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to main contents Go to main menus

연구·사업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한국인참조유전체소개

개요

한국인 참조유전체(Korean Referenece Genome) 연구는 한국인의 유전체에 존재하는 유전변이 정보들을 수집하고, 데이터베이스화시킴으로써 국내 유전체 맞춤의학 연구를 위한 기반 마련을 목표로 한다.


추진 일정 및 내용

한국인참조유전체 추진일정 및 내용 -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내용을 참조하세요

1단계: 한국인 참조유전체 자료 생산

차세대 염기서열결정법을 이용하여 한국인 전장유전체 자료 생산 및 생산된 서열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 특이적인 서열변이에 대한 자료 구축
[※‘14년 누적 1500여명, HiSeq2000(장비), 샘플당 평균 30X(depth)]

  • 기 구축한 유전체-역학 코호트의 시료를 이용하여 한국인 전장 유전체 서열 결정
  • 한국인 특이적인 서열변이(단일염기다형성, 구조 변이)에 대한 자료 생산

2단계: 표준자료 가공

생산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 고유의 유전체 서열변이에 대한 지도 작성 (유전자형 빈도수 및 linkage disequilibrium map)
[※‘14년 400여명 통합분석완료]


참조유전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제공

유전체역학 자료를 바탕으로 질환특이적인 유전체 서열변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자료 제공

  • 생산된 서열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인 특이적인 서열변이 자료를 정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제공
  • 각 서열변이 부위에 대한 질병군과 정상군의 서열변이 빈도수에 대한 정보 제공

한국인 참조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도


한국인 참조유전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구성도 - 자세한 설명은 다음의 내용을 참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