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정의) 남아메리카에서 발생한 출혈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출혈성 질환
- Junin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아르헨티나출혈열(Argentine hemorrhagic fever)
- Machupo 바이러스 등 감염에 의한 볼리비아출혈열(Bolivian hemorrhagic fever)
- Guanarito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베네수엘라출혈열(Venezuelan hemorrhagic fever)
- Sabia 바이러스 등
감염에 의한 브라질출혈열(Brazilian hemorrhagic fever)
○ (종류)* 아르헨티나출혈열, 볼리비아출혈열,
베네수엘라출혈열, 브라질출혈열 등
* 각 국가별로 다른
바이러스․매개설치류에 의해 발생
발생현황
○ 아르헨티나출혈열
- (국내) 발생
보고 없음
- (국외)
아르헨티나에서 매개 설치류 서식지 중심으로 발생
⋅ 1958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북부 팜파스 지역에서 처음 발생*
* 당시 감염된 설치류가 거주하는 지역의 옥수수 밭에서 2월과 5월 사이에 옥수수를 수확하던 농부들이
주로 감염
⋅ 1980년대 아르헨티나 북동부 여러
지역에 토착화되어 매년 200∼2,000명 감염 발생
⋅ 1993년, 24,000명의 사례
발생
⋅ 미군*의 약독화 생백신 개발 이후
급격한 환자 발생 감소, 주로 옥수수 수확 시기(3-6월) 중심으로 연간 100명 이하 발생
* U.S. Army
Medical Research Institute of Infectious Diseases
⋅
인체 감염 발생률과
매개설치류(Calomys musculinus) 집단 내 바이러스의 수평 전파는 해당 지역 매개설치류 개체수 밀도와 높은 상관성을
보임
○ 볼리비아출혈열
- (국내) 발생
보고 없음
- (국외)
볼리비아에서 수년에 한 번씩 유행발생 보고
⋅ 1959년 볼리비아 San
Joaquin 지역에서 유행 발생하며 발견
⋅ 1959∼1962년,
볼리비아 El Beni 지역에서 환자 470명(사망 142명) 발생 보고
⋅ 이후 1971년부터 1994년까지는 유행발생 보고 없었으나, 1994년 여름 볼리비아 El
Beni 지역에서 유행 발생하여 10명 발생
⋅ 2008년 환자 200명 이상(사망 12명) 발생 보고
○ 브라질출혈열
- (국내) 발생
보고 없음
- (국외) 전
세계적으로 현재까지 환자 3명 발생, 이 중 2명은 실험실에서 감염
⋅ (사례 1, 2)
1990년 브라질 상파울로 인근 Jardim Sabia 지역에 거주중인 농업 기술자 여성이 출혈열 증상 보인 뒤 사망하였고, 부검 결과 간 괴사
확인. 이후 이
환자를 연구하던 바이러스
학자가 감염되었으나 생존
⋅ (사례 3) 1994년
미국 예일대학교에서 연구원이 실험 중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으나 리바비린으로 치료
○ 베네수엘라출혈열
- (국내) 발생
보고 없음
- (국외)
베네수엘라의 Portuguesa, Barinas 지역에서 발생
⋅ 1989년 이주민들이
베네수엘라 작은 마을에 정착하며 유행 발생하여 처음 발견되었으며, 이후 약 200명의 사례가 발생 보고됨
⋅ 정확한 이유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지난 20년간 감소 추세
역학적 특성
○ (병원체)
New World 아레나바이러스과(Arenaviridae) 아레나바이러스(Arenavirus) 속 Guanarito, Junin,
machupo, Sabia virus 등
○ (매개체)
설치류
< 표. 남아메리카출혈열 질병별
병원체, 매개체 및 발생지역 >
질환명 |
병원체 |
동물병원소 |
발생지역 |
주요증상 |
아르헨티나
출혈열 |
Junin
virus |
설치류
Calomys musculinus |
아르헨티나,
남미 대륙 |
발열, 근육통, 출혈열 증상 |
볼리비아
출혈열 |
machupo
virus |
설치류
Calomys callosus
(large vesper mouse) |
볼리비아 Bendi,
San Joaquin 지역 |
발열, 근육통, 의식
저하, 경련, 출혈열 증상 |
브라질
출혈열 |
Sabia
virus |
설치류
(알려진 바 없음) |
브라질
상파울로 근교 |
발열, 근육통, 출혈열, 쇼크, 혼수 |
베네수엘라
출혈열 |
Guanarito
virus |
설치류
(Zygodontomys
-brevicauda) |
베네수엘라의
Portuguesa,
Barinas 지역 |
근육통, 인두통, 구역, 설사,
출혈열 증상 |
○ (전파경로) 인체 감염은 주로 감염된 쥐 분비물 및 배설물과 접촉, 에어로졸 형태로
흡입하여 발생
- 남아메리카 토착지역 여행, 체류, 근무, 쥐 또는 쥐 배설물 접촉 이력 및 출혈열 증상 발현이 진단의
핵심
- 병원 및 실험실 내 감염, 전파 사례도 보고됨
- 흔히 발생하지는 않으나 감염된 환자의 혈액, 체액 접촉을 통해 전파 가능
임상적 특징
○ (잠복기) 질병마다 다양하게 알려짐
- 아르헨티나출혈열:
7-13일
- 볼리비아출혈열:
3-16일
- 브라질출혈열:
7-12일
- 베네수엘라출혈열:
3-21일
○ (주요증상)
- 질병 1주째에 비특이적인
인플루엔자 유사 증상 또는 뎅기열 유사 증상 발현
- 질병 2주째에 감염 사례의
20-30% 정도가 출혈열 또는 신경학적 증상 발현 이후 다발성 장기부전 후 사망에 이름
실험실 검사
○ 남아메리카출혈열 바이러스 유전자검출검사(Realtime
RTPCR test 등)
- (핵산추출) 상용화된 키트
등을 이용하여 검체로부터 핵산 RNA 추출
- (유전자검출) 실시간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법
*
질병 발생 초기 또는 사망 시, 눈에 띄는
항체반응이 없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에 의존
※ 필요 시,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유행하는 질병(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등)과 감별 위해 해당
검사를 포함한 감별진단 검사 실시
치료
○ 대증치료(상용화된 특이 치료제 없음)
※ (참고) 아레나 바이러스 감염 시 항바이러스제(리바비린) 치료
문헌
아르헨티나출혈열
(junin virus 감염 치료) |
Treatment of Argentine hemorrhagic fever. Antiviral Res. 2008
Apr;78(1):132-9. Epub 2007 Nov 20. |
볼리비아출혈열
(Machupo virus 감염 치료) |
Treatment of Bolivian hemorrhagic fever with intravenous ribavirin. Clin
Infect Dis. 1997 Apr;24(4):718-22. |
브라질출혈열
(Sabia virus 감염 치료) |
Brief report: treatment of a laboratory-acquired Sabia virus infection. N
Engl J Med. 1995 Aug;333(5):294-6. |
예방
○ 매개체 감소
조치 통한 감염 기회 최소화
○ 유행지역에
방문하거나 머무는 동안 감염 예방 수칙 준수
- 손씻기 등 개인위생 철저,
오염된 손으로 눈, 코, 입 등 점막 부위 접촉 삼가
- 쥐 배설물(소변,
배설물)에 오염된 환경 노출 시 개인위생, 음식섭취* 주의
* 뚜껑 없이 보관한 음식(물) 섭취 삼가
등
○ 보건⋅의료종사자는 모든 환자에 대해 표준주의* 준수
*
특히, 혈액, 체액 및 검체 취급 시 주의 및
상황(치료⋅간호⋅이송⋅사체처리 등)에 따른 적절한 개인보호구 선택, 사용 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