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2-06-21
- 최종수정일2022-06-22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신규 발생 최근 13주간 지속 감소
- 신규 위중증 환자 수 및 사망자 수 전주 대비 각각 19.4%, 32.7% 감소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7,491명(전주 대비 18.4%↓)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50명, 사망자 76명
○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낮음’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백경란)는 코로나19 주간 신규 발생이 3월 3주 이후 최근 13주간 지속 감소하였다고 밝혔다.
* (3월3주) 283.2만 명 → (4월3주) 61.7만 명→(5월3주) 18.1만 명→(6월3주) 5.2만 명
○ 6월 3주(6.12.~6.18.) 주간 확진자 수는 52,435명, 주간 일평균 7,491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18.4% 감소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86으로 12주 연속 1미만을 유지하였다.
<그림>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1.11.1.~’22.6.18.)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
4월 4주 (4.24.~4.30.) |
5월 1주 (5.1.~5.7.) |
5월 2주 (5.8.~5.14.) |
5월 3주 (5.15~5.21.) |
5월 4주 (5.22~5.28.) |
6월 1주 (5.29.~6.4.) |
6월 2주 (6.5.~6.11.) |
6월 3주 (6.12.~6.18.) |
확진자수(명) |
407,449 |
266,581 |
252,372 |
181,857 |
129,320 |
86,217 |
64,285 |
52,435 |
일 평균 확진자(명) |
58,207 |
38,083 |
36,053 |
25,980 |
18,474 |
12,317 |
9,184 |
7,491 |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
112.7 |
73.7 |
69.8 |
50.3 |
35.8 |
23.9 |
17.8 |
14.5 |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
0.66 |
0.65 |
0.95 |
0.72 |
0.71 |
0.67 |
0.75 |
0.82 |
감염재생산지수(Rt) |
0.74 |
0.72 |
0.90 |
0.83 |
0.81 |
0.74 |
0.79 |
0.86 |
○ 모든 연령대에서 일평균 발생률이 전주 대비 감소하였으며,
- 20-29세에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발생률(23.3명)을 보이고, 전체 발생 중 비중은 20-29세(20.7%), 30-39세(15.4%), 40-49세(14.5%) 순으로 나타났다.
○ 중증 위험이 높은 60세 이상 확진자의 규모는 줄었으나 발생 비중은 소폭 증가하고 있다.
* 60세 이상 비율 : (5월4주) 17.0% → (6월1주) 15.4% → (6월2주) 15.0% → (6월3주) 15.6%
** 60세 이상 확진자수 : (5월4주) 21,974명 → (6월1주) 13,287명 → (6월2주) 9,652명 → (6월3주) 8,181명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
6월 1주 |
6월 2주 |
6월 3주 |
누적 발생 |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발생률 |
||
계 |
86,217 |
(100.0) |
23.9 |
64,285 |
(100.0) |
17.8 |
52,435 |
(100.0) |
14.5 |
18,270,481 |
(100.0) |
35,381 |
|
성별 |
남성 |
40,931 |
(47.5) |
22.7 |
31,347 |
(48.8) |
17.4 |
25,930 |
(49.5) |
14.4 |
8,589,824 |
(47.0) |
33,363 |
여성 |
45,286 |
(52.5) |
25.0 |
32,938 |
(51.2) |
18.2 |
26,505 |
(50.5) |
14.6 |
9,680,657 |
(53.0) |
37,388 |
|
연령별 |
0-9세 |
7,215 |
(8.4) |
27.4 |
5,088 |
(7.9) |
19.3 |
4,443 |
(8.5) |
16.9 |
2,188,866 |
(12.0) |
58,209 |
10-19세 |
11,485 |
(13.3) |
34.8 |
8,250 |
(12.8) |
25.0 |
6,522 |
(12.4) |
19.8 |
2,392,951 |
(13.1) |
50,813 |
|
20-29세 |
18,698 |
(21.7) |
40.1 |
14,454 |
(22.5) |
31.0 |
10,876 |
(20.7) |
23.3 |
2,661,776 |
(14.6) |
39,991 |
|
30-39세 |
12,501 |
(14.5) |
26.6 |
9,508 |
(14.8) |
20.2 |
8,060 |
(15.4) |
17.1 |
2,686,718 |
(14.7) |
39,960 |
|
40-49세 |
12,218 |
(14.2) |
21.4 |
9,197 |
(14.3) |
16.1 |
7,605 |
(14.5) |
13.3 |
2,819,364 |
(15.4) |
34,522 |
|
50-59세 |
10,813 |
(12.5) |
17.9 |
8,136 |
(12.7) |
13.5 |
6,748 |
(12.9) |
11.2 |
2,255,696 |
(12.3) |
26,122 |
|
60-69세 |
7,684 |
(8.9) |
15.3 |
5,630 |
(8.8) |
11.2 |
4,759 |
(9.1) |
9.5 |
1,852,359 |
(10.1) |
25,854 |
|
70-79세 |
3,506 |
(4.1) |
13.5 |
2,550 |
(4.0) |
9.8 |
2,271 |
(4.3) |
8.7 |
878,624 |
(4.8) |
23,650 |
|
80세이상 |
2,097 |
(2.4) |
14.2 |
1,472 |
(2.3) |
10.0 |
1,151 |
(2.2) |
7.8 |
534,127 |
(2.9) |
25,338 |
□ 6월 3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는 50명으로 전주 대비 19.4% 감소하였고, 사망자는 76명으로 전주 대비 32.7% 감소하였다.
*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수 : (6월 1주) 103명 → (6월 2주) 62명 → (6월 3주) 50명
** 주간 사망자 수 : (6월 1주) 99명 → (6월 2주) 113명 → (6월 3주) 76명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2.6.18. 0시 기준)
○ ’22년 6월 17일 기준, 전 연령의 인구 10만 명당 누적 사망률은 47.3명(치명률 0.13%)이며
- 연령대별로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은 681.8명(치명률 2.69%)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151.5명(치명률 0.64%), 60대는 40.4명(치명률 0.16%)으로 나타났다.
<그림> 연령대별 누적 사망률(10만 명당), 치명률(‘22.6.17. 0시 기준)
○ 최근 1주간의 사망자 분석 결과, 고연령층, 미접종, 기저질환을 가진 경우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령) 6월 3주 사망자 중 60대 이상이 90.8%(69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80대 이상이 50.0%(38명), 70대가 22.4%(17명), 60대가 18.4%(14명)이었다.
<그림> 최근 8주간 연령대별 사망자수
- (접종력) 60세 이상 전체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의 비율은 46.4%(32명)로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에서의 치명률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 (기저질환) 사망자들에서 확인된 기저질환은 고혈압·뇌경색·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 당뇨병·갑상선질환 등 내분비계 질환, 폐암·간암·위암 등 악성신생물이 많은 상황이다.
□ 국외 발생은 ’22년 23주차(6.6.∼6.12.)에 신규발생 325만명(WHO기준)으로 최근 1주간 전반적으로 발생 및 사망이 증가하였고,
* 전 세계: (23주) 확진 3,250,433명(+1%), 사망 8,737명(+4%)
○ 전 세계적으로 발생이 소폭 증가하며,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가 증가하고 있는 미국, 독일, 이스라엘에서도 최근 발생이 증가세이다.
* (미국) BA.2.12.1형 변이 및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 및 사망자 수가 최근 1주 증가
** (독일)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이 최근 3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12주 연속 감소
*** (이스라엘) BA.4, BA.5형 변이가 증가하며 발생이 최근 2주 연속 증가, 사망자 수는 감소세
□ 오미크론형 변이 검출률은 국내감염(3,073건) 및 해외유입(239건) 사례 모두 100.0%로 확인되었다.(6.18. 0시 기준)
* (국내) 12월5주 4.0% → 1월3주 50.3% → 2월3주 98.9% → 6월3주 100.0%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분석 결과, BA.2.3은 56.9%(-4.8%p), BA.2 검출률은 34.8%(+4.0%p)로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검출률(6.18.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주요 변이 |
오미크론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
|||||
BA.2 |
BA.2.3 |
BA.2.12.1 |
|||||||
국내감염 |
5월4주 |
4,112 |
4,112 |
100.0 |
4,112 |
100.0 |
33.5 |
60.2 |
1.8 |
6월1주 |
4,033 |
4,033 |
100.0 |
4,033 |
100.0 |
33.7 |
60.9 |
2.8 |
|
6월2주 |
3,556 |
3,556 |
100.0 |
3,556 |
100.0 |
30.8 |
61.7 |
3.2 |
|
6월3주 |
3,073 |
3,073 |
100.0 |
3,073 |
100.0 |
34.8 |
56.9 |
2.9 |
|
해외유입 |
5월4주 |
89 |
89 |
100.0 |
89 |
100.0 |
52.8 |
22.6 |
9.4 |
6월1주 |
117 |
117 |
100.0 |
117 |
100.0 |
48.5 |
21.2 |
21.2 |
|
6월2주 |
173 |
173 |
100.0 |
173 |
100.0 |
23.1 |
20.5 |
30.8 |
|
6월3주 |
239 |
239 |
100.0 |
239 |
100.0 |
31.3 |
7.2 |
26.5 |
* 전장유전체분석 기반 별도산출
○ 오미크론 BA.2.12.1 69건(국내 36건, 해외유입 33건), BA.4 12건(국내 7건, 해외유입 5건), BA.5 38건(국내 27건, 해외유입 11건)이 추가로 검출되어, 관련 역학조사가 진행 중으로 현재까지 BA.2.12.1 총 196건, BA.4 총 26건, BA.5 총 73건이 확인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주 추가로 확인된 변이는 다음과 같다.
변이 바이러스 |
확인 건수 |
유입 국가 |
BA.2.12.1. |
국내감염 36건 |
- |
해외유입 33건 |
미국 25, 필리핀 3, 괌 1, 불가리아 1, 스페인 1, 인도 1, 프랑스 1 |
|
BA.4 |
국내감염 7건 |
- |
해외유입 5건 |
미국 1, 오스트리아 1, 콩고민주공화국 1, 태국 1, 호주 1 |
|
BA.5 |
국내감염 27건 |
- |
해외유입 11건 |
미국 3, 모로코 2, 베트남 1, 스페인 1, 카타르 1, 캐나다 1, 터키 1, 호주 1 |
□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3차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5.5% 감소되므로, 예방접종은 여전히 유효한 방역수단이고 고령층·기저질환자에게 3차접종 완료는 특히 중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2.0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5.5%,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70.1% 낮음
* 분석대상: ’21.4.3.∼’22.6.11. 확진자 17,998,070명
□ 전국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10% 이하를 3주 연속 유지하며 의료대응역량이 안정적으로 지속되는 상황이다.
○ 유행 수준을 고려하여 확보병상을 지속적으로 감축하는 가운데 중환자와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다.
* 중환자실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7.5% → 7.2%, (수도권) 5.8% → 6.2%, (비수도권) 12.9% → 10.4%
* 준-중환자실 병상가동률(6.2주 → 6.3주): (전국) 9.7% → 7.6%, (수도권) 6.0% → 5.3%, (비수도권) 20.4% → 14.4%
<그림> 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및 준-중환자 병상 가동률 추이
□ 국내외 연구진들이 6월 15일 수행한 향후 발생 예측을 종합한 결과,
○ 현재 유행은 당분간 감소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2주 후 일평균 확진자 5~7천명대까지 감소(7개 기관 중 6개 연구진) 예상되나, 유행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 재원중 중환자도 당분간 감소하여, 2주 후 60명대까지 감소(3개 기관 중 3개 연구진)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국내외 연구진들이 주기적으로 유행상황을 모형에 반영함에 따라, 예측 결과의 변동 가능성이 크지만, 유행 상황에 대비·대응 하기 위해 예측 결과를 활용하고 있다.
□ 6월 3주 주간 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평가하였다.
<6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
3주 (2.13.~) |
4주 (2.20.~) |
1주 (2.27.~) |
2주 (3.6.~) |
3주 (3.13.~) |
4주 (3.20.~) |
5주 (3.27.~) |
1주 (4.3.~) |
2주 (4.10.~) |
3주 (4.17.~) |
4주 (4.24.~) |
1주 (5.1.~) |
2주 (5.8.~) |
3주 (5.15.~) |
4주 (5.22.~) |
1주 (5.29.~) |
2주 (6.5.~) |
3주 (6.12.~) |
|
전국 |
높음 |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수도권 |
높음 |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비수도권 |
높음 |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매우 높음 |
높음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 정부는 여름철 기온 상승으로 무더위 쉼터, 물놀이 시설 등 이용 활성화 및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른 일상회복으로 지역축제가 재개됨에 따라, 여름철 이동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인구 밀집지역 및 취약시설에 대한 방역 관리·감독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 7월부터 여름철 고위험군이 감염위험이 높은 무더위 쉼터, 경로당를 비롯, 물놀이 시설을 중심으로 생활방역 수칙 준수를 위한 계도 등 방역 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며,
○ 지자체에서는 주요 지역축제 시, 사전 안전점검 시행, 현장 안전순찰, 질서유지 및 상황관리 등 방역 및 안전관리대책을 수립·운영한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향후 유행상황을 좀 더 안정적으로 관리하여 하반기 예방접종으로 안전하게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여름철 활동량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손씻기, 환기·소독, 마스크 착용 등 개개인이 일상생활에서 준수해야 하는 생활방역 수칙 준수를 당부하였다.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참고
2.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실시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60세 이상 연령층에 대한 4차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최근 4주간(’22.5.15.∼6.11.) 위중증 환자의 87%, 사망자의 89%가 60세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사망자 중 80세 이상이 55.0%를 차지하고 있어, 추가적인 접종을 통한 중증·사망 예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 또한, 16일 발표한 국내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3차접종군 대비 4차접종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20.3%, 중증화 예방효과는 50.6%, 사망 예방효과는 53.3%로 나타났다.
- 추진단은 4차접종으로 감염, 중증, 사망에 대한 추가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4차접종 대상자에게 접종을 당부하고 있다.
* (분석기간·대상) '22.2.16. ~ '22.4.30.,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약 151만 명
<그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현재 미국, 영국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고령층을 대상으로 4차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며, 4차접종 대상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최근 미국은 12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50세 이상 연령층에게 4차접종을 ‘허용(allow)’하였던 권고수준을 높여 ‘권고(recommend)’하였다.
□ 60세 이상 연령층의 4차접종은 위중증·사망 예방을 목표로 하며, 특히 치명률이 높은 80세 이상에 대해서는 적극 권고한다.
○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고, mRNA 백신으로 접종받게 되나, 노바백스 백신으로도 접종 가능하다.
○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고, 스스로 예약이 어려운 고령층은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도 할 수 있다.
○ 현재까지 60세 이상 연령층 중 약 419만 명이 4차접종을 완료하여 접종률은 30.5%로 집계되었으며,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4.4%이다.
- 특히, 치명률이 높아 접종이 적극 권고되는 80세 이상의 대상자 절반 이상이 접종에 참여하여(대상자 대비 접종률 54.3%)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4차접종 현황(6.21. 0시 기준)】 (단위 : 명, %) |
|||||||||
구분 |
인구1)(A) |
대상자2) (B) |
예약자 |
예약률 |
접종자 |
접종률 |
|||
인구 대비 (C/A) |
대상자 대비 (C/B) |
인구 대비 (D/A) |
대상자 (D/B) |
||||||
60세 이상 계 |
13,743,932 |
12,153,926 |
4,343,794 |
31.6 |
35.7 |
4,186,010 |
30.5 |
34.4 |
|
80대 이상 |
2,455,738 |
2,049,737 |
1,147,916 |
46.7 |
56.0 |
1,112,664 |
45.3 |
54.3 |
|
70-79세 |
3,883,747 |
3,532,251 |
1,627,682 |
41.9 |
46.1 |
1,574,941 |
40.6 |
44.6 |
|
60-69세 |
7,404,447 |
6,571,938 |
1,568,196 |
21.2 |
23.9 |
1,498,405 |
20.2 |
22.8 |
1)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2) ‘22. 6. 30일 기준 접종대상자(대상군별 접종간격은 상이)
□ 추진단은 오미크론 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고령층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서는 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어르신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누적)확진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코로나19 국내 발생 예측(6.17. 분석)
4.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6.18. 기준)
5. 오미크론 세부계통 변이 및 재조합 변이 인구학·적역학적 특성(6.20. 기준)
6.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7. 돌파감염 발생 현황(6.12. 0시 기준)
8. 코로나19 확진자 예방접종력 분포(6.12. 0시 기준)
9.「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