은 투자가 필요할 것이다.


Ⅲ. 맺는 말


   SimSmoke 모델은 금연 정책의 효과, 각 정책 간 상호작용 및 흡연행태 변화의 피드백 구조를 고려한 분석틀로 과거 혹은 미래의 정책의 효과 평가와 향후 흡연율 및 흡연기여 사망자수의 예측에 활용될 수 있다. Korea SimSmoke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과거 금연정책 중에서는 가격정책이 가장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추정하였고, 2008년 6가지 금연정책의 전면적 강화와 더불어 6,000원의 담뱃값 인상을 시행했더라면 「Health plan 2010」의 목표치인 남성 흡연율 30%의 목표 달성이 가능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또한 2010년 비 가격정책의 전면적 강화와 더불어 매해 500원씩의 담뱃값 인상을 시행할 경우 2020년에는 남성 흡연율이 약 25%까지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대사회에서 정책적용의 효과를 평가 혹은 예측하기 위해서는 정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각 정책 간의 상호작용, 정책효과의 되먹임 체계(feedback system) 등을 고려한 분석틀이 필요하다.  이는 정책수행의 결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측하고 평가함으로써 정책의 효과와 예산집행의 효율을   높인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최근 시뮬레이션 모델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보건 정책의 주요 관심영역인 금연정책의 효과평가와 흡연율 예측에 있어 시뮬레이션 모델의 활용은 그 장점이 크다. 따라서 Korea SimSmoke는 보건 정책 연구에 있어 시뮬레이션 모델을 도입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모델을 사용할 경우 과거 금연정책의 효과 평가, 향후 금연정책의 현실적 목표 설정 및 금연정책  적용의 예상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Korea SimSmoke 외국 모델을 한국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일부 해외 모델의 정책효과 크기를 차용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보다 정밀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을 위해 국내 금연정책 연구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은 다음과 같다. 흡연율 자료 수집과정에서는 전향적 조사방법의 활용이 필요하다. 현재의 단면조사 결과로는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대표성 있는 표본의 전향적 조사를 통해 흡연 행태변화 과정의 주요 지표들에 대한 자료를 축적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흡연행태 변화의 역동성에 대한 보다 정확한 추정이 가능하며, 또한 금연정책 연구결과에 있어서도   흡연 시작률, 금연율, 흡연 재발률의 변화에 미치는 정책 영향의 계량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금연정책 연구에 있어서는 다양한 비 가격정책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국내 금연정책 연구는 주로 가격정책에 제한되어 있 금연홍보, 금연구역, 금연의 치료적 지원 등 다양한 금연정책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격정책의 경우에도 총량자료를 이용한 가격탄력도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다양한 연령, 성, 교육수준별 인구집단의 가격탄력도를 추정하는 세부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흡연행태 자료의 보완과 금연정책 연구의 다양화, 세밀화는 금연정책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정확성을 높여 증거에 기반한 금연정책 입안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Levy DT, Nikolayev L, Mumford E, Compton C. The Healthy People 2010 smoking prevalence and tobacco control objectives: results from the SimSmoke
     tobacco control policy simulation model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2005; 16: 359-71.
 2. Mendez D, Warner KE. Setting a challenging yet realistic smoking prevalence target for Healthy People 2020: learning from the California experience.
     Am J Public Health 2008; 98: 556-9.
 3. Levy DT, Chaloupka F, Gitchell J, Mendez D, Warner KE. The use of simulation models for the surveillance, justification and understanding of tobacco
     control policies. Health Care Manag Sci 2002; 5: 113 20.
 4. Saffer H, Chaloupka F. The effect of tobacco advertising bans on tobacco consumption. J health Econ 2000; 19: 1117 37.
 5. Mendez D, Warner KE, Courant PN. Has smoking cessation ceased? Expected trends in the prevalence of smoking in the United States. Am J Epidemiol
     1998; 148: 249 58.
 6. Levy DT, Hyland A, Higbee C, Remer L, Compton C. The role of public policies in reducing smoking prevalence in California: Results from the California
     Tobacco Policy Simulation Model. Health Policy 2007; 82: 167 85.
 7. Levy DT, Ross H, Powell L, Bauer JE, Lee HR. The role of public policies in reducing smoking prevalence and deaths caused by smoking in Arizona: 
     results from the Arizona tobacco policy simulation model.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7; 13: 59 67.
 8. Levy DT, Cho SI, Kim YM, Park S, Suh MK, Kam S. SimSmoke mode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obacco control policies in Korea: The unknown success
     story. Am J Public Health 2010; 100(7):1267-73.
 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The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 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Atlanta Georgia: US.DHHS,
     1990. [cited 2010 Jun 14] Available from: http://profiles.nlm.nih.gov/NN/B/B/C/T/_/nnbbct.pdf.
 10. Levy DT, Chaloupka F, Gitchell J. The effects of tobacco control policies on smoking rates: a tobacco control scorecard. J Public Health Manag Pract
       2004; 10: 338 53.

이 글은 대한금연학회지 2010:1(2):73-84에 발표한 종설 논문의   일부를 수정한 것이며, 대한금연학회지 편집위원회의 승인을 얻어 다시 게재합니다. 이 연구는 건강증진사업지원단의 ‘금연정책의 변화에 따른 향후 흡연율과 흡연기여사망수의 예측연구(07-40)’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