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A군 베타 용혈성 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의 발열성 외독소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
질병분류
○ 제3군 법정감염병 ICD-10 A38
병원체
○ A군 베타용혈성 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 발열외독소를 생산하는 Streptococcus pyogenes
전파경로
○ 환자와 보균자의 호흡기 분비물과 직접 접촉
○ 환자와 보균자의 호흡기 분비물이 손이나 물건을 통한 간접 접촉
○ 무증상 보균자의 빈도는
8.5~21.9% 로 보고
호발대상
○ 5세~15세에 주로 발생
잠복기
○ 1~7일 (평균 3일)
주요증상
○ 인두통에 동반되는 갑작스런 발열,
두통, 식욕부진, 구토, 인두염, 복통 등
○ 발진 : 1~2일 후면
작은 좁쌀 크기로 입주위 및 손발바닥을 제외한 전신에 나타나지만 발진은 병의 첫 징후로 나타나기도 함. 발진은 3~4일 후면 사라지기 시작하며, 간혹 손톱 끝, 손바닥, 발다닥 주위로 피부 껍질이 벗겨지기도 함
○ 붉은 얼굴 : 얼굴은
홍조가 나타나나 입주위는 창백
○ 혀 : 처음에는 회백색이
덮이고 돌기가 현저히 두드러지는 모양에 발병 후 2~3일 지나면 붉은 색을 띠고 돌기가 붓는 딸기 모양으로
새빨간 혀가 됨(strawberry tongue)
○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화농성의 삼출액, 경부 림프절 종창 등
합병증
○ 화농성 : 중이염, 경부림프절염, 부비동염, 폐렴, 수막염 등
○ 비화농성 : 급성사구체신염, 류마티스열
치 료
○ 항생제 치료 : 아목시실린(Amoxicillin), 페니실린(Benzathine penicillin G)
치사율
○ 1% 이하
관 리
○ 환자관리 :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 격리
○ 접촉자관리 : 집단 시설에서
침습성 A군 연쇄구균 감염증*, 급성 류마티스열, 연쇄구균 감염 후 사구체신염 유행이 의심 시 보균자에 대한 항생제 치료 고려
* 괴사성 근막염, 독성쇼크
증후군 등
예 방
○ 예방 백신 없음
○ 일반적 예방
⊙ 올바른 손씻기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씻기
- 기침 예절
⊙ 기침이나 재채기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기
⊙ 발열 및 호흡기 증상이 있으면 마스크 쓰기
- 수건, 물컵, 식기구 등 개인 용품 공유하지 않기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성홍열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확인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의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성홍열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추정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성홍열이 의심되며, 추정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이 추정되는 사람
▣ 임상증상
○ 고열(39℃-40℃), 인두통, 두통, 구토, 복통 등
○ 발진 : 발열 1∼2일 후 작은 좁쌀 크기의 발진이 입주위를 제외한 전신에 나타남
- 몸통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팔다리로 퍼져나가는 미만성의 선홍색 작은 구진으로 압력을 가하면 퇴색하는 것이 특징
- 보통 1주일 지나면 발진이 사라지는데 환자의 1/3정도는 발진이 없어진 후 피부 껍질이 벗겨지며 흉터가 남을 수 있음(겨드랑이, 손끝, 엉덩이, 손톱 기부 등)
○ 얼굴 : 홍조를 띠게 나타나지만 입주위는 창백
○ 혀 : 처음에는 회백색이 덮이고 돌기가 현저히 두드러지는 모양인데(white tongue) 발병 후 2∼3일 지나면 붉은 색을 띠고 돌기가 붓는 딸기 모양으로 새빨간 혀가 됨(strawberry tongue)
○ 인두염, 편도선이나 인두 후부에 점액 화농성의 삼출액, 경부 림프절 종창 등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확인 진단
- 검체(구인두도말, 혈액)에서 S. pyogenes 분리 동정
○ 추정 진단
- 검체(구인두도말)에서 특이 항원 검출(신속진단키트 포함)
▣ 신고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방법 :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웹(http://is.cdc.go.kr) 또는 팩스의 방법으로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감염병관리과
FAQ
Q1. 성홍열은 무엇인가요?
○ A군 베타 용혈성 연쇄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에 감염되어 발열성 외독소에 의한 갑작스런 발열, 두통, 복통 인후통, 발진을 동반하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Q2. 성홍열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 성홍열에 감염될 경우 갑작스런 발열, 인후통, 두통, 메스꺼움과
구토가 나타나고 1~2일후에 전형적인 발진이 나타납니다. 발진은
가슴과 복부에서 다른 부위로 빠르게 번져나가며 보통 1주일이 지나면 발진이 사라지게 됩니다. 혀는 처음에 회백색이 덮이고 돌기가 현저히 두드러지는 모양이며(white
strawberry tongue) 발병 후 2~3일 지나면 붉은 색을 띠고 돌기가 붓는
딸기 모양(strawberry tongue)이 됩니다.
Q3. 성홍열의 합병증은 무엇인가요?
○ 대부분의 성홍열의 경우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지만 드물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농성 합병증은 중이염, 편도농양, 경부 림프절염, 부비동염, 폐렴
등이 있으며, 비화농성 합병증으로는 류마티스열이나 급성 사구체신염 등이 있습니다.
Q4. 성홍열 환자는 격리시켜야 하나요?
○ 성홍열은 환자와 보균자의 분비물(점액
및 타액)의 직접 접촉 또는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하여 비말에 의해 전파되므로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는 등교, 등원, 출근등을
하지 않고 자택 격리를 해야하며, 입원을 한 경우는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 비말격리가 필요합니다.
Q5. 성홍열 환자는 얼마나 오랫동안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나요?
○ 적절한 항생제로 치료시작하면 24시간
후 전염력은 소실되지만 치료하지 않는 경우2~3주까지 전염이 가능합니다.
Q6. 성홍열 예방은 어떻게 하나요?
○ 성홍열 병원체는 감염된 사람의 입,
목, 코에 존재하며 그 사람의 분비물(점액 및
타액)에 의하여 전파됩니다. 감염된 사람이 만진 모든 물건에
병원체가 존재할 수 있어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 기침예절 준수 등의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