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1-12-13
- 최종수정일2021-12-14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질병청, 오미크론 변이 분리 성공, 역학적 특성 분석 발표(12.13., 정례브리핑) ※ 65쪽 붙임 17 코로나19 예방접종 추가접종 간격 단축 안내 홍보자료 수정
- 현재 긴박한 위기극복과 미래의 위협 대응 모두 최선의 노력 다할 것 -
◆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 전반적인 발생 급증세 가운데 수도권에서 의료대응역량 한계 초과 발생 지속, 비수도권에서도 곧 의료역량 한계 도달 우려 ○ 종합위험도는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 단계로 전반적인 악화 가운데 비수도권에서 뚜렷한 악화 양상 ◆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 위중증 환자·사망자 증가 및 연일 확진자 7천명 돌파 등 코로나19 유행 이후 역대 최고 큰 규모 기록 ◆ 코로나19 예방접종 효과 ○ 코로나19에 감염될 위험 및 위중증과 사망 발생 위험은 ‘미접종군’이 ‘2차접종 완료군’에 비해 각각 2.4배, 11배, 9배 높음 ○ 2차접종군 대비 3차접종군의 중증 위험은 57.0% 수준, 60세 이상으로 한정할 경우 92.2%~100%로 낮아져 ◆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분리 성공 ○ 국내에서 확인된 오미크론 변이 양성 검체로부터 바이러스 분리 ○ 오미크론 변이 PCR 분석법 빠르게 개발될 것으로 기대 ◆ 3차접종 간격 단축에 따른 예약 실시 안내 ○ 오늘(12.13.)부터 3차접종 간격이 3개월로 단축된 18세 이상 전체를 대상으로 사전예약 시작 |
1. 단계적 일상회복에 따른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 결과 |
○ 주간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구분 |
지표명 (★핵심지표) |
11월2주 (11.7.~11.13.) |
11월3주 (11.14.~11.20.) |
11월4주 (11.21.~.27.) |
12월1주 (11.28.~12.4.) |
12월2주 (12.5.~12.11.) |
|||
대응역량 |
★①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 |
56.0 |
62.6 |
70.6 |
78.3 |
79.1 |
|||
수도권 |
69.5 |
77.0 |
83.4 |
87.8 |
84.9 |
||||
비수도권 |
34.9 |
40.1 |
50.3 |
62.8 |
68.5 |
||||
①-1 일평균 재원 위중증 환자수(명) |
447 |
498 |
576 |
697 |
807 |
||||
★② 의료대응역량 대비 발생 비율(%) |
43.4 |
54.7 |
70.0 |
87.8 |
110.3 |
||||
수도권 |
55.2 |
70.1 |
89.5 |
111.2 |
127.5 |
||||
비수도권 |
24.3 |
29.5 |
38.3 |
49.8 |
77.7 |
||||
③ 감염병전담병원 병상가동률(%) |
59.0 |
61.6 |
67.3 |
70.2 |
71.9 |
||||
수도권 |
75.8 |
76.5 |
76.2 |
76.5 |
77.2 |
||||
비수도권 |
44.5 |
48.8 |
59.5 |
64.7 |
67.3 |
||||
④ 생활치료센터 가동률(%) |
49.7 |
52.0 |
59.9 |
64.6 |
67.6 |
||||
수도권 |
60.1 |
62.2 |
69.6 |
71.1 |
71.8 |
||||
비수도권 |
28.6 |
31.2 |
40.5 |
51.3 |
58.9 |
||||
④-1 재택치료자 비율(%) |
24.3 |
26.2 |
31.2 |
27.1 |
28.6 |
||||
⑤ 방역망 내 관리 비율(%) |
37.2 |
38.8 |
33.7 |
31.4 |
27.6 |
||||
발생 |
⑥ 주간 사망자 수(명) |
127 |
161 |
248 |
317 |
401 |
|||
★⑦ 주간 신규 위중증환자수(명) |
339 |
346 |
477 |
530 |
615 |
||||
⑦-1 중증화율(%) |
(10월 기준) 2.05% |
||||||||
⑧ 주간 입원환자 수(명) |
3,283 |
3,649 |
4,322 |
4,716 |
5,623 |
||||
⑨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명), 국내 |
2,172 |
2,733 |
3,502 |
4,392 |
6,068 |
||||
수도권 |
1,711 |
2,173 |
2,774 |
3,446 |
4,592 |
||||
비수도권 |
461 |
560 |
728 |
946 |
1,477 |
||||
⑨-1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10만명당) |
4.2 |
5.3 |
6.8 |
8.5 |
11.7 |
||||
수도권 |
6.6 |
8.3 |
10.7 |
13.2 |
17.6 |
||||
비수도권 |
1.8 |
2.2 |
2.8 |
3.7 |
5.7 |
||||
★⑩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 |
32.6 |
35.7 |
34.9 |
35.8 |
33.5 |
||||
⑩-1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수(명) |
4,959 |
6,834 |
8,556 |
11,010 |
14,245 |
||||
⑪ 확진자 중 미접종자(불완전접종포함) 비율(%) |
36.3 |
31.0 |
29.2 |
27.8 |
|||||
⑫ 감염재생산지수(Rt) |
1.05 |
1.10 |
1.19 |
1.16 |
1.23 |
||||
⑬ 검사양성률(%) |
1.60 |
1.82 |
1.97 |
2.19 |
2.46 |
||||
⑬-1 변이바이러스(오미크론형) 검출률(%) |
- |
- |
- |
0.3 |
1.3 |
||||
예방 접종 |
⑭ 2차 접종률(%) |
78.1 |
78.8 |
79.6 |
80.4 |
81.1 |
|||
⑮ 60세 이상 2차 접종률(%) |
91.9 |
92.0 |
92.2 |
92.3 |
92.5 |
||||
★⑯ 60세 이상 3차 접종률(%) |
4.2 |
7.5 |
12.2 |
18.1 |
31.4 |
||||
⑰ 예방접종효과(완전접종군) |
감염예방효과 |
위중증 예방효과 |
사망예방효과 |
||||||
11월4주 기준 57.6% |
11월4주 기준 92.1% |
11월4주 기준 90.7%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정은경 청장)는 12월 2주차(12.5.~12.11.) 주간 위험도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국 중환자실 병상가동률은 지속 증가 중, 수도권의 경우 소폭 하락하였으나 비수도권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 수도권: (12.1주) 87.8% → (12.2주) 84.9%(-2.9%p)
* 비수도권: (12.1주) 62.8% → (12.2주) 68.5%(+5.7%p)
- 전반적인 발생 급증에 따라 수도권 의료대응역량 초과 상태가 지속되고, 비수도권도 급격한 증가 양상이다
* 수도권 : (12.1주) 111.2% → (12.2주) 127.5%(+16.3%p)
* 비수도권 : (12.1주) 49.8% → (12.2주) 77.7%(+27.9%p)
○ 발생지표의 경우 일평균 확진자가 6,068명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하였고, 주간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발생증가에 따라 60세 이상 확진자 수는 급격히 증가 중이며, 이에 따라 위중증 및 사망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 수 : (12.1주) 4,392명 → (12.2주) 6,068명(+1,676)
* 60세 이상 확진자 수 : (12.1주) 11,010명 → (12.2주) 14,245명(+3,235)
- 발생의 선행지표인 검사양성률도 지속 증가 중으로 지역사회 발생이 지속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검사양성률: (12.1주) 2.19% → (12.2주) 2.46%(+0.27%p)
○ 예방접종지표는 60세 이상 3차 접종률이 31.4%로 지난주 대비 13.3%p 증가하였다
○ 지난 12월 12일,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방역의료분과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의견이 제시되었다.
- 이번 발생 증가가 다음 주 위중증환자 및 사망자 수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증가 추세를 꺾기 위한 역학조사는 한계에 봉착했다고 보았다.
- 방역강화대책의 효과가 다음 주 중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에 다음 주 추세를 확인하고 영업시간 제한 및 강도 높은 인원 제한 등 추가적인 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이며, 민생경제 취약계층 보호 대책과 함께 제시될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 또한, 60세 이상 대상 3차 접종 가속 및 중・고등학생 접종완료가 필요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패스 확대 및 병상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 지역의료계의 참여를 독려하여 재택치료의 확대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종합적인 위험도 평가 결과,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매우 높음’ 으로 평가하였으며,
- 전반적인 발생 증가 가운데 수도권에서 의료대응역량 한계를 초과한 발생이 지속되고 있고, 비수도권에서도 곧 의료역량 한계 도달할 우려가 있음을 밝혔다.
<종합평가 결과 – 12월 2주차>
구분 |
11월 2주 (11.7.~11.13.) |
11월 3주 (11.14.~11.20.) |
11월 4주 (11.21.~11.27.) |
12월 1주 (11.28.~12.4.) |
12월 2주 (12.5.~12.11.) |
전국 |
낮음 |
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수도권 |
중간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매우높음 |
비수도권 |
매우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매우높음 |
2.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1주간(’21.12.5.~12.11.)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807명, 사망자수는 401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이후 역대 최고로 큰 규모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 주별 일평균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규모 :(11월2주) 447명 → (11월3주) 498명 → (11월4주) 576명→(12월1주) 697명→ (12월2주) 80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11월2주) 127명 → (11월3주) 161명 → (11월4주) 248명→(12월1주) 317명→ (12월2주) 401명
* 가용 중환자실 :(11월2주) 387개 → (11월3주) 321개 → (11월4주) 245개 →(12월1주) 221개 → (12월2주) 209개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12월 2주 재원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60대 이상 672명(83.3%), 40~50대 108명(13.4%), 30대 이하 27명(3.4%)이었고, 대부분*이 60대 이상 연령군에서 발생하고 있다.(83.3%)
* 11월3주 83.7% → 11월4주 85.4% → 12월1주 83.8% → 12월2주 83.3%
○ (연령군별 사망자 수) 12월 2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380명(94.8%)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18명(4.5%) 30대 이하 3명(0.7%)이었다.
-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사망자 1,254명 중 절반 이상이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이고(51.0%, 640명), 2차 접종자는 46.6%(584명), 3차 접종자는 2.4%(30명)이었다.
- (60대 이상 사망자 접종현황) 최근 5주간 60대 이상 사망자 1,199명 중 백신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는 49.4%(592명), 2차 접종자는 48.1%(577명), 3차 접종자는 2.5%(30명)이었다.
- (기저질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360명(89.8%), 없는 경우가 8명(2.0%), 조사중이 33명(8.2%)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연령군별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고>
<주차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현황 그림 붙임 참고>
□ 최근 1주간(’21.12.5.~12.11.)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6,068.4명(국내 발생 42,479명)으로 전주(일평균 3,445.6명) 대비 38.2%(1,676.8명) 급증하여, 전국적으로 코로나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4,591.6명(전체 환자 수 32,141명)으로, 전주(일평균3,445.6명) 대비 33.3%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확진자 급증세로 최근 1주간 일평균 1,476.8명(전체 환자 수 10,338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946.0명) 대비 56.1% 증가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1.23으로 유행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수도권은 1.20, 비수도권은 1.31이었다.
* 전국 Rt : 1.10(11월3주) → 1.19(11월4주) → 1.16(12월1주) → 1.23(12월2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28.6명(총 200명)으로 전주 대비(29.4명) 2.7%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12.11.) 관련 그림 붙임 참고>
○ (연령군) 전주 대비 모든 연령군에서 일평균 발생률은(10만 명당) 급증하였고, 19세 이하(14.4명)‧ 60대 이상(16.3명) 연령군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발생률을 유지하고 있다.
- (60대이상) 11월2주 대비 주간 일평균 발생률(인구 10만 명당)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나가고 있으며(5.7명→16.3명), 전체 확진자 중 비중은 35% 전후를 유지하고 있다.
< 전국 연령별 일평균 발생률(12.11.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11월 2주 (11.7.~11.13.) |
환자수 |
15,203 |
1,350 |
1,889 |
1,421 |
1,966 |
1,790 |
1,828 |
2,772 |
1,333 |
854 |
일평균발생률 |
4.2 |
4.9 |
5.6 |
3.0 |
4.1 |
3.1 |
3.0 |
5.9 |
5.1 |
6.1 |
|
11월 3주 (11.14.~11.20.) |
환자수 |
19,128 |
1,573 |
2,237 |
1,584 |
2,133 |
2,281 |
2,486 |
3,645 |
2,001 |
1,188 |
일평균발생률 |
5.3 |
5.7 |
6.7 |
3.3 |
4.4 |
3.9 |
4.1 |
7.7 |
7.7 |
8.5 |
|
11월 4주 (11.21.~11.27.) |
환자수 |
24,511 |
2,102 |
2,526 |
2,197 |
2,973 |
2,900 |
3,259 |
4,936 |
2,342 |
1,276 |
일평균발생률 |
6.8 |
7.6 |
7.5 |
4.6 |
6.2 |
5.0 |
5.4 |
10.5 |
9.0 |
9.1 |
|
12월 1주 (11.28.~12.4.) |
환자수 |
30,741 |
2,779 |
3,208 |
2,718 |
3,603 |
3,484 |
3,939 |
6,074 |
3,153 |
1,783 |
일평균발생률 |
8.5 |
10.0 |
9.6 |
5.7 |
7.5 |
6.0 |
6.5 |
12.9 |
12.2 |
12.7 |
|
12월 2주 (12.5.~12.11.) |
환자수 |
42,479 |
4,314 |
4,489 |
3,715 |
4,972 |
5,244 |
5,500 |
8,599 |
3,836 |
1,810 |
일평균발생률 |
11.7 |
15.5 |
13.4 |
7.8 |
10.3 |
9.0 |
9.1 |
18.2 |
14.8 |
12.9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학령기 연령군) 전주대비 일평균 발생률은 약 1.5배 상승하였고(인구10만 명당 10.2명→15.0명), 특히 15세 이하 연령군에서 높은 발생률(인구 10만 명당 16.7명)을 보이고 있다.
< 학령기 연령군 일평균 발생률(12.11. 0시 기준) >
연령별 |
11월 3주 (11.14.~11.20.) |
11월 4주 (11.21.~11.27.) |
12월 1주 (11.28.~12.4.) |
12월 2주 (12.5.~12.11.) |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명) |
주간 일평균 발생률 |
|||
계 |
3,711 |
6.5 |
4,511 |
7.9 |
5,835 |
10.2 |
8,613 |
15.0 |
||
6세 이하 |
875 |
4.9 |
1,189 |
6.6 |
1,598 |
8.9 |
2,505 |
14.0 |
||
7∼12세 |
1,413 |
7.2 |
1,835 |
9.4 |
2,470 |
12.6 |
3,721 |
19.0 |
||
13∼15세 |
937 |
9.7 |
1,031 |
10.7 |
1,222 |
12.6 |
1,650 |
17.1 |
||
16∼18세 |
합계 |
486 |
4.8 |
456 |
4.5 |
545 |
5.3 |
737 |
7.2 |
|
16세 |
206 |
6.2 |
169 |
5.1 |
206 |
6.2 |
274 |
8.3 |
||
17세 |
200 |
5.8 |
163 |
4.7 |
201 |
5.8 |
224 |
6.5 |
||
18세 |
80 |
2.3 |
124 |
3.6 |
138 |
4.0 |
239 |
6.9 |
○ (감염경로) ’소규모 지역사회 접촉‘(49.7%, 121,210명) 및 ‘조사 중 비율’(41.1%, 17,529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11.14.~12.11.)>
구 분(명,%) |
11월 3주 (11.14.~11.20.) |
11월 4주 (11.21.~11.27.) |
12월 1주 (11.28.~12.4.) |
12월 2주 (12.5.~12.11.) |
||||
전체 |
19,264명 |
(100%) |
24,659명 |
(100%) |
30,946명 |
(100%) |
42,679명 |
(100.0%) |
지역사회 접촉 |
9,382명 |
(48.7%) |
11,237명 |
(45.6%) |
13,968명 |
(45.1%) |
21,210명 |
(49.7%) |
지역 집단발생 |
2,226명 |
(11.6%) |
3,078명 |
(12.5%) |
3,312명 |
(10.7%) |
2,581명 |
(6.0%)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1,815명 |
(9.4%) |
1,291명 |
(5.2%) |
1,808명 |
(5.8%) |
1,155명 |
(2.7%) |
해외유입 |
136명 |
(0.7%) |
148명 |
(0.6%) |
205명 |
(0.7%) |
200명 |
(0.5%) |
해외유입 관련 |
0명 |
(0.0%) |
3명 |
(0.0%) |
4명 |
(0.0%) |
4명 |
(0.0%) |
조사중(미분류) |
5,705명 |
(29.6%) |
8,902명 |
(36.1%) |
11,649명 |
(37.6%) |
17,529명 |
(41.1%)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4,882명 |
(32.1%) |
7,716명 |
(39.7%) |
10,128명 |
(42.0%) |
14,388명 |
(44.8%) |
○ (집단발생) 신규 집단발생은 총 54건으로 교육시설 18건, 의료기관/요양시설 13건, 사업장 7건, 다중이용시설(목욕탕, 사회복지시설 등) 6건, 종교시설 5건, 가족 및 지인모임 3건, 공공기관 2건이 발생하였다.
□ (외국인 발생현황) 외국인 확진자 발생 비중은 3.5%(1,469명)로 감소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확진자 수는 전주대비 소폭 증가(▲164명)하였다.
<주차별 외국인 확진자 발생 추이 그림 붙임 참고>
□ (변이바이러스 검출현황) 국내감염 및 해외유입 사례는 대다수가 델타형 변이고(국내 98.9%, 해외 94.7%), 오미크론형 변이가 66건 확인*되었다. (12.11. 0시 기준)
* (오미크론형) 국내감염 51건(1.1%), 해외유입 15건(5.3%)
< 국내감염 주요 변이바이러스 분석률 및 검출률(12.11.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분석 건수 |
분석률 (%) |
주요 변이 |
알파형 |
베타형 |
감마형 |
델타형 |
오미크론형 |
||||||
건 |
검출률(%) |
건 |
검출률(%) |
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