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매개체전파질환통합관리체계(Vector-Net)
  • 작성일2010-08-27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매개체전파질환통합관리체계 (Vector-Net)


Comprehensive surveillance system for vector-borne disease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질병매개곤충과      
  


Ⅰ. 들어가는 말
  질병을 매개하는 동물(매개체 : Vector)은 매우 다양하나 이 중에서 설치류와 곤충류(모기, 진드기 등)는 인간에게 많은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고 있다. 모기류는 말라리아, 일본뇌염, 웨스트나일열, 뎅기열 등을, 진드기는 쯔쯔가무시증을, 설치류(특히 등줄쥐)는 신증후군출혈열 병원체(세균, 바이러스)를 보유하여 인간에게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매개체 중에서 곤충류는 환경(사회적, 생태학적)에 민감한 동물로서 기후변화에 따른 발생양상과 서식지가 달라지고 있으며(예: 털진드기, Figure 1), 또한 기후온난화 현상과 해외와의 빈번한 교류로 인하여 새로운 종의 국내 유입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녹색성장위원회를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계획 등을 마련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폭염, 매개체, 알레르기 등을 중심으로 한 종합적 기후변화대응 질병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 기후변화의 특성(황사, 열대야 및 폭염 증가 및 하절기 장기화 등)에 따라 기후-지리정보가 통합된 기후-건강감시체계를 구축 중에 있으며 특히 매개체 분야에서는 질병매개체감시체계의 통합화와 매개질환에 대한 제어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기후 및 환경변화에 의한 질환발생 대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병원체 감시-조사와 매개체 감시-방제를 연계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조사연구도 같이 이루어져야 실질적인 질병매개체감시체계의 통합화를 이룰 수 있고, Figure 2와 같이 매개체 전파질환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기후-매개-건강감시체계를 확립할 것으로 본다. 특히 Vector-Net은 지리-방제-환자-기후-환경을 포함하는 방역지리정보망(방역GIS)을 중심으로 구축되고 있고 추후 매개체 및 병원체 조사연구, 자원화, 예측시스템을 포함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우선 Vector-Net의 근간이 되는 방역GIS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Ⅱ. 몸 말
  질병관리본부 질병매개곤충과에서는 일본뇌염유행예측사업으로 보건소 중심의 36개, 말라리아유행예측사업으로 19개, 해외유입매개체조사사업으로 17개 등 전국에 총 72개소의 모기감시망(Figure 3)을 운영하여 매주 홈페이지(질병관리본부/정보알림터/감시통계/질병매개체감시)에 모기밀도조사정보(Figure 4)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들이 전국적인 규모에선 의미가 있으나 각 지역에서의 보다 정밀한 정보에 의한 조사-감시-방제에는 한계가 있어 지리-방제-환자-기상 등을 통합한 전산체계를 마련함으로써 실시간 정보에 의한 친환경지역맞춤형 매개체감시체계를 운영하고자 지역기반 방역GIS를 구축하게 되었다.


  지리정보(geographic data)는 공간상 위치를 나타내는 도형자료와 이와 관련된 속성자료를 연결하여 처리하는 정보시스템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처리, 분석, 출력하는 통합적 시스템이다. 지리정보를 표현하는 방식으로는 두 가지 형태, 즉 벡터 형태(점, 선, 영역)와 레스터 형태(이미지)가 있으나, 방역GIS에서는 보다 알기 쉬운 벡터형태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Figure 5). 이를 기반으로 PDA와 Off-line 또는 CDMA를 이용한 지역별 방역GIS를 개발하여 특허(10-2007-0104535)를 취득하였고 현재 3개 보건소(서울시 구로구, 경기 화성시, 울산시 남구)에 구축 운영 중에 있으며(Figure 6), 올해 3개 지역(서울시 영등포구, 강원 화천시, 광주시 동구)을 추가로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방역GIS는 크게 방역업무, 소독업무, 방역차량, 약품, 환자 등을 관리할 수 있는 1차 시스템을 만들었다. 히 유충 및 성충조사를 실시간으로 실시하여 방제함으로써 살충제 남용을 막고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고, 현지에 적합한 방제(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통합적)를 적시에 실시하게 되었고, 방제차량의 궤적 및 운영일지를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방제관리의 효율성을 높였다(Figure 7, 8).


  2차 시스템 개발에는 해당지역의 환자(보건소)와 기상정보(기상청)를 기입하여 활용할 수 있게 만들어 지리-방제-환자-기상을 연계하여 매개체로 인한 질병발생의 실시간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고 환자 클러스터와 매개체 발생영역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보다 철저하고 실용적인 방제관리가 가능하게 되었다(Figure 9).                                             

Ⅲ. 맺는 말


  현재 질병관리본부와 해당 지자체에서 각각 50%의 예산을 지원하여 3개 보건소에 방역GIS를 구축하였고 자체예산을 확보한 지자체에 대해서는 프로그램개발 및 기술지원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정보화사업의 일환으로 권역별 매개체감시센터(영남, 호남, 제주)에 매개체감시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Vector-Net 시스템을 올해 안에 개발 완료할 예정이고 자체개발한 GIS 시스템을 활용하여 향후 전국적인 매개체감시조사 및 환자발생현황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가 확보될 것이다. 즉 방역GIS(지리-매개체-환자-기상-통계)에 병원체감시시스템과 예측시스템을 탑재함으로써 지역별·권역별 통계를 현장에서 산출하게 될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맞춤형 친환경 질병매개체 및 환자 관리체계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