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30.6% 감소(1.25.수.정례브리핑)
  • 작성일2023-01-25
  • 최종수정일2023-01-26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7792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30.6%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낮음으로 조정 -



주요 내용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29,805(전주 대비 30.6%)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평가

주간(1.8.~1.14.)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21.48%로 전주(19.92%) 대비 증가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1.15~21.)

입국자 12,442, 검사자 12,306, 양성자 361, 양성률 2.9%

단기체류외국인 입국자 2,155, 양성자 110, 양성률 5.1%

장기체류외국인 입국자 2,156, 검사자 2,101명 양성자 59, 양성률 2.8%

내국인 입국자 8,131, 검사자 8,050명 양성자 192, 양성률 2.4%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 15.1. 21.)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1월 3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479명, 일평균 사망자는 39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3,185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499

510

503

490

465

453

436

479

-

사망자*

37

35

30

43

47

30

51

39

273

입원

130

63

118

151

125

138

117

120

842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63.4%, 70대가 18.3%, 60대가 11.7%로, 50대 이하 6.6%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273

(100.0)

33,185

(100.0)

0.11

479

(100.0)

성별

남성

154

(56.4)

16,285

(49.1)

0.12

285

(59.5)

여성

119

(43.6)

16,900

(50.9)

0.11

194

(40.5)

연령

80세 이상

173

(63.4)

19,809

(59.7)

1.97

195

(40.7)

70-79

50

(18.3)

7,515

(22.6)

0.45

135

(28.2)

60-69

32

(11.7)

3,765

(11.3)

0.12

95

(19.9)

50-59

13

(4.8)

1,358

(4.1)

0.03

27

(5.6)

40-49

4

(1.5)

451

(1.4)

0.01

10

(2.1)

30-39

1

(0.3)

152

(0.5)

0.01

6

(1.3)

20-29

0

(0.0)

78

(0.2)

0.01

3

(0.6)

10-19

0

(0.0)

20

(0.1)

0.01

3

(0.6)

0-9

0

(0.0)

37

(0.1)

0.01

5

(1.0)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 15.1. 21.)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1월 3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사망자 감소 추세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며, 병상가동률 또한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고려하였다.



                                                               <1월 3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

’22.11

’22.12

’23.1

1

(10.2.~)

2

(10.9.~)

3

(10.16.~)

4

(10.23.~)

1-5

(10.30.~12.3)

1-4

(12.4.~12.31)

1

(1.1.~)

2

(1.8.~)

3

(1.15.~)

전국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비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8.6% 감소하여 일평균 479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23.3% 감소하여 일평균 39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12월 4주) 580명→ (1월 1주) 597명→ (1월 2주) 524명→ (1월 3주) 479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2월4주) 59명→ (1월1주) 57명→ (1월2주) 51명→ (1월3주) 39명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1.21. 0시 기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e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472pixel, 세로 469pixel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1월 3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425명(88.7%),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36명(92.3%)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452명(94.4%),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38명(97.4%)


 ○ 1월 1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16%, 치명률은 0.08%이었다.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1.21. 0시 기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e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30pixel, 세로 378pixel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23년 1월 2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4.3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39.7명(치명률 1.97%)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2.3명(치명률 0.45%), 60대는 52.5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1월 3주(1.15.~1.21.) 주간 신규 확진자는 208,638명으로 전주 대비 30.6%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29,805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77로 3주 연속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2월4주) 45.8만 명 → (1월1주) 41.4만 명 → (1월2주) 30.0만 명 → (1월3주) 20.8만 명

  ** 일 평균: (12월4주) 65,529명 → (1월1주) 59,230명 → (1월2주) 42,931명 → (1월3주) 29,805명



<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22.11.27.~‘23.1.21.)>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68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71pixel, 세로 441pixel

* 발생률: 확진자수/인구수(‘22.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x 100,000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115

(11.27.~12.3.)

121

(12.4.~12.10.)

122

(12.11.~12.17.)

123

(12.18.~12.24.)

124

(12.25.~12.31)

11

(1..1.~1.7.)

12

(1..8.~1.14.)

13

(1..15~1.21.)

확진자수()

371,057

412,645

455,319

471,193

458,706

414,612

300,515

208,638

일 평균 확진자()

53,008

58,949

65,046

67,313

65,529

59,230

42,931

29,805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03.1

114.6

126.5

130.9

127.4

115.1

83.5

57.9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0

1.1

1.1

1.0

1.0

0.9

0.7

0.7

감염재생산지수(Rt)

1.00

1.04

1.08

1.04

1.00

0.95

0.85

0.77



○ (고발생군) 전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 발생률은 80세이상(75.4명), 30-39세(68.1명), 70-79세(65.1명) 순으로,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는 감소하였으나 비중은 증가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2월4주) 108,014→ (1월1주) 103,403→ (1월2주) 80,030→ (1월3주) 58,861

     ** 60세 이상 비율(%): (12월4주) 23.5→ (1월1주) 24.9→ (1월2주) 26.6→ (1월3주) 28.2


  - 1월 2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4.1%(11,602명/281,437명)로 전주 대비 0.5%p 증가하였으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8.8%(4,504명/11,602명), 요양시설 34.5%(4,007명/11,602명), 주야간보호센터 13.2%(1,532명/11,602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12월3주) 3.8% →  (12월4주) 3.7% →  (1월1주) 3.6% →  (1월2주) 4.1%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11

12

13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414,612

(100.0)

115.1

300,515

(100.0)

83.5

208,638

(100.0)

57.9

29,982,905

(100.0)

58,288

성별

남성

184,289

(44.4)

102.7

134,349

(44.7)

74.9

91,943

(44.1)

51.2

13,897,512

(46.4)

54,209

여성

230,323

(55.6)

127.5

166,166

(55.3)

92.0

116,695

(55.9)

64.6

16,085,393

(53.6)

62,341

연령별

0-9

20,312

(4.9)

82.1

15,263

(5.1)

61.7

11,547

(5.5)

46.7

3,064,148

(10.2)

86,738

10-19

41,044

(9.9)

124.7

25,389

(8.4)

77.1

14,971

(7.2)

45.5

3,747,872

(12.5)

79,688

20-29

59,857

(14.4)

133.3

42,653

(14.2)

95.0

28,503

(13.7)

63.5

4,368,032

(14.6)

68,068

30-39

63,583

(15.3)

137.3

45,770

(15.2)

98.8

31,555

(15.1)

68.1

4,382,985

(14.6)

66,253

40-49

64,097

(15.5)

113.4

45,865

(15.3)

81.2

31,524

(15.1)

55.8

4,571,295

(15.2)

56,624

50-59

62,316

(15.0)

103.4

45,545

(15.2)

75.6

31,677

(15.2)

52.5

3,912,468

(13.0)

45,430

60-69

53,456

(12.9)

103.1

40,422

(13.5)

78.0

29,530

(14.2)

57.0

3,264,316

(10.9)

44,091

70-79

30,177

(7.3)

112.7

23,593

(7.9)

88.1

17,430

(8.4)

65.1

1,662,951

(5.5)

43,468

80세이상

19,770

(4.8)

125.2

16,015

(5.3)

101.4

11,901

(5.7)

75.4

1,008,838

(3.4)

44,717



[재감염 추정사례]


□  1월 2주(1.8.~1.14.)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1.48%로 전주(19.92%)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12월3주) 17.90%, (12월4주) 19.02%, (1월1주) 19.92%, (1월2주) 21.48%


 ○ (누적발생) ’23.1.15.0시 기준, 28,343,259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272,122명, 누적구성비 4.46% 확인되었다.


   *  (12월3주) 468,518명(3.81%), (12월4주) 455,485(4.06%), (1월1주) 401,356명(4.29%), (1월2주) 284,518명(4.46%)


external_image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예방접종 효과]


□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4.9% 감소되었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9.8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7.6배가 높았다.


   *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4.9%,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6.9% 낮음



<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3.1.15. 0시 기준)>

<전체>

<60-74>

<75세 이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10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7pixel, 세로 447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10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7pixel, 세로 44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7100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97pixel, 세로 429pixel


 * 중증화 : 코로나19 확진 후 28일이내 위중증으로 진행되거나 사망한 확진자

※ 분석대상: ’22.11.20.∼’22.12.17. 확진자 1,379,401명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병상가동률]


□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과 수도권 2주 연속 감소하였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 수도권이 3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2주 → 1.3주): (전국) 33.7% → 28.6%, (수도권) 34.5% → 28.1%, (비수도권) 32.2% → 29.7%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2주 → 1.3주): (전국) 37.2% → 32.3% (수도권) 38.6% → 33.5%, (비수도권) 34.4% → 30.1%



중환자 병상가동률

-중환자 병상가동률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61c164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63pixel, 세로 374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d5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41pixel, 세로 375pixel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먹는 치료제 처방률]


□ 1월 3주차(1.15~1.21)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2.9%로 지난주(36.1%) 대비 3.2%p 감소하였다.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률>


external_image






[변이 바이러스]


 ○ 오미크론 변이의 46.3%를 차지하는 BN.1은 전주 대비 7.1% 증가하였으며, BA.5*(22.0%), BQ.1(9.3%), BQ.1.1(4.5%)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38.9%(-7.7%p)로 감소하였다.


   * BF.7, BQ.1, BQ.1.1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 미국 내 발생이 증가하는 XBB.1.5는 8건 추가 검출(국내 2건, 해외유입 6건)되어, 누적 총 39건(국내 14건, 해외유입 25건)이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검출률) 12.4주 0.2% → 1.1주 0.1% → 1.2주 0.4% → 1.3주 0.1%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1.21. 0시 기준) ]

국내감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2f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2f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해외유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2f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2f8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주차별 세부계통 현황

13주 현황


 *상세 그래프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1.21.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세부계통

그 외 세부계통

BA.5

BF.7

BQ.1

BQ.1.1

소계

BA.2.75

BN.1

XBB.1.5

기타

전체

124

38.2

4.5

7.0

5.5

55.2

6.7

33.3

0.4

4.4

11

34.4

6.0

7.3

4.8

52.5

10.0

32.4

0.2

4.9

12

28.3

6.2

7.4

4.7

46.6

8.6

39.2

0.8

4.8

13

22.0

3.1

9.3

4.5

38.9

10.1

46.3

0.5

4.2

국내감염

124

37.4

3.4

7.1

4.4

52.3

6.8

36.0

0.2

4.7

11

32.7

3.7

7.4

4.2

48.0

11.4

35.7

0.1

4.8

12

26.0

3.5

8.1

3.0

40.6

9.9

44.5

0.4

4.6

13

20.2

2.1

9.6

4.2

36.1

10.7

48.9

0.1

4.2

해외유입

124

42.2

9.9

6.1

10.6

68.8

6.1

20.5

1.5

3.1

11

40.9

15.3

6.8

7.1

70.1

4.1

19.3

0.9

5.6

12

35.9

14.9

5.1

10.3

66.2

4.4

21.7

2.1

5.6

13

40.1

12.2

6.8

7.5

66.6

3.4

19.7

4.1

6.2


  * BQ.1은 BQ.1.1을 제외한 BQ.1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75는 BN.1을 제외한 BA.2.7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기타는 BA.5, BA.2.75 및 XBB.1.5 세부계통을 제외한 모든 세부계통 포함



 ○ 최근 중국발 입국자 검역강화에 따라, ‘23년 1월 14~17일 단기체류 확진자 79명 중 분석가능한 총 6명의 검체에 대해 변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BA.5 세부계통이 83.3%(BA.5 33.3%, BF.7 50.0%)로 확인되었다. 

  * ’23.1.2-1.17. 분석건수 누계 76명


구 분

BA.5 세부계통

BA.2*

BA.2.75

BN.1

BA.5*

BF.7

소계

114~17

100%

33.3%

50.0%

83.3%

-

16.7%

-

누계(12~17)

100%

55.2%

38.2%

93.4%

4.0%

1.3%

1.3%


* BF.7을 제외한 BA.5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BA.2는 BA.2.75 및 BN.1을 제외한 BA.2의 모든 세부계통 포함 


   - 또한 이를 포함, ‘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호흡기바이러스통합감시(K-RISS)를 통해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총 446명*에 대한 분석 결과, BA.5 세부계통이 96.3%(BA.5 65.9%, BF.7 30.0% 등)로 대부분임을 확인하였다. 


   * 단기체류 확진자 76명 포함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상세 표는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1월 2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5,846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9.4%, 준-중증병상 24.6%, 중등증병상 11.7%이다.



                                       < 1.24.(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

구분

(, %)

위중증(危重症)

준중증(-重症)

중등증(中等症)병상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중환자병상

감염병 전담병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보유

(증감)

사용

(증감)

가용

(증감)

전국

1,565

460

1,105

2,716

669

2,047

1,565

183

1,382

(+0)

(-7)

(+7)

(+0)

(-32)

(+32)

(+0)

(-3)

(+3)

수도권

1,046

290

756

1,792

451

1,341

659

67

592

(+0)

(-9)

(+9)

(+0)

(-15)

(+15)

(+0)

(-10)

(+10)

서울

230

88

142

452

146

306

221

17

204

경기

557

139

418

834

214

620

235

21

214

인천

259

63

196

506

91

415

203

29

174

비수도권

519

170

349

924

218

706

906

116

790

(+0)

(+2)

(-2)

(+0)

(-17)

(+17)

(+0)

(+7)

(-7)

강원

44

24

20

38

5

33

37

6

31

충청권

115

33

82

213

56

157

411

23

388

호남권

144

33

111

197

52

145

203

36

167

경북권

93

25

68

213

43

170

122

13

109

경남권

104

54

50

243

58

185

106

24

82

제주

19

1

18

20

4

16

27

14

13


 ※ 증감은 전일 대비 변동량



【재택치료 현황】


□ 신규 확진자 중 재택치료로 배정된 환자는 17,272명으로, 수도권 8,091명, 비수도권 9,181명이다. 현재 115,812명이 재택치료 중이다.(1.25. 0시 기준)



【일반의료체계 기관 현황】


□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전국에 14,311개소, 이 중 호흡기환자 대상 진료와 검사, 처방, 치료를 모두 수행하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10,594개소가 있다.(1.24. 17시 기준)


    * 병원 사정에 따라 검사/진료/처방 등의 기능이 검색 결과와 다를 수 있으므로 전화 예약 후 방문 요망


□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177개소 운영되고 있다.(1.25. 0시 기준)





4.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중국출발 입국자에 대한 방역 강화 조치의 일환으로 시행(1. 2.) 중인 입국 후 검사 현황(3주차, 1.15.~1.21.)을 발표하였다. 


 ○ 1. 15.부터 1. 21.까지 7일간 중국을 출발해 우리나라로 입국한 사람은 총 12,442명이며, 이 중 12,306명이 검사를 받았으며, 양성자는 361명(양성률 2.9%)으로 확인되었다. 


   - 공항에서 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외국인은 2,155명이며, 110명이 확진(양성률 5.1%) 판정을 받았고,


   - 거주지 관할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은 장기체류 외국인 2,156명 중 59명(양성률 2.8%)이, 내국인 8,050명 중 192명(2.4%)이 확진되어 격리 조치 되었다.


 ○ 지난주 통계 자료(1.8.~1.14.)와 비교 시, 전체 입국자 양성률은 6.0%에서 금주 2.9%로 전주 대비 3.1%p 감소하였으며, 


   - 단기체류외국인은 5.2%p, 장기체류외국인은 3.2%p, 내국인은 2%p가 감소하였다.



<1. 15.~1. 21. 중국출발 입국자 관리 현황 (1. 23. 0시 기준, 단위: 명, %, % p)>


구분

중국출발 입국자

단기체류외국인

장기체류외국인

내국인

입국자 수

12,442

2,155

2,156

8,131

검사자 수

12,306

2,155

2,101

8,050

확진자 수

361

110

59

192

양성률

(전주대비증감)

2.9(3.1)

5.1(5.2)

2.8(3.2)

2.4(2)


 * 1. 15.~1. 18.까지 검사완료, 1. 19.부터 검사결과 집계 중



□ 지영미 본부장은 각 지자체와 보건소에 내국인과 장기체류 외국인에 대한 검사가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 입국 후 검사 미실시자에게 유선으로 검사를 안내하고, 검사결과 양성일 경우 확진자가 격리지를 이탈하지 않도록 철저히 점검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동향

3. 재감염 추정사례 발생현황(1. 15. 0시 기준)

4.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5. 코로나19 확진자 연령대별 분포 (1. 15. 0시 기준)

6. 감염취약시설 발생 현황(1. 14. 기준)

7.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현황 (1.21 기준)

8. 주간 일별 중국발 입국자 검사 현황(1. 15.~1. 21.)

9. 감염병 보도준칙(2020. 4. 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