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 매독균(Treponema
pallidum)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성기 및 전신 질환
임상적 특징
○ 전파경로
⊙ 성접촉, 수직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으로 전파됨
⊙ 1기 또는 2기 매독환자의 성접촉시에 약 50%가 감염됨
○ 임상증상
⊙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 2기 매독
○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 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 3기 매독
○ 고무종(gumma) : 피부, 뼈, 간
등을 침범함
○ 심혈관 매독 : 주로 상행 대동맥을 침범함
○ 신경 매독 : 무증상 매독, 뇌막혈관 매독, 척수로, 진행마비 등을 보임
⊙ 잠복 매독
○ 조기 잠복 매독 : 감염 후 1년 이내로 감염성이 높은 시기임
○ 후기 잠복 매독 : 감염 후 1년 이상 경과한 경우
⊙ 선천성 매독
○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 조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 (saber shins) 등을 보임
진단 신고 기준
▣ 신고범위 : 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 환자
- 1기․2기 매독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선천성 매독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에 따라 감염병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 임상증상
① 1기 매독 : 경성하감(chancre)이
특징적 병변으로, 균이 침입한 부위에 통증이 없는 구진이나 궤양이 발생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 자연
소실됨
② 2기 매독
- 감염 6주 내지 6개월
후에 발생함
- 열, 두통, 권태감, 피부병변(반점, 구진, 농포성 매독진, 편평 콘딜롬), 림프절
종대 등을 보임
③ 선천성 매독
- 대개 임신 4개월 후에 감염이 발생함
- 조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내에 발병하며, 성인의 2기매독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
- 후기 선천성 매독 : 생후 2년
후에 발병하며 Hutchinson 치아, 간질성 결막염, 군도 정강이(saber shins) 등을 보임
▣ 진단을 위한 검사기준
○ 1기·2기 매독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 균 검출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트레포네마검사 양성
검체(경성하감 또는 편평콘딜롬과 같은 피부병변, 궤양부위 삼출액(농, 진물), 혈액)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선천성 매독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 림프절, 제대혈)에서 암시야현미경검사로 매독균 검출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트레포네마검사 양성
검체(태반, 제대, 피부병변, 림프절, 제대혈)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신고시기 : 7일 이내
▣ 신고방법 : 감염병 발생 신고서를 작성하여 관할 보건소로 팩스 또는 웹(http://is.cdc.go.kr)의
방법으로 신고
* 사망(검안) 신고는
감염병환자등 사망(검안) 신고서, 병원체검사결과 신고는 병원체 검사결과 신고서를 작성하여 추가 신고
▣ 질병관리청 담당부서 : 결핵에이즈관리과, 세균분석과(진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