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감염에 의한 급성 호흡기 질환
역학
○ 호흡기 분비물이나 비말을 통한 호흡기 전파가 주된 전파경로
○ 백일해의 전염성은 매우 높아 가족 내 2차 발병률이 80%에 달함
○ 잠복기: 4~21일(평균 10일)
○ 전염기: 전구기 시작~발작성 기침 시작 후 3주(또는 적절한 항생제 투여 시작 후 5일 까지)
치료
○ 대증적 치료 및 항생제
예방
○ 예방접종
[접종대상 및 시기]
모든 영유아 및 소아
◦ 기초접종(DTaP 혹은 DTaP-IPV, DTaP-IPV/Hib): 생후 2, 4, 6 개월
◦ 추가접종
⊙ 생후 15~18개월(DTaP)
⊙ 4~6세(DTaP 혹은 DTaP-IPV)
⊙ 11~12세(Tdap 혹은 Td)
⊙ 이후 Td 백신으로 매 10년마다
추가접종. 11세 이후 접종 중 한 번은 Tdap으로 접종해야
하며, 가능한 한 11~12세에 Tdap으로 접종.
[접종용량]
◦ 0.5 mL 피하 또는 근육주사
[접종방법]
◦ 영유아는 대퇴부 전외측, 소아나 성인은 삼각근 부위에 근육주사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백일해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백일해가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임상증상
○ 전구기 : 콧물, 눈물, 경한 기침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1~2주간 나타남
○ 경해기 : 이후 2~4주간
발작적인 기침이 나타나고 기침 후에 구토를 보임
○ 회복기 : 1~2주에 거쳐 회복기에 이르는데 이때 상기도 감염에
이환되어 다시 발작성 기침이 재발되는 경우도 있음
○ 연령, 백신 접종력, 수동
면역항체 보유여부에 따라 증상이 다양할 수 있으며, 뚜렷한 변화 없이 가벼운 기침이 1주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비인두흡인액, 비인두도찰물)에서 B. pertussis 분리 동정
○ 검체(비인두흡인액, 비인두도찰물)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감염병관리과
FAQ
Q1. 백일해 유행 시기에 어떻게
예방접종을 해야 하나요?
○ 백일해 유행 시 영아의 경우 생후 6주부터 7세 미만까지 DTaP 접종을 권장하며 4주 간격으로 접종합니다. 6개월 미만 연령의 영유아를 돌보는 가족
및 의료 종사자도 Tdap 접종을 권장하며, 이전 Td 접종과 특별한 간격을 유지하지 않고 접종할 수 있습니다.
Q2. 거주하는 지역에 백일해가 유행할
경우 임신부는 Tdap 접종을 받아야 되나요?
○ 임신은 Tdap 접종의 금기사항은 아니나, 평상시 가임기 여성의 경우 가능하면 임신 전에 Tdap을 접종하고, 임신 중이라면 출산 직후에 접종하도록 권장합니다. 다만, 거주 지역에 백일해가 유행할 경우 임신 27~36주에 Tdap 접종을 권장합니다.
Q3. 지역사회에 백일해가 유행이라
백신 접종을 권고 받았습니다. 비용 지원이 되나요?
○ 유행과 관련된 예방접종 비용 지원은, 임시 예방접종 대상자(유행 집단 또는 고위험군 등), 정기 국가예방접종 대상자(만 12세 이하)입니다. 이외의 경우에는 비용 지원이 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