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지표 세부집단별 현황
  • 작성일2019-08-01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건강영양조사과
  • 연락처043-719-7460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지표 세부집단별 현황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윤성하, 오경원*


*교신저자 : kwoh27@korea.kr, 043-719-7460


초 록

 
이 글에서는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20)의 영양부문 성과지표 중 아직 목표를 달성하지 않은 지표를 중심으로 생애주기, 소득수준, 거주 지역별 현황과 관련 요인에 대해 파악하였다. 분석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제6기(2013-2015)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 및 청소년은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 적정섭취분율이 다른 연령에 비해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인은 지방과 나트륨 적정섭취분율과 아침식사 결식률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은 건강 식생활 실천율, 지방 적정섭취분율, 영양표시 이용률, 칼슘과 비타민 A 적정섭취분율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여 전반적인 식생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P2020 목표 달성 을 위해서는 세부집단별 현황을 반영한 중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주요 검색어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지표, 식생활, 건강 식생활 실천, 국민건강영양조사



  들어가는 말


보건복지부는 ‘온 국민이 함께 만들고 누리는 건강세상’이라는 비전과 ‘건강수명 연장과 건강형평성 제고’를 목표로 두고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20)을 수립·추진하고 있다. HP2020은 금연, 절주, 운동, 영양 등 27개 중점과제, 357개 성과지표로 구성되어있고, 중점과제 영양부문에는 아침식사 결식률 증가, 외식 빈도 증가, 영양소 섭취 불균형 등 우리나라 국민의 식생활 현황을 반영하여 건강 식생활 실천율 증가, 아침식사 결식률 감소 등 19개 세부목표가 포함되어있다[1].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를 기반으로 성과지표 현황 및 추이를 살펴본 결과 2013-2015년을 기준으로 HP2020 목표를 달성한 성과지표는 ‘영양섭취 부족 노인(만75세 이상) 인구비율 감소’와 ‘리보플라빈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 2개에 불과했으며, ‘건강 식생활 실천율 증가’를 포함하여 나머지 성과지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2].
정책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면 집단 간 격차를 줄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세부적인 중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HP2020에서도 영양교육 및 상담 경험률, 지방 적정섭취, 칼슘 적정섭취 등 일부 성과지표의 소득수준 간 격차 감소를 성과지표로 포함하여 모니터링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HP2020의 영양부문 성과지표 중 아직 목표를 달성하지 않은 지표를 중심으로 생애주기, 소득수준, 거주 지역별 현황과 관련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몸 말


이 글에서는 HP2020의 영양부문 11개 성과지표 중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년)를 기준으로 목표를 달성한 2개 지표[영양섭취 부족 노인(만75세 이상) 인구비율 감소, 리보플라빈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만1세 이상)]를 제외한 9개 성과지표의 생애주기, 소득수준, 거주 지역별 현황 및 관련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2007-2009)~제6기(2013-2015)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영양소 섭취량은 식품성분표 제8개정판[3]을 활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지방 적정섭취분율, 칼슘 적정섭취분율 등의 지표 산출 시 적용한 영양소 섭취기준은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개정판[4]을 활용하였다.
 
1. 건강 식생활 실천율 증가(만6세 이상)


건강 식생활 실천율은 남자 30.7%, 여자 43.0%로 남녀 모두 HP2020 목표(48.6%)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여자 12-18세와 30-49세를 제외하고는 모든 연령이 HP2020 목표 미만이었으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에서 건강 식생활 실천율은 가장 낮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식생활 실천율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았고, 읍면지역 거주자의 경우 동지역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표 1).
건강 식생활 실천율 구성 지표별 적정 분율을 살펴보면 6-18세는 과일/채소 적정섭취분율이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고, 19-64세는 나트륨 적정섭취분율이 다른 연령에 비해 낮았다. 65세 이상은 지방 적정섭취, 영양표시 이용률이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다(그림 1). 건강 식생활 실천율 증가를 위해서는 생애주기별로 부족한 구성 지표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지방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분율 증가(만1세 이상)


지방을 적정 수준으로 섭취하는 분율(지방 적정섭취분율)은 남자 44.1%, 여자 42.1%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고 남녀 모두 HP2020 목표(50.0%) 미만이었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1-18세는 HP2020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으나 그 외 연령은 HP2020 목표 미만이었다(표 1). 특히 19-29세와 65세 이상에서 낮은 경향이었는데 19-29세는 지방 과잉섭취분율이 높아 다른 연령에 비해 적정섭취분율이 낮고, 65세 이상의 경우 50.0% 이상이 지방을 부족하게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2). 지방의 주요 급원 식품은 육류, 곡류, 유지류로[5] 지방의 과잉섭취 위험이 높은 성인은 육류를 과잉섭취하지 않도록, 지방의 부족섭취 위험이 높은 노인은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에서 지방이 부족하지 않도록 식생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방 적정섭취분율은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경우 높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고, 동 지역보다는 읍면지역에서 낮은 경향이었다(표 1).



3. 나트륨을 2,000 ㎎ 이하로 섭취하는 분율 증가(만6세 이상)


나트륨을 2,000 ㎎ 이하로 섭취하는 분율(나트륨 적정섭취분율)은 남자 12.6%, 여자 30.0%로 여자는 HP2020 목표(30.8%)에 근접해 있으나 남자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여자 6-18세, 65세 이상은 HP2020 목표를 달성하였으나, 남자 전 연령, 여자 19-64세는 HP2020 목표 미만이었고, 특히 남자 19-64세에서 매우 낮은 경향이었다. 나트륨 적정섭취분율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낮았다(표 1).
나트륨의 주요 급원은 6-18세, 19-64세의 경우 면 및 만두류, 65세 이상은 김치류이고, 6-18세는 다른 연령과 달리 빵, 과자류가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 따라서 나트륨 적정섭취를 위해서는 아동과 청소년은 라면 등의 면류와 과자류의 섭취 감소가, 성인과 노인은 김치류, 면류를 포함한 국물이 있는 음식의 섭취 감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 과일과 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만6세 이상)


과일과 채소를 1일 500 g 이상 섭취하는 인구비율(과일/채소 적정섭취분율)은 남자 40.9%, 여자 37.5%로 남자는 HP2020(41.2%)에 근접해 있으나 여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애주기별로는 30-74세의 경우 남녀 모두 HP2020 목표를 달성하였거나 근접해 있으나 6-29세는 HP2020 목표 미만으로 목표와 10.0%p 이상 차이가 있었다. 또한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과일/채소 적정섭취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1).
과일/채소 섭취량 추이를 살펴보면 6-18세는 HP2020 목표 달성을 위해 과일과 채소 섭취량의 증가가 필요하나 큰 변화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과일과 채소 섭취량 증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5세 이상은 남녀 모두 과일/채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그림 3).



5.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률 증가(초등학생 이상)


가공식품 선택 시 영양표시 이용률(영양표시 이용률)은 남자 17.2%, 여자 31.4%로 남자는 여자의 절반 수준이었으며 여자는 HP2020 목표(30.0%)를 달성한 반면 남자는 HP2020 목표 미만이었다. 남자의 경우 전 연령이 HP2020 목표(30.0%) 미만이었으며, 남녀 모두 65세 이상의 경우 10.0% 미만으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표시 이용률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았으며 읍면지역이 동지역보다 낮았다(표 1).
6-18세와 19-64세는 약 80%가 영양표시를 알고 있으나 실제 영양표시를 이용하는 분율은 50.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은 영양표시 인지율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4). 따라서 6-64세는 영양표시를 더욱 활용할 수 있도록 65세 이상 노인은 영양표시에 대한 인지율을 높일 수 있도록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6. 아침식사 결식률 감소(만1세 이상)


아침식사 결식률은 남자 24.7%, 여자 21.3%로 남녀모두 HP2020 목표(18.3%)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침식사 결식률은 19-29세에서 가장 높았으며 12-18세, 30-49세의 경우에도 높은 경향이었다. 그 외 연령은 HP2020 목표를 달성하고 있었다. 아침식사 결식률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경향이었다(표 1).
식생활 지침에서는 아침식사를 결식 할 경우 미량영양소의 부족, 지방의 과잉섭취를 일으킬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균형있게 섭취하기 위해 하루 세 끼 식사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실제로 분석 결과에서도 아침식사를 결식하는 경우 영양섭취부족 분율이 높고, 지방 과잉섭취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5).



7. 영양교육 및 상담 경험률 증가(초등학생 이상)


영양교육 및 상담 경험률은 남자 6.4%, 여자 7.7%로 남녀모두 HP2020 목표(20.0%)의 절반 이하 수준이었다. 6-18세는 목표를 달성하거나 근접한 반면, 19세 이상의 경우 10.0%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성인과 노인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1). 직업군, 교육수준에 상관없이 성인은 전반적으로 영양교육 및 상담 경험률이 낮은 경향으로 성인과 노인의 영양교육 및 상담 경험률 증가를 위해서는 직장이나 지역사회 기반의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설 등 영양교육의 기회 마련이 필요하다(그림 6).



8.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만1세 이상)


칼슘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칼슘 적정섭취분율)은 남자 19.3%, 여자 14.5%로 남녀 모두 HP2020 목표(21.0%) 미만이었다. 1-5세 영유아와 남자 30-64세는 HP2020 목표를 달성하였으나 그 외에는 HP2020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12-18세와 75세 이상의 칼슘 적정섭취분율은 10.0% 미만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칼슘 적정섭취분율은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은 경향이었다(표 1).

9. 비타민 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만1세 이상)

비타민A를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비타민A 적정섭취분율)은 남자 35.6%, 여자 32.3%로 여자가 남자보다 낮았으며, 남녀 모두 HP2020 목표(49.2%) 미만이었다. 비타민 A 적정섭취분율은 전 연령이 HP2020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낮은 경향이었다(표 1).





  맺는 말


HP2020 영양부문 성과지표의 세부집단별 현황을 살펴본 결과, 세부집단별로 개선이 필요한 지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동 및 청소년은 과일/채소, 칼슘, 비타민 A 적정섭취분율이 다른 연령에 비해 낮았고, 성인은 지방과 나트륨 적정섭취분율과 아침식사 결식률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은 건강 식생활 실천율, 지방 적정섭취분율, 영양표시 이용률, 칼슘과 비타민 A 적정섭취분율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다른 연령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여 전반적인 식생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HP2020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세부집단별 현황을 반영한 중재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HP2020 영양 부문 성과지표를 기반으로 심층 분석한 결과를 수록한 영양통계집 「우리 국민의 식생활현황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영양지표를 중심으로」를 2018년 10월에 발간한 바 있다[5]. 이 글에서는 영양통계집의 일부 결과만 소개하였다. 상세한 결과는 영양통계집과 그  별첨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고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http://knhanes.kdca.go.kr) 발간자료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① 이전에 알려진 내용은?
지난 주간 건강과 질병 제11권 제44호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를 기반으로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P2020) 영양지표 현황 및 추이를 살펴본 바 있다. 그 결과 HP2020 목표를 달성한 성과지표는 ‘영양섭취 부족 노인(만75세 이상) 인구비율 감소’와 ‘리보플라빈을 적정수준으로 섭취하는 인구비율 증가’ 2개에 불과했으며, ‘건강 식생활 실천율 증가’를 포함하여 나머지 성과지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새로이 알게 된 내용은?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으로 HP202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세부집단 별 현황을 파악하였고 세부집단별로 개선이 필요한 지표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③ 시사점은?
  HP2020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집단별 격차 완화 및 세부집단별 현황을 반영한 중재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보건복지부. 제4차 국민건강종합증진계획(2016-2020). 2016.
2.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주간 건강과 질병. 제11권 제44호. 2018.
3.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식품성분표 제8개정판. 2011.
4. 한국영양학회. 2010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개정판. 2010.
5.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우리 국민의 식생활 현황 : 제4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중심으로. 2018.




Attainment of targeted goals of nutrition indicators in the fourth Health Plan 2020


Yun Sungha , Oh Kyungwon

Division of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ttainment of  nutrition indicators in the fourth Korea Health Plan 2020.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2007-2008)-VI (2013-2015).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adequate intake of fruits, vegetables, calcium, and vitamin A was low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6-18 years than the other groups. The proportion of those with adequate intake of fat and sodium was lower and more individuals with skipping breakfast was higher in adults aged 19-64 years than in the those of the other groups. Most of the indicators, such as the practice of healthy eating; adequate intake of fat, calcium, and vitamin A; and use of nutrition labels, were lower in the elderly than in individuals of other groups. Thus, overall improvement is needed.


Keywords: The 4th Health Plan 2020,  Nutrition indicators, dietary habit, practice of healthy eat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