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활용논문 상세보기

(*)표시는 필수 입력항목입니다.

자료활용논문 상세보기 - 구분, 게재년도, 제목, 이용자료년도, 저자, 주요내용, 간행물명, 권(호)으로 구성

구분

학위논문 (석사학위)

학위수여일

2009년 8월

제목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사회경제적 변수와의 관련성

이용자료년도

2007년

저자

오인환(서울대학교 , 보건대학원)

주요내용

청소년기의 신체활동은 청소년기의 질병 발생이나 치료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성년기의 신체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골밀도의 경우처럼 성년기의 건강 수준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건학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청소년의 신체활동 및 사회 경제적 변수에 따른 분포양상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사회경제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제3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를 사용하였다. 신체활동의 적절성 여부는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 따라 중등도와 고강도 신체활동으로 나누어서 정의하였으며, 신체 비활동 역시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명변수로서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요소인 학년, 지역, 남녀공학여부, 가족풍요척도, 주관적 경제상태, 부모의 교육수준과 가족구조등을 고려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학교에서의 체육활동 시간은 통제변수로서 사용하였다.
고강도 신체활동을 적절히 시행하는 비율은 29.8%, 중등도 활동의 경우에는 9.8%, 비활동의 경우는 25.0%였고 고강도 신체활동의 적절성 비율은 남자, 저학년, 높은 가족풍요척도 그룹에서 높았으며, 중등도 신체활동 역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비율이 낮았다(9.8%). 신체비활동은 낮은 가족 풍요척도 그룹(30.7%), 주관적 경제 상태를 낮게 평가한 그룹(38.7%)에서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 결과에서는 신체활동의 경우 가족풍요척도가 일관되게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가족풍요척도가 높아지는 경우 적절한 신체활동의 가능성이 높아졌으며(p<0.05), 신체비활동의 경우 가족풍요척도, 부모의 교육수준, 주관적 경제상태 및 가족구조가 유의한 변수로 포함되었다(p<0.05).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비활동이 가족풍요척도와 같은 사회경제적 변수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앞으로 청소년의 건강 불평등 양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의 필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Korean adolescents’ physical activity and its distribution based on social characteristics have not yet been fully assessed.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physical activity by its subgroups and offer possible explanatory socioeconomic variables.
The 3rd Korea Youth’s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as analyzed for this study. The appropriateness of physical activity was defined by Korea’s Health Plan 2010 and physical inactivity was assessed independentl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variable are considered as explanatory variables.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AS version 9.1.
The proportion of participants engaging in vigorous physical activity was high in males (41.6%), at a low grade (38.5%), within the high family affluence scale group (35.5%). The distribution of participants engaging in moderate physical activity showed similar patterns, but the overall proportion was lower (9.8%). The low family affluence scale group and the students with lower subjective economic status reported higher prevalence of physical inactivity.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s for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 factors included family affluence scale (p<0.05). For physical inactivity, family affluence scale, parents’ education levels, subjective economic status and family structure were included as significant factors (p<0.05).
The results suggest that physical activity and inactivity of adolescents may be affected by socioeconomic variables, such as family affluence scale. This implies the need to take proper measures to address these socioeconomic inequalities.
수정 삭제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