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11.29.화.행사시작(09시)이후]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장관급 회의, 개회식(1일차) 이어 선도그룹 회의(2일차) 진행
  • 작성일2022-11-29
  • 최종수정일2022-11-28
  • 담당부서국제협력담당관
  • 연락처043-719-7751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장관급 회의, 개회식(1일차) 이어 선도그룹 회의(2일차) 진행


- GHSA 2일차, 선도그룹 회의 및 신종감염병 대비한 모의 훈련 실시, GHSA 1일차, 개회식 및 6개 전문가 포럼에서 보건안보 의제 논의 -




- 주요 내용 -


□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제7차 장관회의 2일차 일정 진행

 ○ 선도그룹 회의, 신종감염병 대비 모의훈련, 3개 전문가 포럼


□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제7차 장관회의 1일차 결과

 ○ 개회식과 6개 분야 전문가 포럼 진행

 ○ 질병관리청장, 미국 보건부 및 아프리카 CDC와 양자회담을 통해 보건 분야 협력 증진 방안 논의





□ 질병관리청(청장 백경란)은 제7차 글로벌보건안보포럼(GHSA) 장관급 회의 2일차를 맞아, 선도그룹 회의, 신종감염병 대비 모의훈련 및 3개 분야 전문가 포럼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 선도그룹 회의(Steering group meeting)는 GHSA의 집행 이사회 역할을 하는 회의체로, GHSA의 비전과 의제를 정하고, 운영/진행 상황 평가를 주요 기능으로 한다.


  - 2022년 선도그룹 회의 의장국은 이탈리아로, 우리나라, 미국, 인도네시아 등이 상임 회원국으로 참여하며, 


  - 네덜란드, 세계은행, 핀란드, 호주 등이 비상임 회원국으로, 세계은행, 세계보건기구, 세계식량기구, 세계동물보건기구가 자문단(permanent advisor)으로 참여한다. 




□ 신종감염병 대비 모의훈련은 가상의 감염병 발생 상황에 대한 대응방향을 발생 당사국 또는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검토하는 도상훈련으로 진행한다.



 ○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에 대한 문답 및 토론 형식으로 구성하였으며, 29개 회원국 및 자문단, 국제기구 등 약 120여명이 참여할 예정이다. 



 ○ 참고로, 2015년 우리나라에서 개최한 제2차 장관급 회의에서는 생물위협합동 연습을 진행한 바 있다.




□ 또한 1일차 6개 분야에 이어, 2일차에는 국가 이행 촉진, 모니터링 및 평가, 그리고 금융중개기금(FIF) 등 행동계획에 관한 3개 분야의 전문가 포럼이 이어질 예정이다.




□ [1일차 결과] 1일차인 11.28.(월) 질병관리청은 미국 보건부,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CDC)와 양자회담을 통해 보건 안보 협력 증진 방안을 논의하였다.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미국 보건부 안드레아 팜(Andrea Palm) 차관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GHS 조정사무소의 서울 설치를 포함한 GHSA 체제 내 양자 간 협력 방안에 관해 협의하였다.


  - 또한 백경란 청장은 2015년 메르스 방역 경험이 코로나19 초기대응에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하며, 이 경험을 국제사회와 적극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 미국은 한국이 법제준비 행동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2022년에 장관급 회의를 개최하며, GHS 조정 사무소를 설치하고자 하는 등 글로벌 보건 안보 분야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 양국은 또한, 미국 국립알레르기감염병연구소(NIAID)와 한국 국립감염병연구소 간 협력 관계 구축 노력*을 평가하며, 향후 백신, 치료제 분야의 공동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 2022.4.26. 협력의향서(LOI) 교환 



 ○ 백경란 질병관리청장은 아흐메드 오우마(Ahmed Ouma) 아프리카 CDC 소장대행과 양자회담을 갖고, 아프리카 측에서 요청한 원숭이 두창 백신 공여 및 진단 시약에 대한 정보 요청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논의하였으며, 추후 세부적인 사항을 협의하기로 하였다.


  - 아울러 양 측은 기관 간 인력 교류 및 공동연구에 대한 의지를 공유하고, 논의를 이어나가기로 하였다.


  - 오우마 소장대행은 위와 같은 협력에 대해 사의를 표하며, 실무자 간 논의를 통해 협력을 지속하기를 희망하면서, 12월 르완다에서 개최되는 제2회 아프리카 국제 공중보건 컨퍼런스(Conference on Public Health in Africa, CPHIA)에 질병관리청을 초청하였다. 




□ [향후 일정] 행사 마지막 날인 11.30.(수)에는 장관회의에서 GHSA 3기 연장을 공식화하고, 향후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新서울선언문을 발표하고, 5개국 합동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붙임>  1.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개요

           2.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상세 일정

           3. 합동 브리핑 안내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