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0-12-31
- 최종수정일2021-05-10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대응지원팀
- 연락처043-719-9365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국내 발생 현황 (12월 31일, 정례브리핑)
□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31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940명이 확인되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27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60,740명(해외유입 5,385명)이라고 밝혔다.
○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54,358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40,724건(확진자 133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95,082건이며, 신규 확진자는 총 967명이다.
* 익명검사 신규 확진자는 신상정보 확인 및 역학조사 등을 진행하여 확진자 통계에 반영
○ 신규 격리해제자는 836명으로 총 42,271명(69.59%)이 격리해제되어, 현재 17,569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344명이며, 사망자는 2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900명(치명률 1.48%)이다.
【국내 발생 확진자 현황(12.3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신규 |
940 |
365 |
72 |
32 |
59 |
8 |
6 |
35 |
0 |
219 |
36 |
22 |
17 |
11 |
5 |
22 |
22 |
9 |
누계 |
55,355 |
18,356 |
1,780 |
7,693 |
2,684 |
986 |
800 |
606 |
125 |
13,357 |
1,161 |
1,091 |
1,538 |
756 |
502 |
2,319 |
1,213 |
388 |
【해외유입 확진자 현황(12.31일 0시 기준, 1.3일 이후 누계)】
구분 |
합계 |
(추정)유입국가* |
확인 단계 |
국적 |
||||||||||||||||||||||||||
중국 |
아시아 (중국 외) |
유럽 |
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 아니아 |
검역단계 |
지역사회 |
내국인 |
외국인 |
|||||||||||||||||||||
신규 |
27 |
0 |
13 |
7 |
7 |
0 |
0 |
13 |
14 |
14 |
13 |
|||||||||||||||||||
누계 |
5,385 |
33 |
2,541 |
964 |
1,655 |
171 |
21 |
2,444 |
2,941 |
2,945 |
2,440 |
|||||||||||||||||||
(0.6%) |
(47.2%) |
(17.9%) |
(30.7%) |
(3.2%) |
(0.4%) |
(45.4%) |
(54.6%) |
(54.7%) |
(45.3%) |
|||||||||||||||||||||
* 아시아(중국 외) : 필리핀 2명, 키르기스스탄 1명(1명), 우즈베키스탄 1명, 인도 1명(1명), 러시아 1명(1명), 미얀마 2명(2명), 인도네시아 4명(2명), 이라크 1명(1명), 유럽 : 폴란드 3명, 우크라이나 3명(1명), 슬로바키아 1명, 아메리카 : 미국 5명(2명), 멕시코 2명(2명) ※ 괄호 안은 외국인 수 |
【확진자 관리 현황*(1.3일 이후 누계)】
구분 |
격리해제 |
격리 중 |
위중증 환자** |
사망자 |
12.30.(수) 0시 기준 |
41,435 |
17,459 |
332 |
879 |
12.31.(목) 0시 기준 |
42,271 |
17,569 |
344 |
900 |
변동 |
(+)836 |
(+)110 |
(+)12 |
(+)21 |
* 12월 30일 0시부터 12월 31일 0시 사이에 질병관리청으로 신고·접수된 자료 기준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 12월 31일(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1페이지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권역별 1주간 일 평균 국내 확진자 현황 (12.25.~12.31.) > (단위 : 명)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12.31일(0시 기준) |
940 |
643 |
45 |
24 |
54 |
129 |
36 |
9 |
주간 일 평균 |
1,006.7 |
708.4 |
90.0 |
37.3 |
62.4 |
71.7 |
24.6 |
12.3 |
주간 총 확진자 수 |
7,047 |
4,959 |
630 |
261 |
437 |
502 |
172 |
86 |
○ 서울 양천구 요양시설II와 관련하여 12월 2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1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4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이용자 12명
○ 서울 동대문구 노인복지시설과 관련하여 12월 2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31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32명*이다.
* (구분) 종사자 8명(지표포함), 이용자 20명, 가족 4명
○ 서울 송파구 교정시설과 관련하여 격리자 추적검사 중 3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814명이다.
구분 |
계 |
종사자 |
수용자 |
가족 |
지인 |
전일 누계 |
777 |
21 |
735 |
20 |
1 |
금일 누계 |
814(+37) |
21 |
772(+37) |
20 |
1 |
○ 서울 중랑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12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56명*이다.
* (구분) 교인 39명(지표포함, +3), 가족 12명(+6), 지인 2명(+2), 기타 3명(+1)
○ 서울 구로구 요양병원/요양원과 관련하여 격리자 추적검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93명이다.
구분 |
계 |
환자/입소자 (지표환자 포함) |
종사자 |
가족/지인 |
기타 |
전일 누계 |
190 |
100 |
68 |
19 |
3 |
금일 누계 |
193(+3) |
102(+2) |
69(+1) |
19 |
3 |
○ 경기 군포시 공장과 관련하여 12월 28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2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29명*이다.
* (구분) 가족 6명(지표포함), 직원 21명, 기타 2명
○ 충남 천안시 식품점/식당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3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123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① 천안 식품점 |
110(+3) |
이용자 55명, 가족 27명, 기타 28명(+3) |
② 안성 식품점 |
13 |
이용자 13명 |
○ 광주 광산구 종교시설과 관련하여 12월 27일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1명이다.
* (구분) 교인 29명(+5), 가족 및 지인 12명(+3)
○ 광주 북구 요양원과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64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① 요양원 관련 |
39(+1) |
가족/지인 3명(지표포함), 종사자 12명, 입소자 24명 |
② 사우나 관련 |
21(+4) |
이용자 6명, 가족/지인 13명, 스터디센터 2명 |
③ 집들이 모임 관련 |
4 |
모임참석자 4명 |
○ 울산 중구 선교단체와 관련하여 접촉자 조사 중 37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49명*이다.
구분 |
계 |
환자 구분 |
① 교회1 및 기타 관련 |
6 |
교인 4명(지표포함), 기타 교인 2명 |
② 교회2 관련 |
9 |
교인 8명, 가족 1명 |
③ 교회3 관련 |
4 |
교인 4명 |
➃ 교회4 관련 |
18 |
교인 16명, 가족 1명, 지인 1명 |
➄ 교회5 관련 |
6 |
교인 4명, 가족 2명 |
⑥ 교회6 관련 |
6 |
교인 6명 |
* (추정 전파경로) 선교단체 교육행사 → 각 교회 교인 및 추가전파
○ 부산 영도구 노인건강센터와 관련하여 12월 2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5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6명*이다.
* (구분) 종사자 2명(지표포함), 이용자 1명, 가족 2명, 기타 1명
○ 부산 북구 주간복지센터와 관련하여 12월 29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접촉자 조사 중 8명이 추가 확진되어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총 9명*이다.
* (구분) 이용자 9명(지표포함)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현재 국내 코로나19 유행이 진행 중이긴 하나, 2020년 코로나19 발생 상황을 분석해 설명하였다.
1 |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현황 |
○ 지난 1월 3일 코로나19 감시 및 대응 체계를 본격적으로 가동한 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였으며, 12월 31일 0시 기준 총 60,740명이 확진됐다(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 117.15명).
○ 확진자의 연령대별 발생 현황은 60세 이상이 17,118명(28.6%), 20대~50대가 36,910명(61.8%), 19세 이하가 5,745명(9.6%)이며,
* 분석 대상 : ’20.12.30일 0시 기준 확진자 59,773명
-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은 80세 이상(155.75명), 60대 (149.08명), 20대(141.22명)가 높았고, 그 외 70대(130.35명), 50대(129.36명), 30대(107.82명), 40대(101.20명), 10대(74.95명), 9세 이하(49.22명) 순이다.
○ 지역별로는 총 확진자의 59.6%(35,644명)가 수도권(서울 18,638명, 경기 14,226명, 인천 2,780명)에서 발생하였고, 비수도권은 21,698명(36.3%), 검역단계에서는 2,431명(4.1%)이 발생하였다.
- 시·도별 인구 10만 명 당 발생률은 대구(318.82명), 서울(191.48명), 경기(107.36명)가 높았고, 인천 94.04명, 경북 90.18명, 충남 77.03명, 강원 76.01명 등이다.
○ 감염경로 분포는 집단발생* 29.0%(17,338명), 선행 확진자 접촉 26.1%(15,595명), 의료기관·요양시설 9.1%(5,410명), 신천지 관련 8.7%(5,213명), 지역산발감염 17.8%(10,612명), 해외유입 9.0%(5,358명), 해외유입 관련** 0.4%(247명)이다.
* 역학적 연관성이 있으며 5명 이상 추가 전파가 발생한 사례를 말하며, 신천지 및 의료기관·요양시설 관련 집단발생은 별도로 분류함
** 해외유입 확진자로 인한 추가 전파 사례
- 집단발생 확진자의 연령군별 감염경로 특성은 60세 이상은 요양병원·시설, 40~59세와 20~39세는 신천지와 직장, 0-19세는 가족·지인모임과 교육시설에서 전파된 사례가 가장 많고, 종교 관련 집단발생은 모든 연령대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 연령별 주요 집단발생 감염경로(’20.1.20∼‘20.12.30.) >
상위 5개 |
전체 연령 |
0세~19세 |
20세~39세 |
40세~59세 |
60세 이상 |
|||||
1 |
신천지 |
가족·지인모임 |
신천지 |
신천지 |
요양병원·시설 |
|||||
(5,213명, |
18.6%) |
(594명, |
2.1%) |
(2,505명, |
9.0%) |
(1,596명, |
5.7%) |
(2,402명, |
8.6%) |
|
2 |
종교관련(신천지외) |
교육시설 |
직장(콜센터 등) |
직장(콜센터 등) |
종교관련(신천지외) |
|||||
(4,059명, |
14.5%) |
(472명, |
1.7%) |
(938명, |
3.4%) |
(1,453명, |
5.2%) |
(1,292명, |
4.6%) |
|
3 |
요양병원·시설 |
종교관련(신천지외) |
종교관련(신천지외) |
종교관련(신천지외) |
가족·지인모임 |
|||||
(3,362명, |
12.0%) |
(468명, |
1.7%) |
(878명, |
3.1%) |
(1,421명, |
5.1%) |
(847명, |
3.0%) |
|
4 |
직장(콜센터 등) |
신천지 |
가족·지인모임 |
가족·지인모임 |
의료기관 |
|||||
(3,211명, |
11.5%) |
(366명, |
1.3%) |
(478명, |
1.7%) |
(914명, |
3.3%) |
(831명, |
3.0%) |
|
5 |
가족·지인모임 |
체육·여가시설 |
의료기관 |
의료기관 |
직장(콜센터 등) |
|||||
(2,833명, |
10.1%) |
(210명, |
0.8%) |
(396명, |
1.4%) |
(749명, |
2.7%) |
(820명, |
2.9%) |
- 감염경로가 확진자 접촉인 경우 가족(32.5%), 지인(8.0%), 동료(7.2%)에 의해 주로 전파가 발생했으며, 연령별 특성으로 19세 미만 및 60세 이상은 가족과의 접촉, 20대~30대는 지인·동료와의 접촉에 의한 감염 사례가 많았다.
구분 |
계(%) |
가족 |
지인 |
동료 |
기타 |
|||||
전체 |
15,595 |
(100) |
5,066 |
(32.5) |
1,244 |
(8.0) |
1,117 |
(7.2) |
8,168 |
(52.4) |
0~19세 |
2,005 |
(100) |
967 |
(48.2) |
96 |
(4.8) |
11 |
(0.5) |
931 |
(46.4) |
20~39세 |
3,805 |
(100) |
1,128 |
(29.6) |
378 |
(9.9) |
397 |
(10.4) |
1,902 |
(50.0) |
40~59세 |
5,478 |
(100) |
1,555 |
(28.4) |
421 |
(7.7) |
532 |
(9.7) |
2,970 |
(54.2) |
60세이상 |
4,307 |
(100) |
1,416 |
(32.9) |
349 |
(8.1) |
177 |
(4.1) |
2,365 |
(54.9) |
2 |
|
국내 코로나19 사망자 발생 현황 |
○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중 사망자는 12월 31일 0시 기준 총 900명으로 치명률은 1.48%,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1.74명이다.
○ 사망자의 연령대는 80세 이상 486명, 70대 250명, 60대 103명, 50대 30명, 40대 7명, 30대 3명이며,
* 분석 대상 : ’20.12.30일 0시 기준 사망자 879명
- 연령대별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80세 이상이 25.59명으로 가장 높았고, 70대 6.93명, 60대 1.62명, 50대 0.35명, 40대 0.08명, 30대 0.04명이다.
○ 지역별 사망자는 경기 253명, 대구 201명, 서울 172명, 경북 61명, 부산 46명 등이며,
- 시·도별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대구(8.25명), 경북(2.29명)이 높았고, 울산 2.27명, 경기 1.91명, 서울 1.77명, 충북 1.44명, 부산 1.35명 등이다.
○ 사망자의 코로나19 감염경로 분포는 의료기관·요양시설 46.5%(409명), 집단발생 15.1%(133명), 선행 확진자 접촉 9.3%(82명), 신천지 관련 3.1%(27명), 지역산발감염 25.1%(221명), 해외유입 0.6%(5명), 해외유입 관련 0.2%(2명)이다.
3 |
|
시기별 국내 발생 양상 |
○ 국내 코로나19는 발생 시기 및 양상에 따라 크게 5개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 (제1기: 1.20.~2.17.) ‘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해외유입)가 발생하였으며 이후 중국 등 해외유입 및 이를 통한 전파 등 개별적, 산발적 사례가 주로 확인됐고, 주요 유행 바이러스는 S형과 V형이었다.
- (제2기: 2.18.~5.5.) 제2기는 본격적으로 국내 대규모 유행이 발생한 시기이며 신천지대구교회 관련 대규모 집단 발생을 중심으로 2~3월 대구ㆍ경북지역에 큰 유행이 발생하였다. 집중적인 진단검사와 역학조사를 통해 국내 확진자는 10명~50명 이하 수준으로 억제되고, 이 기간 확진자는 총 10,774명으로(일 평균 138.1명), 젊은 연령대의 확진자가 많았다. 주요 바이러스는 여전히 S 및 V형이 우세했으며, 그 외 GH 그룹이 일부 확인되었다.
- (제3기: 5.6.~8.11.) 5월 초 클럽, 물류센터 등의 집단발생을 시작으로 수도권 지역 내 소규모ㆍ산발적 집단감염으로 발생하였다. 해당 기간 동안 일 평균 확진자는 39.3명이며, 주요 바이러스 유형은 S 및 V형에서 GH 그룹 중심으로 바뀌었다.
- (제4기: 8.12.~11.12.) 8월 중순 사랑제일교회ㆍ815 서울도심집회 관련 집단발생 등 수도권 지역 내 종교시설ㆍ집회ㆍ다중이용시설 등에서 확진자가 증가하였으며, 수도권 發 집단감염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시기에 확진자는 총 13,282명이며, 고연령층 확진자가 다수 발생함에 따라 위중증 환자가 급증하였고, 사망자도 증가했다. 주요 바이러스 유형은 GH 그룹이다.
- (제5기: 11.13.~현재) 11월 중순까지 전국 일 평균 100명 내외로 억제 중이던 발생이, 12월 현재까지 일 평균 1,000명 수준으로 증가한 상황이다. 지역사회에 누적된 무증상ㆍ경증 감염자, 동절기 위험요인(실내생활 증가, 불충분한 환기, 바이러스 생존 유리 등), 거리두기 완화(모임, 행사,여행 등) 등으로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적으로 확산된 양상이다. 2~3월 대구경북지역 유행, 8월 수도권지역 유행에 이은 3번째 국내 대규모 유행 시기이며 특히, 수도권에서 약 70% 이상 발생하고 있다. 집단발생 양상은 종교시설, 의료기관·요양병원, 사업장, 다중이용시설 등에서 계속 발생 중이며, 가족·지인·동료 등을 통한 추가 전파도 지속되고 있다.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도 이전 대유행보다 크게 증가한 상황이다.
< 2020년 시기별 국내 코로나19 발생 양상 >
구분 |
제1기 |
제2기 |
제3기 |
제4기 |
제5기 |
(1.20.~2.17.) |
(2.18.~5.5.) |
(5.6.~8.11.) |
(8.12.~11.12.) |
(11.13.~12.30. 현재 지속 중) |
|
해외유입 사례별 발생 |
대규모 집단 발생 |
소규모 집단 산발적 발생 |
소규모-중간규모 집단 다수 발생 |
전국적 대규모 유행 |
|
확진자수 |
30명 |
10,774명 |
3,856명 |
13,282명 |
31,831명 |
일평균확진자수 |
1명 (최소 0명 ∼최대 5명) |
138.1명 (최소 2명 ∼최대 909명) |
39.3명 (최소 2명∼ 최대 113명) |
142.8명 (최소 38명 ∼최대 441명) |
663.1명 (최소 191명 ∼최대 1,241명) |
해외유입비율 |
56.7% (17명/30명) |
10.1% (1,084명/10,774명) |
38.2% (1,473명/3,856명) |
11.0% (1,462명/13,282명) |
4.2% (1,322명/31,831명) |
바이러스 유형 |
- S, V형 위주 |
- S, V형 위주 - GH 그룹 일부 출현 |
- GH 그룹 위주 - S, V형 소멸 |
- GH 그룹 위주 |
- GH 그룹 위주 (해외유입 GR그룹 영국변이주 확인) |
유행특성 |
- 중국 등 해외입국자 중심의 개별적 산발 사례
|
- 신천지대구교회 관련 대규모 발생으로 젊은 층 다수
|
- 클럽, 물류센터 등 집단시설에서 종교시설, 소모임 등으로 소형화
|
- 사랑제일교회 등 종교시설 → 대규모 집회, 다중이용시설 중심으로 발생 급증 - 위중증 환자 증가
|
- 종교시설, 병원 및 요양시설, 교정시설 등 수도권 중심에서 전국적 확산 및 가족 간 감염 증가 - 사망자, 위중증 환자 지속 증가 |
4 |
|
OECD 회원국 코로나19 발생 및 사망 현황 |
○ OECD 회원국 37개 국가 중 우리나라의 인구* 10만 명 당 확진자 수는 111.26명이고 인구 10만 명 당 사망자 수는 1.58명으로 일본, 호주, 뉴질랜드와 함께 가장 적은 그룹에 포함된다(12.28일 기준).
* 국가별 총 인구수: 유엔인구기금(UNFPA) ’19년 기준, 대한민국 ’20.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기준
< OECD 회원국별 인구 10만 명 당 코로나19 사망자 수 (’20.12.28일 기준) 붙임 참조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방역 당국의 “3T(Test, Tracing, Treatment & isolation)전략”과 온 국민이 동참하는 “사회적 거리두기” 병행 하에 국내 코로나19 유행억제를 위해 총력을 다하고, 정밀한 검역체계와 변이 바이러스 유입감시를 통해 전 세계적인 대유행 상황에서 코로나19의 해외유입을 철저히 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21년에는 현재 진행 중인 3차 유행 상황을 조속히 통제하고,신속하고 차질없는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감염과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며, 치료제로 환자의 중증 악화를 방지하는 등 코로나19 대응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연말·연휴를 맞아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국민들이 준수해야 할 세 가지를 강조하였다.
○ 첫째, 친지 방문ㆍ여행 등의 모임은 취소하고 집에서 안전하게 머무르며, 종교 활동, 모임, 행사는 비대면·비접촉으로 진행할 것을 당부하였다.
○ 둘째, 장소와 상황을 불문하고 실내 및 2m 이상 거리 유지가 어려운 실외에서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고, 마스크를 벗어야 하는 대면 식사ㆍ음주ㆍ흡연과 같은 상황은 가급적 회피할 것을 강조하였다.
○ 셋째, 발열‧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이 있을 때는 신속하게 선별진료소, 임시선별검사소 등을 방문하여 검사를 받을 것을 거듭 당부하였다.
- 의료기관은 코로나19 의심환자 또는 호흡기 증상환자가 방문할 경우 검사의뢰서를 적극 발급하여, 선별진료소에서 별도의 문진 절차 없이 신속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를 거듭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붙임>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2. 코로나19 국외 발생 현황
3. 2020년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및 사망자 현황
4. OECD 회원국 등 코로나19 발생 및 사망현황
5. 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0.12.29.∼’21.1.3.)
6. 비수도권 방역조치 요약표(’20.12.29.∼’21.1.3.)
7.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인플루엔자 동시유행 대비 대국민 행동 수칙
2.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관련 홍보자료
3. 코로나19 예방 손씻기 포스터
4. 일상 속 유형별 슬기로운 방역생활 포스터 6종
5.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6. 생활 속 거리 두기 행동수칙 홍보자료(3종)
7. 마음 가까이 두기 홍보자료
8.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9.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0.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건강한 생활 습관
12.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3.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4.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