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활용논문 상세보기

(*)표시는 필수 입력항목입니다.

자료활용논문 상세보기 - 구분, 게재년도, 제목, 이용자료년도, 저자, 주요내용, 간행물명, 권(호)으로 구성

구분

학회지

게재년도

2024년

제목

한국 청소년의 최근 1년간 외상성 치아 손상 경험과 관련 요인 분석-제19차(2023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자료 이용

이용자료년도

2023년

저자

정세환(강릉원주대학교/교수/교신저자)

주요내용

이번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TDI 경험과 관련 요인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제19차(2023년)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수행했다. 원시자료는 질병관리청 누리집에서 원시자료 이용자 동의 절차를 거쳐 내려받았고 원시자료 이용지침서에 따라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
첫째, 청소년의 최근 1년간 TDI 경험률은 3.6%였다.
둘째, 복합표본 교차분석 결과, 청소년의 최근 1년간 TDI 경험률은 여학생, 고등학교 1학년, 슬픔과 절망감 경험, 가장 낮은 학업 성적, 가장 낮은 가정경제 상태, 학교에서 손상으로 인한 병원치료 경험, 폭력으로 인한 병원 치료 경험, 학교에서 안전교육 무경험, 현재 음주, 매일 흡연, 약물 사용 경험,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1).
셋째,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청소년의 최근 1년간 TDI 경험과 관련 요인과의 연관성은 여학생, 고등학교 1학년, 슬픔과 절망감 경험, 가장 낮은 학업 성적, 학교에서 손상으로 인한 병원치료 경험, 폭력으로 인한 병원 치료 경험, 학교에서 안전교육 무경험, 현재 음주, 매일 흡연, 약물 사용 경험, 고강도 신체활동 실천 등에서 확인되었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청소년의 TDI 경험은 성별, 학교 학년(나이)과 더불어 심리 사회적 특성, 손상과 안전, 문제행동 범주의 다양한 요인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임상검사를 포함한 전향적 종단 연구를 통해 TDI 현황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한국 청소년의 TDI 경험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로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다.

간행물명,권(호)

대한구강보건학회지, 48 (3)
수정 삭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