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웨스트나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질환
병원소
○ 모기
○ 조류(까마귀, 까치, 어치 등), 말, 사람
매개체
○ 주로 집모기류(Culex ssp.)
⊙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complex), 지하집모기(Culex pipiens molestus) 등
○ 금빛숲모기(Aedes vexans), 일본숲모기(Aedes japonicus)
전파경로
○ 웨스트나일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에 물려 전파
○ 혈액을 통한 전파-수혈, 장기이식, 주사기
좌상
○ 수직감염, 주산기 감염, 수유 등
증 상
○ 감염된 사람들의 70~80%는 무증상임
○ 신경계 비침습 질환(Non-neuroinvasive disease)
⊙ 발열, 오한, 주로
허약감, 두통, 식욕감퇴,
근육통, 구역, 구토, 발진, 림프절병증, 안구통
등
○ 신경계 침습 질환(Neuroinvasive disease)
⊙ 수막염, 뇌염, 급성
이완성 마비(acute flaccid paralysis) 또는 급성의 중추 혹은 말초 신경계 이상
잠복기
○ 평균 2-6일(2-14일)
치사율
○ 신경계 감염을 일으킨 경우는
약 10%
법정감염병
○ 제4군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의사환자, 병원체보유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웨스트나일열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의사환자 :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웨스트나일열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부합하는 검사결과가 없는 사람
○ 병원체보유자 : 웨스트나일열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이 없으나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임상증상
○ 신경계 비침습 질환 (Non-neuroinvasive disease)
- 임상 진단 기준 : 발열, 오한이
있으면서 신경계 침습이 없고 다른 질환으로 진단을 설명할 수 없음
- 주로 허약감, 두통, 식욕감퇴, 근육통, 구역, 구토, 발진, 림프절병증, 안구통
등을 보임. 대부분(약
80%)의 웨스트나일바이러스 감염은 무증상이며, 약
20%는 경한 임상증상을 보이며 증상은 3~6일 정도 지속됨
○ 신경계 침습 질환 (Neuroinvasive disease)
- 임상 진단 기준 : 수막염, 뇌염, 급성 이완성 마비(acute flaccid paralysis) 또는
급성의 중추 혹은 말초 신경계 이상을 보이면서, 다른 질환으로 진단을 설명할 수 없음
○ 중증감염은 전체 감염의 1% 이내로 드물게 나타나며 신경증상을
동반하는데 고령자에서 흔함
○ 뇌염이 수막염보다 흔하게 나타나며 발열, 위장관 증상, 허약감, 의식수준의 변화 등을 보이고 심한 근육 허약과 이완성 마비를
보일 수 있음. 조화운동불능, 시신경염, 뇌신경 이상, 다발신경근염, 척수염, 경련 등의 신경증상을 보일 수 있음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검체(혈액, 뇌척수액, 조직)에서 바이러스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바이러스
특이 IgM 항체 검출
○ 검체(혈액, 뇌척수액, 조직)에서 바이러스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지체없이 신고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 질병보건통합시스템 (http:// is.cdc.go.kr) 온라인 검사의뢰 절차
○ (감염병 신고시)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 → 환자감시 → 감염병웹신고 또는 보고→ 신고 또는 보고내역관리 → 조회 → 감염병보고 목록에서 환자선택 → 검사의뢰
○ (감염병 미신고시)
감염병관리통합정보지원 → 병원체확인 → 검사의뢰현황관리 → 검사의뢰접수 현황관리 → 검사의뢰
FAQ
Q1. 웨스트나일열은 무엇인가요?
○ 웨스트나일열은 모기를 매개로 하는 바이러스 질환으로 척추동물(vetebrate)과 모기 사이에서 감염되는 질병입니다. 주로 바이러스가
증폭되는 숙주로는 새가 있으며, 사람은 주로 집모기류(Culex)에
물려 감염됩니다.
Q2. 웨스트나일열 임상 양상은 어떤가요?
○ 주로 감염자의 80%정도가
무증상감염이며, 대부분 증상 발현자들은 심각한 고열, 두통, 근육통, 관절통, 위장관
증상 및 일시적 반구진 발진 등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전체 감염자의 1% 이하는 신경계침습질환으로 발전합니다.
Q3. 웨스트나일열은 어떻게 전파되나요?
○ 집모기류(Culex) 모기에
물려 전파되며, 전 세계적으로 약 30개 이상의 모기가 웨스트나일열을
매개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이외 전파경로로는 혈액 및 장기이식을 통해 감염되거나 아주 드물게는
태반 및 모유수유를 통한 수직감염이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Q4. 웨스트나일열에 주로 감염되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 웨스트나일열의 경우, 일반적으로
웨스트나일열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드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에서는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현재 웨스트나일열 발생국가는 아니며, 국내 매개모기를 통한 발생 사례 없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