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06-2011년도 취학아동 홍역예방접종 확인사업 결과
  • 작성일2011-10-14
  • 최종수정일2012-08-2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2006-2011년도 취학아동 홍역예방접종 확인사업 결과
Results of 2nd MMR entry requirement, 2006-2011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황인섭           
  


Ⅰ. 들어가는 말
  홍역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특히 소아에게는 생명을 위협하는 감염병 중 하나이다. 홍역은 전파력이 매우 강하나 예방접종률이 95% 이상 유지되면 유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후 12-15개월에 실시하는 1차 예방접종으로 95-98%, 만 4-6세에 실시하는 2차 접종으로 99%의 면역획득이 가능하다[1].
  우리나라는 1965년 홍역 백신이 도입된 이후 환자 발생이 꾸준히 감소하였으나, 예방접종률이 질병의 퇴치 수준인 95%에 미치지 못하여 감수성자가 유행을 유발할 만큼 누적되는 4-6년 주기로 홍역이 유행하였다[2]. 이에 2001년 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한 홍역 예방접종 확인사업과 일제 예방접종 등 홍역 퇴치를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감염병관리 정책이 도입되면서 홍역 발생이 크게 감소하였고, 2006년 서태평양지역 국가 중 처음으로 홍역 퇴치 선언을 하게 되었다[3].
  하지만, 해외유입 사례 등으로 인한 홍역 재유행 가능성 및 국내토착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정책적 목표를 ‘질병 퇴치수준 유지’로 전환하고 매년 2차 홍역 예방접종 확인사업을 추진하여 예방접종률을 95%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단체생활을 하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홍역 발생 가능성을 낮추고자 하였다. 2011년에도 전국 초등학교 취학아동을 대상으로 2차 홍역(MMR) 예방접종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미접종자와 접종기록이 불확실하 접종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무기록자에게 예방접종을 받도록 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간의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의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추진 방향 및 발전방향에 대해 논하자고 한다. 


Ⅱ. 몸 말
1. 사업 대상 및 절차
  2001년부터 매년 초등학교에 취학하는 아동 전수를 대상으로 2차 홍역(MMR) 예방접종 확인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1의 대상자는 455,340명이었다. 취학이 예정된 아동을 대상으로 입학 전년도 11월 중순경 시장·군수·구청장이 2차 홍역 예방접종 통지서를 발부하여 2차 홍역 예방접종을 받도록 통지하고, 당해년도 3월 입학 시 2차 홍역 예방접종증명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1)2) 예방접종증명서는 민원24(인터넷발급민원서비스)를 통해 집에서 발급 받거나,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방문해 의무기록을 근거로 취득할 수 있다. 미접종자와 무기록자는 접종을 받고 2차 홍역 예방접종증명서를 취득하여야 하며, 기접종자라도 증명서 미제출자는 미접종자로 간주, 2차 홍역 예방접종 이행을 권고하고 있다.3)
  각 학교에서는 3월말까지 2차 홍역 예방접종증명서와 미제출자 명단 사본을 취합하고, 미제출자에게 안내문을 발송하여 접종을 권유한 후 그 결과를 추가로 취합하였다. 또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홍역확인사업 정보시스템을 운영하여, 2차 홍역 예방접종증명서 기록과 미제출자 명단을 등록하고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다.

  2. 사업 결과
  매년 취학아동의 99.9%가 증명서를 제출하였으며, 접종률은 99.8%를 유지하였다. 2011년의 경우 취학대상아동 455,340명 중 454,747명(99.9%)이 증명서를 제출하였고, 이중 2차 예방접종을 받은 아동은 454,339명으로 전체 취학아동의 99.8%였고, 나머지 408명(0.1%)은 접종금기 등의 사유를 작성해 제출하였다. 예방접종증명서 제출자 중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에 접종기록이 등록된 아동의 비율은 2006년 51%로 낮은 수준이었으나 매년 증가 추세를 보여 2011년 81.7%를 나타냈다(Table 1).

  접종권장연령인 만 4-6세 적기접종은 2006년 96.1%에서, 2007년 86.8%로 낮아졌다가, 이후 매년 증가하여 2011년에는 96.7%였다. 2011년 2차 홍역 예방접종자의 59.9%는 보건소에서, 41.1%는 의료기관 또는 국외에서 접종하여 증명서를 제출하였으며, 매년 보건소접종이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Table 2).

  접종 제외 대상자는 2009년이 326명으로 가장 적고, 2006년이 495명으로 가장 많았다. 아나필락시스 4) 또는 아나필락시스양 반응으로 인해 접종 받을 수 없는 경우가 5.2-9.3%였으며, 면역결핍 또는 면역억제제 사용자는 26.3-36.8%였다. 그 외의 기타 사유에 의해 접종제외증명서를 제출한 경우는 55.5-65.1%로, 질병으로 인한 접종 지연 또는 제외, 알레르기 또는 과거 이상반응 경험, 접종 거부 등 이었다(Table 3).

Ⅲ. 맺는 말


  2006년 홍역퇴치 선언 이후 매년 초등학교 취학아동의 99.9%가 2차 홍역 예방접종증명서를 제출하고, 99.8%가 예방접종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력이 높은 초등학교 아동들 내에서 홍역 유행가능성을 줄이고, 홍역 퇴치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수준을 달성한 것이다. 이는 홍역 발생의 차단과 함께 퇴치수준 유지를 위하여 정부와 국민, 의료계가 꾸준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인 결과로 해석된다.
  하지만,「홍역퇴치 선언」 이후 2차 홍역 예방접종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홍역퇴치 5개년 사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결과 2007년의 적기접종률이 일시적으로 감소 한 것으로 생각되며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예방접종률 향상에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홍역을 제외한 국가필수예방접종의 추가접종 5)률이 59.5%로[4] 전히 취학아동의 감염병 발생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초등학교 입학 아동의 감염병 발생률 감소를 위해 그 동안 효과적으로 유지되어진 홍역 예방접종 확인사업을 기반으로 만 4~6세 권장 접종인 DTaP 5차, 폴리오 4차, 일본뇌염(사백신 4차, 생백신 3차)을 확인대상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2012년부터 적용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예방접종 확인사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이 필수적이다. 실제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에 접종내역을 등록하는 비율은 매년 증가하여 2011년에는 81.7%를 보는데, 이는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으로 증명서를 발급받아 제출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시작 한 “인터넷 예방접종 증명서 발급” 효과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전산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접종내역에 대해서는 의료기관에 전산등록을 요청해야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어 의료기관의 전산등록률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독려가 필요하다.
  한편, 2012년 취학아동 예방접종 확인사업은 행정안전부 전자정부연계사업의 일환으로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과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을 연계하여, 전산 등록된 접종내역을 학교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증명서를 제출 할 필요가 없어 국민 불편을 해소하고, 취학아동의 감염병 발생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1)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7조
2)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1조 1항 학교보건법 제 10조
3)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31조 3항
4)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제1과민반응. 외부의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이 지나치게 항진되어 있는 병적인 상태. 예방접종뿐만
                                           아니라 다른 원인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잇음
5) 추가접종: 기초접종 후 얻어진 방어면역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하여 재차 시행하는 접종


Ⅳ. 참고문헌

1.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CDC. 2011
2. 예방접종 대상 전염병의 역학과 관리. 질병관리본부, 대한의사협회. 2006
3. 국가 홍역퇴치선언 5개년 사업백서. 질병관리본부. 2006.
4. 박수경. 전국 예방접종률 조사 및 체계개발. 서울대학교, 질병관리본부. 2009.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