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현황 분석(2009-2012)
  • 작성일2013-07-12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현황 분석(2009-2012)
The analysis of imported infectious disease cases, 2009-2012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검역지원과
최준길


  우리나라 국민의 해외여행 자유화가 시작되었던 1989년 이후로 해외여행객 수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작년 한해에는 약 13,737,000명이 해외여행을 하였다[1].

  전 세계적으로는 연평균 약 10억 명 이상이 항공기로 해외여행을 하고 있으며[2, 3], 이는 사회적 변화 뿐 아니라 항공운송 기술의 발달로 16시간 이상 무주유, 무기작 운항이 가능해진 것에 기인한다. 해외 여행객이 증가함에 따라 해외 유입 감염병 발생 또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이들 해외 여행객이 감염병의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4]을 반증하고 있다.

  특히 2003년도 홍콩에서 시작된 사스의 전 세계적인 유행(30개국 8,000여명 추정환자 발생, 700여명 사망)을 통해서 항공기내에서의 감염병 전파가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5], 2009년도 인플루엔자 A(H1N1)의 대유행에서도 그 사실이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해외에서 유입되는 감염자의 세밀한 분석 통해서 감염병 유입 차단을 위한 전략수립과 향후 효율성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재까지 해외유입 감염병 환자들에 대한 세부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만, 2009년도 해외유입 인플루엔자 A(H1N1) 감염자에 대한 기술 역학 분석만이 수행되었을 뿐이다[6]. 따라서 이 글에서는 최근 4년간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추세를 분석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결과를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동 자료원은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웹통계 시스템에서 2009년-2012년도 4년간 해외유입 감염자 현황 자료를 이용하였다. 1군 감염병은 콜레라,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세균성이질, 장티푸스, 파라티푸스로 그룹화 하였고, 모기매개 감염병은 말라리아, 뎅기열, 일본뇌염, 웨스트나일열, 기타 감염병은 1-4군 감염병중 간헐적인 보고 사례가 있는 유행성 이하선염, 수두, B형간염, 매독으로 그룹화 하였다.

  연도별 해외유입 감염병 현황(Figure 1)을 살펴보면, 2009년도 148건에 비해 2012년도는 355건으로 139.8% 증가하였다. 감염병 그룹별로는 1군 감염병 94.9%, 모기매개 감염병 140%, 기타 감염병은 8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건수는 뎅기열 405건(34.1%), 세균성이질 288건(24.3%), 말라리아 187건(15.8%), 파라티푸스 91건(7.7%), 장티푸스 85건(7.2%), A형간염 40건(3.4%), 기타 67건(5.7%), 콜레라 및 장출형성대장균감염증 각 11건(0.9%) 순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객 10만 명당 인구 대비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률은, 2009년도 1.56명, 2010년도 2.67명, 2011년도 2.76명, 2012년도 2.58명으로 2011년도에 해외유입을 통한 감염병 환자가 가장 많이 유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ure 2). 감염병 그룹별로는 1군감염병은 2011년도에 1.58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모기매개 감염병은 2012년도 1.49명, 기타 감염병은 2012년도에 0.26명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감염병 발생 추세를 살펴보면,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2012년도에 가파르게 증가하였고, 말라리아는 상승폭이 크지 않았다(Figure 3). 세균성 이질은 2011년도에 급속히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1군 감염병은 소폭 증가하였다.

  월별․그룹별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현황은 여름 시즌이 시작되는 6월을 기점으로 1군감염병 및 모기매개 감염병이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9월부터 감소 추세를 보였다. 8월은 1군 감염병(103명), 9월은 모기 매개 감염병(104명) 환자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Figure 4). 특히 세균성 이질은 전체 세균성 이질 발생 건수의 38%가 6월-8월에 집중되어 있었고, 겨울철인 12-2월에도 26.7%가 관찰되었다.

  위 결과에서 살펴보듯이 여름철에는 수인성 감염병, 특히 세균성 이질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세균성 이질 등의 대부분의 수인성 감염병은 부적절한 손씻기에 기인하며, 이는 철저한 손씻기로 상당 수준 예방이 가능하다[7]. 최근 연구에서는 손씻기 증진만으로 폐렴과 농가진, 설사 질환을 40-50%이상을 감소시킨다고 보고[8]된바 있다.

  따라서 해외여행을 준비하는 여행객들은 손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해야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해외유입 감염병 발생 건 기준으로 간략한 추세만을 살펴보았다. 추후 해외유입 감염병 감염자의 인구학적 분석, 감염경로, 감염지역, 지리학적 특성 등을 반영한 분석을 통하여 한정된 재원으로 선택과 집중의 공중보건학적 중재를 위한 자료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 참고문헌 >


1. Korea Tourism Organization (KTO) Korea tourism market trend. Seoul: KTO; 2013. pp. 5–7. (Korean)
2. Gendreau MA, DeJohn C. Responding to medical events during commercial airline flights. N Engl J Med. 2002;346:1067–1073.
3. Ryan ET, Wilson ME, Kain KC. Illness after international travel. N Engl J Med. 2002;347:505–516.
4. Khan K, Arino J, Hu W, Raposo P, Sears J, Calderon F, et al. Spread of a novel influenza A (H1N1) virus via global airline transportation. N Engl J Med. 2009;361:212–214.
5. Olsen SJ, Chang HL, Cheung TY, Tang AF, Fisk TL, Ooi SP, et al. Transmission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on aircraft. N Engl J Med. 2003;349:2416–2422.
6. Jun Kil Choi, Sang Wong Lee, Bo Youl Choi,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mported Influenza A(H1N1) Cases during the 2009 Pandemic in Korea, epiH. 2012;34.
7. Boyce JM, Pittet D;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Society for Healthcare Epidemiology of America/Association for Professionals in Infection Control/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MMWR Recomm Rep. 2002;51(RR-16):1-45.
8. Luby SP, Agboatwalla M, Feikin DR, Painter J, Billhimer W, Altaf A, Hoekstra RM. Effect of handwashing on child healt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ancet 2005;366(9481):225-233.

* 질병관리본부 감염병 웹통계 시스템. Available at http://stat.kdca.go.kr.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