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New Delhi Metallo-β-lactamase(NDM-1)를 생산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발생 및 전 세계적 확산
  • 작성일2010-08-27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New Delhi Metallo-β-lactamase(NDM-1)를 생산하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발생 및 전 세계적 확산
Emergence and worldwide spread of New Delhi Metallo-β-lactamase(NDM-1)
producing carba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센터 약제내성과     
    


  카바페넴계 항생제는 대부분의 장내세균속 균종(Entero-bacteriaceae)에서 내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ESBL)나 AmpC β-lactamase를 생산하는 장내세균의 중요한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Klebsiella pneumoniae carbapenemase(KPC)의 발생 이후 K. pneumoniae의 카바페넴계 항생제 내성률은 5.3%, Escherichia coli와 Enterobacter sp.는 각각 0.2%, 1.9%로 증가되어(2008, MYSTIC study)[1] 전 세계적으로 carbapenem-resistant Enterbacteriaceae(CRE)의 발생과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Yong등[2]은 2009년 최초로 인도를 다녀온 스웨덴인에서 NDM-1을 생산하는 K. pneumoniae를 분리 보고하였다. NDM-1은 플라스미드에 위치하여 다른 균종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실제로 동일 환자에서 분리된 E. coli에서도 동시에 검출되었다. 또한 NDM-1 이외에도 다른 내성유전자를 다수 보유하여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냈으며 그 이후, 인도와 파키스탄을 비롯한 영국, 미국 등에서 잇달아 보고되고 있다.
  Walsh등[3]은 2009년 인도(Chennai, Haryana, 기타 지역), 파키스탄 등에서 분리된 장내세균과 2003-2009년 영국에서 분리된 장내세균을 대상으로 NDM-1을 검출한 결과, 인도 Chennai에서 44주, Haryana에서 26주, 영국에서 37주, 기타 인도 파키스탄 지역에서 73주를 분리하였다. 균종별로는 주로 K. pneumoniae(111주), E. coli(36주), E. cloacae(7주)에서 분리되었고 이들은 tigecycline(감수성 비율 56-67%)과 colistin(감수성 비율 89-100%)을 제외한 대부분의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냈다.
  영국에서는 2008년 NDM-1 생산주가 처음 확인되었고 2009년에는 전체 carbapenemase 생산 장내세균의 44%로 급증하였다. 총 29명의 환자에서 분리되었는데 이 중 17명이 1년 이내 인도 또는 파키스탄 여행력이 있었고, 이 중 14명은 이 지역 병원에서 입원력 등이 있어 역학적으로 관련 있었다. 연구에 사용한 대부분의 인도 분리주는 지역사회 감염에서 분리되어 NDM-1이 이미 환경으로 확산되었음을 시사하고, 영국 환자 중 일부는 인도나 파키스탄 방문 시 성형수술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계 각지에서 이 지역으로의 의료관광이 빈번하게 이뤄지는 것을 감안할 때 NDM-1의 확산은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미국의 경우, 2010년 E. coli, E. cloacae, K. pneumoniae에서 NDM-1이 처음 분리되었으며 모두 인도에서 의료 서비스를 받은 환자에서 분리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 질병통제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이 분리되는 경우 인도 여행력과 같은 위험요인을 확인해야 하며 NDM-1이 확인되는 경우 가이드라인에 따라 전파를 막기 위한 감염관리가 필요하다고 하였다[4].
  질병관리본부에서는 NDM-1의 출현과 세계적인 확산추세로 볼 때 현재까지 국내 발생 사례는 없었지만 국내에 유입될 것을 대비하여 현재 운영 중인 전국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의료진이 위험군 환자(유행지역 해외 의료관광이용자 등) 진료 시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감염 의심사례가 발견될 경우 질병관리본부에 확인 및 진단을 의뢰하도록 의료계에 협조를 요청하였다.

  참고문헌

 1. Rhomberg PR, Jones RN. Summary trends for the meropenem yearly susceptibility test information collection program: a 10-year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1999-2008). Diag Microbiol Infect Dis 2009; 65:414-426
 2. Yong D, Toleman MA, Giske CG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ew metallo-βlactamase gene, blaNDM-1, and a novel erythromycin esterase gene carried
     on a unique genetic structure in K. pneumoniae sequence type 14 from Indi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9; 53:5046-54
 3. Kumarasamy KK, Toleman MA, Wash TR, BagariaJ, Butt F, Livermore DM, Woodford N et al. Emergence of a new antibiotic resistance mechanism in
     India, Pakistan, and the UK: a molecular, biolog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Lancet Infec Dis 2010
 4. CDC. Detection of Enterobacterianceae isolates carrying metallo-β-lactamase--United States, 2010. MMWR 59(24);75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