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심포지움

2023 ONE HEALTH AMR INTERNATIONAL SYMPOSIUM

  1. 일시 : 2023.11.23.(목)~11.24.(금)
  2. 장소 : 서울 드래곤시티(그랜드 머큐어 호텔 랑데부홀)
  3. 주관 :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4. 사전등록 : 2023.10.30 ~ 11.21  링크

프로그램 포스터 보기

11.23.(목)

심포지움 일정
시간 제목 연자
12:30~13:00 참가자 접수 및 등록
13:00~13:10 개회

국립보건연구원장 박현영

질병관리청장 지영미

라이트재단 대표이사 김한이

13:10~13:15 기념촬영 기관별 대표 참석자 등

SESSION I (13:15 ~ 15:20) (20분 발표/5분 질의응답)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아시아 지역의 대응 현황

좌장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홍빈 교수

13:15~13:40 서태평양 지역의 항생제내성으로 인한 질병부담

Dr. Takeshi Nishijima
(WHO WPRO)

13:40~14:05 일본의 AMR NAP와 국가 차원의 항생제 내성 감시 및 원헬스 연구

Dr. Yumiko Hosaka
(일본 NIID)

14:05~14:30 항생제 사용 감시와 항생제 내성으로 인한 질병부담

Mr. Ryuji Koizumi
(일본 NCGH AMR CRC)

14:30~14:55 태국의 국가차원 항생제 내성 감시와 원헬스 연구

Prof. Pinyo Rattanaumpawan
(Mahidol Univ.)

14:55~15:20 한국의 항생제내성 대응전략

유정식 과장
(국립보건연구원)

15:20~15:30 휴식시간

SESSION II (15:30 ~ 17:25) (15분 발표/5분 질의응답)

항생제 내성을 다루기 위한 차세대 글로벌 R&D 현황 – 중저소득국가 중심

좌장 : 라이트재단 이훈상 이사 / 국립감염병연구소 장희창 소장

15:30~15:50 항생제 내성에 대한 글로벌 전망 및 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

Dr. Seamus O’Brien
(GARDP)

15:50~16:10 현재 항생제 내성 진단의 미흡점 및 우선순위

Mr. Willo Brock
(FIND)

16:10~16:25 항생제 내성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한 국제 개방형 협력

장수진 팀장
(한국파스퇴르연구소)

16:25~16:40 AMR 감시 네트워크에 의한 중저소득 국가와의 협력을 통한 항생제 내성 추적

Dr. Nimesh Poudyal
(IVI)

16:40~16:55 항생제 내성 극복을 위한 R&D 공헌

윤은정 연구관
(국립보건연구원)

16:55~17:25 패널 토의: 세션 연자

이훈상 이사(라이트재단)

장희창 소장(국립감염병연구소)

17:25~17:30 1일차 종료 및 2일차 행사 안내

사회자

11.24.(금)

심포지움 일정
시간 제목 연자
09:00~09:30 참가자 접수 및 등록

SESSION III (09:30 ~ 10:10) (15분 발표/5분 질의응답)

국가 항생제내성관리대책과 국내 추진현황

좌장 : 감염병연구센터 정경태 센터장

09:30~09:50 국가 항생제내성 관리대책 및 대응전략

최연화 과장
(질병관리청)

09:50~10:10 식품유래 항생제내성 저감을 위한 식약처의 노력

김성일 과장
(식품의약품안전처)

10:10~10:20 휴식시간

SESSION IV (10:20 ~ 11:40) (15분 발표/5분 질의응답)

One Health 관점의 항생제내성 연구 (I)

좌장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석훈 교수

10:20~10:40 다분야 항생제 내성 통합감시 연구

김도균 교수
(연세대학교)

10:40~11:00 수산동물 병원성 세균 항생제 내성에 관한 연구

정준범 교수
(제주대학교)

11:00~11:20 식품 중 장관계감염 병원균 특성

채종찬 교수
(전북대학교)

11:20~11:40 도시 유역 물순환 내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및 제어 연구

김성표 교수
(고려대학교)

11:40~13:00 점심식사

SESSION V (13:00 ~ 14:00) (15분 발표/5분 질의응답)

One Health 관점의 항생제내성 연구 (II)

좌장 :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 윤장원 교수

13:00~13:20 숙주 및 환경 인자에 의한 다제 내성균의 형성과 진화

이원식 교수
(성균관대학교)

13:20~13:40 가축 항생제 적정 사용 모델 개발

이영주 교수
(경북대학교)

13:40~14:00 특정지역 내 주요 농산물 및 농업환경의 항생제 내성 모니터링 및 전파경로 구명

이주훈 교수
(서울대학교)

14:00~14:10 폐회사

유정식 과장
(국립보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