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3-01-25
- 최종수정일2023-01-26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7792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30.6% 감소 |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낮음’으로 조정 - |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29,805명(전주 대비 30.6%↓)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평가 ○ 주간(1.8.~1.14.)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21.48%로 전주(19.92%) 대비 증가 □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1.15~21.) ○ 입국자 12,442명, 검사자 12,306명, 양성자 361명, 양성률 2.9% ○ 단기체류외국인 입국자 2,155명, 양성자 110명, 양성률 5.1% ○ 장기체류외국인 입국자 2,156명, 검사자 2,101명 양성자 59명, 양성률 2.8% ○ 내국인 입국자 8,131명, 검사자 8,050명 양성자 192명, 양성률 2.4% |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 15.∼1. 21.)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1월 3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479명, 일평균 사망자는 3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3,185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일평균 |
계 |
재원중 위중증 |
499 |
510 |
503 |
490 |
465 |
453 |
436 |
479 |
- |
사망자* |
37 |
35 |
30 |
43 |
47 |
30 |
51 |
39 |
273 |
입원 |
130 |
63 |
118 |
151 |
125 |
138 |
117 |
120 |
842 |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3.4%, 70대가 18.3%, 60대가 11.7%로, 50대 이하 6.6%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
||||||||
구 분 |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 |
사망누계 |
(%) |
치명률(%) |
재원중 위중증 |
구성비(%) |
|
계 |
273 |
(100.0) |
33,185 |
(100.0) |
0.11 |
479 |
(100.0) |
|
성별 |
남성 |
154 |
(56.4) |
16,285 |
(49.1) |
0.12 |
285 |
(59.5) |
여성 |
119 |
(43.6) |
16,900 |
(50.9) |
0.11 |
194 |
(40.5) |
|
연령 |
80세 이상 |
173 |
(63.4) |
19,809 |
(59.7) |
1.97 |
195 |
(40.7) |
70-79 |
50 |
(18.3) |
7,515 |
(22.6) |
0.45 |
135 |
(28.2) |
|
60-69 |
32 |
(11.7) |
3,765 |
(11.3) |
0.12 |
95 |
(19.9) |
|
50-59 |
13 |
(4.8) |
1,358 |
(4.1) |
0.03 |
27 |
(5.6) |
|
40-49 |
4 |
(1.5) |
451 |
(1.4) |
0.01 |
10 |
(2.1) |
|
30-39 |
1 |
(0.3) |
152 |
(0.5) |
0.01 |
6 |
(1.3) |
|
20-29 |
0 |
(0.0) |
78 |
(0.2) |
0.01 |
3 |
(0.6) |
|
10-19 |
0 |
(0.0) |
20 |
(0.1) |
0.01 |
3 |
(0.6) |
|
0-9 |
0 |
(0.0) |
37 |
(0.1) |
0.01 |
5 |
(1.0) |
|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 15.∼1. 21.)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1월 3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사망자 감소 추세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며, 병상가동률 또한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하였다.
<1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
’22.10월 |
’22.11월 |
’22.12월 |
’23.1월 |
|||||
1주 (10.2.~) |
2주 (10.9.~) |
3주 (10.16.~) |
4주 (10.23.~) |
1-5주 (10.30.~12.3) |
1-4주 (12.4.~12.31) |
1주 (1.1.~) |
2주 (1.8.~) |
3주 (1.15.~) |
|
전국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비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8.6% 감소하여 일평균 479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23.3% 감소하여 일평균 39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12월 4주) 580명→ (1월 1주) 597명→ (1월 2주) 524명→ (1월 3주) 479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2월4주) 59명→ (1월1주) 57명→ (1월2주) 51명→ (1월3주) 39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1.21. 0시 기준)> |
|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월 3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25명(88.7%),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6명(92.3%)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452명(94.4%),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38명(97.4%)
○ 1월 1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6%, 치명률은 0.08%이었다.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1.21. 0시 기준)> |
|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3년 1월 2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4.3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39.7명(치명률 1.9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2.3명(치명률 0.45%), 60대는 52.5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1월 3주(1.15.~1.21.) 주간 신규 확진자는 208,638명으로 전주 대비 30.6%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29,805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77로 3주 연속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2월4주) 45.8만 명 → (1월1주) 41.4만 명 → (1월2주) 30.0만 명 → (1월3주) 20.8만 명
** 일 평균: (12월4주) 65,529명 → (1월1주) 59,230명 → (1월2주) 42,931명 → (1월3주) 29,805명
<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11.27.~‘23.1.21.)> |
* 발생률: 확진자수/인구수(‘22.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x 100,000명 |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
11월 5주 (11.27.~12.3.) |
12월 1주 (12.4.~12.10.) |
12월 2주 (12.11.~12.17.) |
12월 3주 (12.18.~12.24.) |
12월 4주 (12.25.~12.31) |
1월 1주 (1..1.~1.7.) |
1월 2주 (1..8.~1.14.) |
1월 3주 (1..15~1.21.) |
확진자수(명) |
371,057 |
412,645 |
455,319 |
471,193 |
458,706 |
414,612 |
300,515 |
208,638 |
일 평균 확진자(명) |
53,008 |
58,949 |
65,046 |
67,313 |
65,529 |
59,230 |
42,931 |
29,805 |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
103.1 |
114.6 |
126.5 |
130.9 |
127.4 |
115.1 |
83.5 |
57.9 |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
1.0 |
1.1 |
1.1 |
1.0 |
1.0 |
0.9 |
0.7 |
0.7 |
감염재생산지수(Rt) |
1.00 |
1.04 |
1.08 |
1.04 |
1.00 |
0.95 |
0.85 |
0.77 |
○ (고발생군) 전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 발생률은 80세이상(75.4명), 30-39세(68.1명), 70-79세(65.1명) 순으로,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는 감소하였으나 비중은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2월4주) 108,014→ (1월1주) 103,403→ (1월2주) 80,030→ (1월3주) 58,861
** 60세 이상 비율(%): (12월4주) 23.5→ (1월1주) 24.9→ (1월2주) 26.6→ (1월3주) 28.2
- 1월 2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4.1%(11,602명/281,437명)로 전주 대비 0.5%p 증가하였으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8.8%(4,504명/11,602명), 요양시설 34.5%(4,007명/11,602명), 주야간보호센터 13.2%(1,532명/11,602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12월3주) 3.8% → (12월4주) 3.7% → (1월1주) 3.6% → (1월2주) 4.1%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
1월 1주 |
1월 2주 |
1월 3주 |
누적 발생 |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발생률 |
||
계 |
414,612 |
(100.0) |
115.1 |
300,515 |
(100.0) |
83.5 |
208,638 |
(100.0) |
57.9 |
29,982,905 |
(100.0) |
58,288 |
|
성별 |
남성 |
184,289 |
(44.4) |
102.7 |
134,349 |
(44.7) |
74.9 |
91,943 |
(44.1) |
51.2 |
13,897,512 |
(46.4) |
54,209 |
여성 |
230,323 |
(55.6) |
127.5 |
166,166 |
(55.3) |
92.0 |
116,695 |
(55.9) |
64.6 |
16,085,393 |
(53.6) |
62,341 |
|
연령별 |
0-9세 |
20,312 |
(4.9) |
82.1 |
15,263 |
(5.1) |
61.7 |
11,547 |
(5.5) |
46.7 |
3,064,148 |
(10.2) |
86,738 |
10-19세 |
41,044 |
(9.9) |
124.7 |
25,389 |
(8.4) |
77.1 |
14,971 |
(7.2) |
45.5 |
3,747,872 |
(12.5) |
79,688 |
|
20-29세 |
59,857 |
(14.4) |
133.3 |
42,653 |
(14.2) |
95.0 |
28,503 |
(13.7) |
63.5 |
4,368,032 |
(14.6) |
68,068 |
|
30-39세 |
63,583 |
(15.3) |
137.3 |
45,770 |
(15.2) |
98.8 |
31,555 |
(15.1) |
68.1 |
4,382,985 |
(14.6) |
66,253 |
|
40-49세 |
64,097 |
(15.5) |
113.4 |
45,865 |
(15.3) |
81.2 |
31,524 |
(15.1) |
55.8 |
4,571,295 |
(15.2) |
56,624 |
|
50-59세 |
62,316 |
(15.0) |
103.4 |
45,545 |
(15.2) |
75.6 |
31,677 |
(15.2) |
52.5 |
3,912,468 |
(13.0) |
45,430 |
|
60-69세 |
53,456 |
(12.9) |
103.1 |
40,422 |
(13.5) |
78.0 |
29,530 |
(14.2) |
57.0 |
3,264,316 |
(10.9) |
44,091 |
|
70-79세 |
30,177 |
(7.3) |
112.7 |
23,593 |
(7.9) |
88.1 |
17,430 |
(8.4) |
65.1 |
1,662,951 |
(5.5) |
43,468 |
|
80세이상 |
19,770 |
(4.8) |
125.2 |
16,015 |
(5.3) |
101.4 |
11,901 |
(5.7) |
75.4 |
1,008,838 |
(3.4) |
44,717 |
[재감염 추정사례]
□ 1월 2주(1.8.~1.14.)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1.48%로 전주(19.92%)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12월3주) 17.90%, (12월4주) 19.02%, (1월1주) 19.92%, (1월2주) 21.48%
○ (누적발생) ’23.1.15.0시 기준, 28,343,259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272,122명, 누적구성비 4.46% 확인되었다.
* (12월3주) 468,518명(3.81%), (12월4주) 455,485(4.06%), (1월1주) 401,356명(4.29%), (1월2주) 284,518명(4.46%)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예방접종 효과]
□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4.9% 감소되었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9.8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7.6배가 높았다.
*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4.9%,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6.9% 낮음
<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3.1.15. 0시 기준)> |
||
<전체> |
<60-74세> |
<75세 이상> |
|
|
|
* 중증화 : 코로나19 확진 후 28일이내 위중증으로 진행되거나 사망한 확진자
※ 분석대상: ’22.11.20.∼’22.12.17. 확진자 1,379,401명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병상가동률]
□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과 수도권 2주 연속 감소하였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 수도권이 3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2주 → 1.3주): (전국) 33.7% → 28.6%, (수도권) 34.5% → 28.1%, (비수도권) 32.2% → 29.7%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2주 → 1.3주): (전국) 37.2% → 32.3% (수도권) 38.6% → 33.5%, (비수도권) 34.4% → 30.1%
중환자 병상가동률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
|
|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먹는 치료제 처방률]
□ 1월 3주차(1.15~1.21)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2.9%로 지난주(36.1%) 대비 3.2%p 감소하였다.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률>
[변이 바이러스]
○ 오미크론 변이의 46.3%를 차지하는 BN.1은 전주 대비 7.1% 증가하였으며, BA.5*(22.0%), BQ.1(9.3%), BQ.1.1(4.5%)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38.9%(-7.7%p)로 감소하였다.
* BF.7, BQ.1,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 미국 내 발생이 증가하는 XBB.1.5는 8건 추가 검출(국내 2건, 해외유입 6건)되어, 누적 총 39건(국내 14건, 해외유입 25건)이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검출률) 12.4주 0.2% → 1.1주 0.1% → 1.2주 0.4% → 1.3주 0.1%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1.21. 0시 기준) ] |
||
국내감염 |
|
|
해외유입 |
|
|
주차별 세부계통 현황 |
1월 3주 현황 |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21.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
||||||||
BA.5 세부계통 |
그 외 세부계통 |
|||||||||
BA.5 |
BF.7 |
BQ.1 |
BQ.1.1 |
소계 |
BA.2.75 |
BN.1 |
XBB.1.5 |
기타 |
||
전체 |
12월4주 |
38.2 |
4.5 |
7.0 |
5.5 |
55.2 |
6.7 |
33.3 |
0.4 |
4.4 |
1월1주 |
34.4 |
6.0 |
7.3 |
4.8 |
52.5 |
10.0 |
32.4 |
0.2 |
4.9 |
|
1월2주 |
28.3 |
6.2 |
7.4 |
4.7 |
46.6 |
8.6 |
39.2 |
0.8 |
4.8 |
|
1월3주 |
22.0 |
3.1 |
9.3 |
4.5 |
38.9 |
10.1 |
46.3 |
0.5 |
4.2 |
|
국내감염 |
12월4주 |
37.4 |
3.4 |
7.1 |
4.4 |
52.3 |
6.8 |
36.0 |
0.2 |
4.7 |
1월1주 |
32.7 |
3.7 |
7.4 |
4.2 |
48.0 |
11.4 |
35.7 |
0.1 |
4.8 |
|
1월2주 |
26.0 |
3.5 |
8.1 |
3.0 |
40.6 |
9.9 |
44.5 |
0.4 |
4.6 |
|
1월3주 |
20.2 |
2.1 |
9.6 |
4.2 |
36.1 |
10.7 |
48.9 |
0.1 |
4.2 |
|
해외유입 |
12월4주 |
42.2 |
9.9 |
6.1 |
10.6 |
68.8 |
6.1 |
20.5 |
1.5 |
3.1 |
1월1주 |
40.9 |
15.3 |
6.8 |
7.1 |
70.1 |
4.1 |
19.3 |
0.9 |
5.6 |
|
1월2주 |
35.9 |
14.9 |
5.1 |
10.3 |
66.2 |
4.4 |
21.7 |
2.1 |
5.6 |
|
1월3주 |
40.1 |
12.2 |
6.8 |
7.5 |
66.6 |
3.4 |
19.7 |
4.1 |
6.2 |
*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N.1을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기타는 BA.5, BA.2.75 및 XBB.1.5 세부계통을 제외한 모든 세부계통 포함
○ 최근 중국발 입국자 검역강화에 따라, ‘23년 1월 14~17일 단기체류 확진자 79명 중 분석가능한 총 6명의 검체에 대해 변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BA.5 세부계통이 83.3%(BA.5 33.3%, BF.7 50.0%)로 확인되었다.
* ’23.1.2-1.17. 분석건수 누계 76명
구 분 |
계 |
BA.5 세부계통 |
BA.2* |
BA.2.75 |
BN.1 |
||
BA.5* |
BF.7 |
소계 |
|||||
1월 14~17일 |
100% |
33.3% |
50.0% |
83.3% |
- |
16.7% |
- |
누계(1월 2~17일) |
100% |
55.2% |
38.2% |
93.4% |
4.0% |
1.3% |
1.3% |
* BF.7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는 BA.2.75 및 BN.1을 제외한 BA.2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또한 이를 포함, ‘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호흡기바이러스통합감시(K-RISS)를 통해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총 446명*에 대한 분석 결과, BA.5 세부계통이 96.3%(BA.5 65.9%, BF.7 30.0% 등)로 대부분임을 확인하였다.
* 단기체류 확진자 76명 포함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상세 표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
【병상】
□ 1월 2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5,846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9.4%, 준-중증병상 24.6%, 중등증병상 11.7%이다.
< 1.24.(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