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2-04-22
- 최종수정일2022-04-25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4
코로나19 국내 발생 및 예방접종 현황(4.22.) ※ 붙임 4 수정(10:40), 붙임 3 수정(15:30)
1.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4월 22일 0시 기준으로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833명, 사망자는 206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1,873명(치명률 0.13%)이라고 밝혔다.
구분 |
4.16. |
4.17. |
4.18. |
4.19. |
4.20. |
4.21. |
4.22. |
사망자* |
273 |
203 |
132 |
130 |
166 |
147 |
206 |
재원중 위중증 |
913 |
893 |
850 |
834 |
808 |
846 |
833 |
입원 |
1,043 |
775 |
551 |
780 |
811 |
650 |
697 |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 해외유입 사례는 15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81,058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6,755,055명(해외유입 31,681명)이다.
구분 |
합계 |
서 울 |
부 산 |
대 구 |
인 천 |
광 주 |
대 전 |
울 산 |
세 종 |
경 기 |
강 원 |
충 북 |
충 남 |
전 북 |
전 남 |
경 북 |
경 남 |
제 주 |
검 역 |
국내 |
81,043 |
13,191 |
3,130 |
4,030 |
4,098 |
2,806 |
2,859 |
1,852 |
570 |
20,431 |
3,169 |
3,054 |
3,845 |
3,347 |
3,826 |
5,021 |
4,625 |
1,189 |
0 |
해외 |
15 |
0 |
0 |
0 |
0 |
1 |
0 |
0 |
0 |
0 |
0 |
5 |
0 |
2 |
2 |
1 |
0 |
0 |
4 |
합계 |
81,058 |
13,191 |
3,130 |
4,030 |
4,098 |
2,807 |
2,859 |
1,852 |
570 |
20,431 |
3,169 |
3,059 |
3,845 |
3,349 |
3,828 |
5,022 |
4,625 |
1,189 |
4 |
○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중 60세 이상 고위험군은 18,543명(22.9%)이며, 18세 이하는 15,144명(18.7%)이다.
구분 |
4.16. |
4.17. |
4.18. |
4.19. |
4.20. |
4.21. |
4.22. |
|
국내 확진자 수 |
107,867 |
92,961 |
47,717 |
118,462 |
111,290 |
90,836 |
81,043 |
|
60세 이상 |
확진자 수 |
25,873 |
23,126 |
8,748 |
23,921 |
25,292 |
19,941 |
18,543 |
% |
24.0 |
24.9 |
18.3 |
20.2 |
22.7 |
22.0 |
22.9 |
|
18세 이하 |
확진자 수 |
20,693 |
18,125 |
11,617 |
25,803 |
21,925 |
17,135 |
15,144 |
% |
19.2 |
19.5 |
24.3 |
21.8 |
19.7 |
18.9 |
18.7 |
□ 4월 22일 0시 기준 국내 주요 발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0시 기준 통계, 지자체 자체 발표 자료와 집계시점 등의 차이로 일부 상이할 수 있으며, 향후 역학조사에 따라 분류 결과 변동 가능
○ 4월 22일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81,043명이며(최근 1주간 일 평균 92,882.3명), 수도권에서 37,720명(46.5%) 비수도권에서는 43,323명(53.5%)이 발생하였다.
(주간: 4.16.~4.22., 단위: 명) |
||||||||
구분 |
전국 |
수도권 |
충청권 |
호남권 |
경북권 |
경남권 |
강원권 |
제주권 |
(서울, 인천, 경기) |
(대전, 세종, 충남, 충북) |
(광주, 전남, 전북) |
(대구, 경북) |
(부산, 울산, 경남) |
(강원) |
(제주) |
||
4.22.(0시 기준) |
81,043 |
37,720 |
10,328 |
9,979 |
9,051 |
9,607 |
3,169 |
1,189 |
주간 일 평균 |
92,882.3 |
44,055.7 |
12,064.9 |
11,402.0 |
9,711.1 |
10,868.1 |
3,491.1 |
1,289.3 |
주간 총 확진자 수 |
650,176 |
308,390 |
84,454 |
79,814 |
67,978 |
76,077 |
24,438 |
9,025 |
주간 발생률* |
179.9 |
169.3 |
217.7 |
225.3 |
193.8 |
139.6 |
226.9 |
190.5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2. 코로나19 치료병상 및 재택치료 현황 |
□ 코로나19 병상 보유량은 전체 35,803병상이다.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38.1%, 준-중증병상 41.8% 중등증병상 24.7%이다.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14.7%이다. (4.22. 0시 기준)
구분 (단위: 개) |
위중증 |
준중증 |
중등증 |
경증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 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생활치료센터 |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보유 |
사용 |
가용 |
|||||
% |
% |
% |
% |
|||||||||||||
전국 |
2,793 |
1,065 |
38.1 |
1,728 |
3,569 |
1,492 |
41.8 |
2,077 |
16,148 |
3,984 |
24.7 |
12,164 |
13,293 |
1,949 |
14.7 |
11,344 |
수도권 |
1,957 |
709 |
36.2 |
1,248 |
2,519 |
969 |
38.5 |
1,550 |
7,321 |
1,519 |
20.7 |
5,802 |
8,661 |
1,092 |
12.6 |
7,569 |
비수도권 |
836 |
356 |
42.6 |
480 |
1,050 |
523 |
49.8 |
527 |
8,827 |
2,465 |
27.9 |
6,362 |
4,632 |
857 |
18.5 |
3,775 |
□ 입원 대기환자는 2021년 12월 29일 0명으로 해소된 이후 지속적으로 0명이다.
□ 4월 22일 0시 기준 현재 재택치료자는 550,814명이다. 어제 신규 재택치료자는 82,895명(수도권 39,561명, 비수도권 43,334명)이다.
재택치료 현원 |
신규재택치료자(4.21.) |
|
전체 |
(집중관리군) |
|
550,814명 |
(47,310명) |
82,895명 |
○ 재택치료자 집중관리군의 건강관리(1일 2회)를 위한 관리의료기관은 전국 1,152개소이며, (4.22. 0시 기준)
○ 재택치료자 일반관리군 전화상담·처방이 가능한 동네 의료기관은 전국 9,679개소*이다. (4.21. 17시 기준) * 운영개시 예정인 기관 포함
- 이외 24시간 운영되는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도 전국 255개소 운영되고 있다. (4.21. 17시 기준)
관리의료기관 |
전화상담·처방 의료기관 |
의료상담센터 |
1,152개소 |
9,679개소 |
255개소 |
□ 신속항원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호흡기전담클리닉 477개소,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10,017개소로, 전국에 10,494개소가 있다. (4.21. 17시 기준)
총계 |
호흡기 전담클리닉 |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
10,494개소 |
477개소 |
10,017개소 |
3.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분양 현황 |
□ 국립보건연구원은 국가병원체자원은행(NCCP)을 통해 유관부처 및 연구기관 등에 분양된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4. 20.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는 현재까지(’22. 4. 20.) 총 109개 기관에 1,907건이 분양되었다.
- 활용 목적별로는 ▲백신 및 치료제 연구용 498건, ▲진단기술 개발용 1,383건, ▲정도관리용 5건, ▲기타 융합연구 등 21건이 분양되었으며,
- 변이 유형별로는 ▲VOC는 1,169*건, ▲ FMV는 90**건, ▲VOI 648***건이 되었다.
* VOC(1,169): 알파(187), 베타(184), 감마(135), 델타(446), 오미크론(217)
** FMV(90): 기타(90)
*** VOI(648): 에타(86), 카파(123), 입실론(180), 아오타(90), 제타(94), 뮤(75)
○ 국립보건연구원은 향후 자원 다양성 확보를 위해 변이주에 대한 자원 수집을 민간부분으로 확대하여, 보건의료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 (분양문의) 국립보건연구원 병원체자원관리과, 043-913-4270, 병원체자원은행 누리집: http://nccp.kdca.go.kr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에서 분양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질병관리청 진단분석국 신종병원체분석과 기탁자원임
[국내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주 분양 현황(’22. 4. 20. 0시 기준)]
목적 자원 |
백신·치료제연구 |
진단기술연구 |
기타 |
계 |
|
분양기관 |
21 |
86 |
3 |
110 |
|
분양수(주) |
498 |
1383 |
26 |
1907 |
|
V O C 주 |
알파형 (영국 GRY: B.1.1.7) |
56 |
127 |
4 |
187 |
베타형 (남아프리카공화국 GH: B.1.351) |
53 |
127 |
4 |
184 |
|
감마형 (미국/브라질 GR: P.1) |
37 |
96 |
2 |
135 |
|
델타형 (인도 G: 1.617.2) |
62 |
109 |
2 |
173 |
|
델타형 (인천 GK: B.1.617.2 K417N 포함) |
9 |
64 |
0 |
73 |
|
델타형 (서울 GK: AY.1) |
11 |
69 |
2 |
82 |
|
델타형 (경기 GK: AY.69) |
11 |
49 |
0 |
60 |
|
델타형 (경기 GK: AY.122) |
11 |
47 |
0 |
58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 |
46 |
132 |
1 |
179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1.1) |
7 |
8 |
1 |
16 |
|
오미크론형 (경기 GRA: B.2) |
11 |
10 |
1 |
22 |
|
V O I 주* |
뮤형 (콜롬비아 GH: B.1.621) |
15 |
59 |
1 |
75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7) |
22 |
62 |
1 |
85 |
|
입실론형 (미국/캘리포니아 GH: B.1.429) |
27 |
67 |
1 |
95 |
|
제타형 (브라질 GR: P.2) |
28 |
63 |
3 |
94 |
|
에타형 (영국/나이지리아 G: B.1.525) |
22 |
63 |
1 |
86 |
|
아오타형 (미국/뉴욕 GH: B.1.526) |
21 |
68 |
1 |
90 |
|
카파형 (인도 G: B.1.617.1) |
35 |
87 |
1 |
123 |
|
F M V 주 |
기타형 (경기 G: B.1.619) |
7 |
41 |
0 |
48 |
기타형 (서울 G: B.1.620) |
7 |
35 |
0 |
42 |
* WHO SARS-CoV-2 variants 분류변경으로 인하여 기존의 FMV(Formerly Monitored Variants)에서 VOI로 변경
(참고. Tracking of SARS-CoV-2 variants, WHO) (’22. 4. 12.)
4. 코로나19 치료제 투약 현황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코로나19 치료제 투약현황(4.21. 0시 기준)을 안내하였다.
○ 먼저, 코로나19 치료제인 ‘베클루리주(길리어드, 렘데시비르)’는 현재까지 537개 병원 75,444명의 환자에게 투여되었다.
※ 먹는 치료제 사용 및 재고 현황 붙임4 참고
5.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4월 22일 0시 기준 신규 1차접종자 1,124명, 2차접종자 1,430명, 3차접종자 9,796명, 4차접종자 58,921명으로, 누적 1차접종자수는 45,017,331명, 2차 접종자수는 44,532,083명, 3차접종자수는 33,043,900명, 4차 접종자수는 671,788명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단위 : 명, %) |
|||||||||||
구분 |
전일 누계(A) |
신규 접종(B)1) |
누적 접종(A+B)1) |
인구2)대비 접종률 |
|||||||
전체 |
12세+ |
18세+ |
60세+ |
||||||||
1차 |
45,016,207 |
1,124 |
45,017,331 |
87.7 |
95.5 |
97.2 |
96.3 |
||||
2차 |
44,530,653 |
1,430 |
44,532,083 |
86.8 |
94.6 |
96.4 |
95.8 |
||||
3차 |
33,034,104 |
9,796 |
33,043,900 |
64.4 |
70.2 |
74.1 |
89.3 |
||||
4차 |
612,867 |
58,921 |
671,788 |
1.3 |
|
|
4.2 |
||||
|
(60세 이상)3) |
|
521,199 |
|
57,761 |
|
578,960 |
||||
1) 얀센 백신의 경우 1회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므로 얀센 1차 접종은 ‘2차 접종’ 합계에도 추가, 얀센 2차의 경우 3차 합계에 추가 2) ’21.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거주불명자, 재외국민 제외) 3) 60세 이상 연령층 4차접종 시행에 따라 접종자 별도 표시(4.14-4.24는 당일 접종만 시행) |
【백신별 접종현황】 (단위 : 명 |
||||||||
|
1차접종 |
2차접종 |
3차 접종 |
4차 접종 |
||||
신규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누적 |
신규 |
누적 |
|
계 |
1,124 |
45,017,331 |
1,430 |
44,532,083 |
9,796 |
33,043,900 |
58,921 |
671,788 |
PF |
742 |
25,422,720 |
639 |
26,981,917 |
7,658 |
22,121,798 |
44,557 |
563,453 |
M |
4 |
6,811,809 |
30 |
6,637,061 |
1,425 |
10,839,442 |
5,653 |
58,561 |
AZ |
- |
11,074,934 |
- |
9,241,653 |
- |
1,574 |
- |
- |
J1) |
6 |
1,516,007 |
|
|
3 |
26,815 |
- |
1 |
NVX |
372 |
110,903 |
755 |
76,854 |
710 |
48,068 |
8,711 |
49,773 |
기타백신2) |
- |
80,958 |
- |
78,591 |
- |
6,203 |
- |
- |
1) 얀센백신은 1차 접종으로 기초 접종이 완료되어, 2차 접종으로 백신 사용되지 않음 2) 기타백신은 국외 허가백신(국내 미승인 백신(WHO 승인백신))의 접종력이 등록된 자(시노팜, 시노백 등) |
□ 4월 22일 0시 기준 성별·연령별 접종 현황은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