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C형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 감염에 의한 급· 만성 간질환
병원체 특징
○ Flaviviridae 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
○ 1~6까지 6개의 유전자형이 있으며 아형은 70개 이상
감염원
○ HCV에 오염된 혈액이나 기구 등
전파경로
○ 주사기 공동 사용, 수혈, 혈액투석, 성접촉, 모자간 수직 감염 등 혈액매개 전파
○ 일상생활에서 사람 간 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음
잠복기
○ 2주-6개월(평균 6-10주)
치료
○ 급성간염 : 안정, 고단백 식이요법
○ 만성간염 : 안정, 식이요법, 항바이러스제
치료
○ 유전자형에 따라 사용하는 치료제가
달라짐
○ 효과적인 치료제 도입으로 치료율
향상(70~90%)
○ 페그인터페론(주사제), 리바비린 병합요법
○ 경구용 신약(DAA, direct acting antivirals)
⊙ ledipasvir/sofosbuvir
⊙ sofosbuvir
⊙ daclatavir
⊙ asunaprevir
⊙ ombitasvir/paritaprevir/ritonavir
⊙ dasabuvir
⊙ grazoprevir/elbasvir
⊙ sofosbuvir/velpatasvir
※ 2017월 2월 현재 국내외에서 사용중인 대표적인 약물의 예를 언급한
것으로 임상시험 결과 및 가이드라인 변경에 따라 약물이 추가 혹은 변경될 수 있음.
※ 미국에서는 페그인터페론(주사제), 리바비린 병합요법을 낮은 치료 성공률과 부작용으로 더 이상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2014)
환자 관리
○ 환자의 별도 격리 불필요
○ 혈액 및 체액 노출 예방을 위한 감염예방수칙 준수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병원체보유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C형간염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임상증상은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임상증상
○ 급성 C형 간염
- 초기 감염 후 약 70∼80%의 환자에서 무증상
- 서서히 시작되는 감기 몸살 증세, 전신 권태감, 오심, 구역질, 식욕부진, 우상복부 불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남
○ 만성 C형 간염
- 대부분의 환자(약
60~80%)에서 무증상
- 만성 피로감, 간부전이나 문맥압 항진증 등의 간경변증 발생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에서 HCV 특이 유전자(RNA)
검출
▣ 신고시기 : 24시간 이내 신고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감염병관리과
FAQ
Q1. C형간염은 무엇인가요?
○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간에 염증을 유발하는 질병입니다. B형간염과 비교 시 만성간염으로 진행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는 경우 간경변증 또는 간세포암으로 진행합니다.
Q2. C형간염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혈액이나 체액에 의하여 전파되므로 주사기를 재사용하거나 C형간염 감염자의 혈액을 수혈받거나 장기를 이식한 경우에도 전파됩니다. C형간염
감염자인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수직감염 되기도 하며 성접촉에 의한 전파, 또는 문신이나 피어싱 등에
의해서도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3. C형간염 환자와
같이 생활해도 괜찮나요?
○ 식사, 포옹, 손잡기 등 일상적인 접촉이나 기침 등으로 C형간염이 전염되지 않습니다.
Q4. C형간염은 치료가
되나요?
○ 과거에는 치료가 어려운 질병 중 하나였으나 최근 신약의 개발로 치료성공률이 90% 이상까지 높아졌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 비교적 흔한 것으로
알려진 1b, 2a 유전자형의 경우 치료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5. C형간염의 증상은
무엇입니까?
○ 급성 C형간염의 경우 70~80%에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열, 피로감, 식욕저하, 어두운
소변, 복통, 구역, 구토, 관절통, 황달 등
Q6. 증상이 없는 C형간염 감염자도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수 있습니까?
○ 네, 그렇습니다.
Q7. C형간염 바이러스가
인체이외 외부에서도 살 수 있나요?
○ 상온에서 최대 3주까지
생존 가능합니다.
Q8. 감염되면 증상은 얼마만에 나타나나요?
○ 잠복기는 2주-6개월이며, 평균적으로 6-10주
정도 됩니다. 급성간염 시 70~80% 정도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Q9. C형간염에 감염되면
간기능검사에서 확인되나요?
○ 그렇지 않습니다. 많은
경우 C형간염에 감염되어도 간기능 검사가 정상으로 나올 수 있습니다.
C형간염에 감염되었다면 6-12개월 주기로 간기능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는 것이 좋으며 의료진과
상담하기 바랍니다.
Q10. C형간염은 백신이
있습니까?
○ B형간염과 달리 C형간염은
백신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