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시는 필수 입력항목입니다.
구분 |
학회지 |
게재년도 |
2022년 |
---|---|---|---|
제목 |
청소년의 범불안 수준에 따른 삶의 질 차이 | ||
이용자료년도 |
2020년 | ||
저자 |
김은향(청주교육대학교 부교수) | ||
주요내용 |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범불안 경향성을 알아보고, 범불안 수준에 따른 청소년 삶의 질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응답한 청소년 54,948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범불안 수준과 함께 정신 건강, 신체 건강, 학업, 스마트폰 사용 등 삶의 질과 관련한 변인을 선정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에 근거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 교차분석, 일원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학교급과 성별, 가정 경제 수준에 따라 청소년의 범불안 경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범불안 수준별 집단의 삶의 질에차이가 있는지 분석해 본 결과, 범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일반 집단과 비교해 행복 수준이 낮고 스트레스 및 외로움을 더 느꼈으며, 건강 상태를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수면으로 인한 피로회복 정도도 낮았다. 더불어 학업성취 수준이 더 낮고, 스마트폰 사용시간 및 의존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 청소년의 상당 비율이 범불안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 수준이 증가할수록 학업은 물론 신체적⋅정신적 건강 상태 등 청소년 삶의 질이 나빠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
간행물명,권(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