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가백신, 이상사례 신고율 단가백신의 10분의 1 (2.23.목)
  • 작성일2023-02-23
  • 최종수정일2023-02-24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4


2가백신, 이상사례 신고율 단가백신의 10분의 1


- 60대 이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 



- 주요 내용 -


□ 2가백신 이상사례 신고율은 0.38건(접종 1,000건 기준)으로 단가백신의 1/10

 ○ 중대한 이상사례* 신고율은 0.02건으로 단가백신의 2/15 수준

   * 중대한 이상사례: 아나필락시스, 심근염·심낭염 등 주요 이상사례(경증 포함)

 ○ 60대 이상의 신고율이 0.35건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낮았으며, 두통, 발열 등 상위 10개 증상의 신고율은 단가백신 대비 1/6~1/14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지영미 청장, 이하 ‘추진단’)은 동절기 추가접종에 사용되는 2가백신의 이상사례 신고율이 단가백신 대비 1/10로 크게 낮다고 밝히며, 적극적인 접종을 당부하였다. 

   * 이상사례 신고율(접종 1,000건 기준) : 2가백신 0.38건, 단가백신 3.72건

 ○ 연령별로는 코로나19 감염시 위중증·사망 위험이 높아 접종이 반드시 필요한 60대 이상에서 이상사례 신고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증상별로는 두통, 발열, 오한 등 상위 10개 증상의 신고율 모두 2가백신 접종군이 단가백신 접종군의 1/6~1/14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 2가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신고자료 분석 결과


□ 추진단은 동절기 추가접종 후 잠재적 안전성 신호를 탐지하기 위해 증상별·연령별 이상사례 신고자료 비교·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2.12. 기준). 


 ○ (총평) 2가백신 접종 후 전체 이상사례 신고율은 0.38건(접종 1,000건 기준)으로 단가 백신 접종 후 신고율(3.72건)의 1/10수준으로 낮았다.


  - 중대한 이상사례*의 경우, 2가백신 접종 후 신고율은 0.02건으로 단가백신 접종 후 중대한 사례 신고율의 2/15수준으로 나타났다.

    * 중대한 이상사례: 아나필락시스, 심근염·심낭염 등 주요 이상사례(경증 포함)


[ 백신 종류별 이상사례 신고현황 ]

구분

단가백신

2가백신

신고건수

신고율(1,000)

신고건수

신고율(1,000)

전체

480,315

3.72

2,360

0.38

일반 이상사례

460,963

3.57

2,223

0.36

중대한 이상사례

19,352

0.15

137

0.02



 ○ (연령별) 모든 연령대에서 ‘2가백신 접종 후 이상사례 신고율’이 ‘단가백신 접종 후 신고율’ 대비 낮게 나타났다. 특히, 60대 이상 연령대의 신고율은 백신 종류와 관계없이 전 연령대 중 가장 낮았다.



 그림. 연령별·백신종류별 이상사례 신고율(접종 1,000건 기준)



 ○ (증상별) 증상별 신고율은 대부분 단가백신 접종군 대비 2가백신 접종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백신 접종 후 주로 발생할 수 있는 두통, 발열 오한 등 상위 10개 증상의 신고율은 모두 2가백신 접종군에서 1/6~1/14 수준으로 낮았다.


  - 주요 이상사례의 경우, 대부분의 질환군에서 2가백신 접종군의 신고율이 낮았으며, ‘응고장애’의 신고율은 2가백신 접종군의 신고율(0.016건)이 단가백신(0.04건)의 1/25 수준으로 가장 크게 감소했다.



 그림. 주요 이상사례(상위 15개) 신고율 (접종 10만건 기준)




□ 추진단은 코로나19백신 접종 후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발생하거나 지속되는 경우 우선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mRNA 백신(화이자, 모더나) 접종 이후 흉통, 호흡곤란,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신속히 관련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누리집(ncv.kdca.go.kr)의 [이상반응]-[심근염·심낭염 진단가능 병원]을 통해 지역별 심근염·심낭염 진료 및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안내 중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2가백신은 단가백신 보다 이상사례 신고율이 크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히며, 


 ○ “그동안, 이상반응 우려 등으로 접종을 주저하신 분들이 있다면 안심하시고 접종에 참여해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통계 현황(2.16.-2.22.)

          2.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통계 현황(2.23.(목) 0시 기준)

          3. 2가백신의 효과성

          4. 안전한 해외여행을 위한 2가백신 안내문 

          5. 동절기 추가접종 2가백신 알아보기 (안내문)

          6. 동절기 추가접종 Q&A

          7. 영유아(6개월-4세)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 포스터

          8. 청소년(12-17세) 동절기 추가접종 안내문

          9. 동절기 추가접종 포스터(건강한 겨울나기)

         10. 감염병 보도준칙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