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3.8% 감소(2.8.수 정례브리핑)
  • 작성일2023-02-08
  • 최종수정일2023-02-0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42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23.8%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낮음’으로 유지 -




-주요 내용-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1.29.~2.4.)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6,107명(전주 대비 23.8%↓)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는 감소, 사망자는 전주 대비 증가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 주간(1.22.~1.28.)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 23.03%로 전주(22.80%) 대비 증가


□ 중국출발 입국자 검사 등 관리 현황(1.29~2.4)

 ○ 입국자 9,492명, 검사자 9,373명, 양성자 103명, 양성률 1.1% 

 ○ 단기체류외국인 입국자 1,788명, 양성자 25명, 양성률 1.4% 

 ○ 장기체류외국인 입국자 5,576명, 검사자 5,478명, 양성자 46명, 양성률 0.8%  

 ○ 내국인 입국자 2,128명, 검사자 2,107명, 양성자 32명, 양성률 1.5%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1. 29.∼2. 4.)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2월 1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368명, 일평균 사망자는 30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3,574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1.29.

1.30.

1.31.

2.1.

2.2.

2.3.

2.4.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420

402

387

359

345

339

325

368

-

사망자*

29

30

24

42

36

30

22

30

213

입원

85

41

72

97

77

86

82

77

540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6.8%, 70대가 26.8%, 60대가 10.3%로, 50대 이하 6.1%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구 분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사망누계

(%)

치명률(%)

재원중

위중증

구성비(%)

213

(100.0)

33,574

(100.0)

0.11

368

(100.0)

성별

남성

122

(57.3)

16,502

(49.1)

0.12

218

(59.2)

여성

91

(42.7)

17,072

(50.9)

0.11

150

(40.8)

연령

80세 이상

121

(56.8)

20,037

(59.7)

1.96

149

(40.5)

70-79

57

(26.8)

7,611

(22.6)

0.45

114

(31.0)

60-69

22

(10.3)

3,807

(11.3)

0.12

63

(17.1)

50-59

6

(2.8)

1,370

(4.1)

0.03

22

(6.0)

40-49

3

(1.4)

455

(1.4)

0.01

6

(1.6)

30-39

3

(0.3)

156

(0.5)

0.01

5

(1.4)

20-29

0

(0.0)

79

(0.2)

0.01

2

(0.5)

10-19

1

(0.5)

22

(0.1)

0.01

1

(0.3)

0-9

0

(0.0)

37

(0.1)

0.01

6

(1.6)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1. 29.∼2. 4.)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2월 1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사망자는 증가하였으나, 신규 확진자, 위중증 환자, 병상가동률 감소 추세 등 전반적인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였다.



<2월 1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22.10

’22.11

’22.12

’23.1

’23.2

1

(10.2.~)

2

(10.9.~)

3

(10.16.~)

4

(10.23.~)

1-5

(10.30.~12.3)

1-4

(12.4.~12.31)

1

(1.1.~)

2

(1.8.~)

3

(1.15.~)

4

(1.22.~)

1

(1.29.~)

전국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비수도권

낮음

낮음

낮음

중간

중간

중간

중간

중간

낮음

낮음

낮음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0.5% 감소하여 일평균 368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21.0% 증가하여 일평균 30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1월 2주) 524명→ (1월 3주) 479명→ (1월 4주) 463명→ (2월 1주) 368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1월2주) 51명→ (1월3주) 39명→ (1월4주) 25명→ (2월1주) 30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2.4. 0시 기준)>




 ○ 2월 1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326명(88.6%),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28명(96.6%)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348명(94.6%),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29명(100.0%)



 ○ 1월 3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22%, 치명률은 0.09%이었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2.4. 0시 기준)>



 ○ ’23년 2월 4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5.0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50.5명(치명률 1.96%)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4.9명(치명률 0.45%), 60대는 53.1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2월 1주(1.29.~2.4.) 주간 신규 확진자는 112,748명으로 전주 대비 23.8%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6,107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90으로 5주 연속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1월2주) 30.0만 명 → (1월3주) 20.8만 명 → (1월4주) 14.7만 명 → (2월1주) 11.2만 명

  ** 일 평균: (1월2주) 42,930명 → (1월3주) 29,798명 → (1월4주) 21,139명 → (2월1주) 16,107명


그림.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2.12.11~‘23.2.4.)>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122

(12.11.~12.17.)

123

(12.18.~12.24.)

124

(12.25.~12.31)

11

(1.1.~1.7.)

12

(1.8.~1.14.)

13

(1.15.~1.21.)

14

(1.22.~1.28.)

21

(1.29.~2.4.)

확진자수()

455,318

471,191

458,702

414,605

300,513

208,583

147,972

112,748

일 평균 확진자()

65,045

67,313

65,529

59,229

42,930

29,798

21,139

16,10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126.5

130.9

127.4

115.1

83.5

57.9

41.1

31.3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1.1

1.0

1.0

0.9

0.7

0.7

0.7

0.8

감염재생산지수(Rt)

1.08

1.04

1.00

0.95

0.85

0.77

0.75

0.90



 ○ (고발생군) 전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감소하였다.


  - 발생률은 80세이상(41.4명), 30-39세(38.2명), 20-29세(37.4명) 순으로,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수는 감소하였고 비중은 비슷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1월2주) 80,030→ (1월3주) 58,844→ (1월4주) 38,733→ (2월1주)29,696  

     ** 60세 이상 비율(%): (1월2주) 26.6→ (1월3주) 28.2→ (1월4주) 26.2→ (2월1주) 26.3


  - 1월 4주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비율*은 4.5%(6,687명/147,470명)로 전주와 동일하며, 감염취약시설 유형별 발생 현황은 요양병원 38.6%(2,578명/6,687명), 요양시설 33.3%(2,229명/6,687명), 주야간보호센터 11.8%(786명/6,687명) 순이었다.


    * 전체 확진자중 감염 취약시설 구성원 비율 (%): (1월1주) 3.6% →  (1월2주) 4.1% →  (1월3주) 4.5% →  (1월4주) 4.5%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13

14

21

누적 발생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일평균

발생률

확진자수

비중(%)

발생률

208,583

(100.0)

57.9

147,972

(100.0)

41.1

112,748

(100.0)

109.6

30,243,393

(100.0)

58,795

성별

남성

91,912

(44.1)

51.2

66,081

(44.7)

36.8

51,488

(45.7)

100.4

14,014,962

(46.3)

54,667

여성

116,671

(55.9)

64.6

81,891

(55.3)

45.3

61,260

(54.3)

118.7

16,228,431

(53.7)

62,896

연령별

0-9

11,545

(5.5)

46.7

9,252

(6.3)

37.4

7,056

(6.3)

99.9

3,080,444

(10.2)

87,199

10-19

14,966

(7.2)

45.5

11,234

(7.6)

34.1

9,065

(8.0)

96.4

3,768,151

(12.5)

80,119

20-29

28,499

(13.7)

63.4

20,949

(14.2)

46.6

16,805

(14.9)

130.9

4,405,754

(14.6)

68,656

30-39

31,546

(15.1)

68.1

23,613

(16.0)

51.0

17,700

(15.7)

133.8

4,424,252

(14.6)

66,877

40-49

31,517

(15.1)

55.8

22,776

(15.4)

40.3

16,598

(14.7)

102.8

4,610,642

(15.2)

57,111

50-59

31,666

(15.2)

52.5

21,415

(14.5)

35.5

15,828

(14.0)

91.9

3,949,673

(13.1)

45,862

60-69

29,520

(14.2)

57.0

19,139

(12.9)

36.9

14,533

(12.9)

98.1

3,297,952

(10.9)

44,546

70-79

17,428

(8.4)

65.1

11,385

(7.7)

42.5

8,618

(7.6)

112.6

1,682,947

(5.6)

43,990

80세이상

11,896

(5.7)

75.3

8,209

(5.5)

52.0

6,545

(5.8)

145.1

1,023,578

(3.4)

45,370




[재감염 추정사례]


□ 1월 4주(1.22.~1.28.)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3.03%로 전주(22.80%)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1월1주) 19.92%, (1월2주) 21.48%, (1월3주) 22.80%, (1월4주) 23.03%



 ○ (누적발생) ’23.1.29.0시 기준, 28,603,343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350,034명, 누적구성비 4.69% 확인되었다.

   *  (1월1주) 401,330명(4.30%), (1월2주) 284,442명(4.47%), (1월3주) 191,437명(4.59%), (1월4주) 149,301명(4.69%)



그림. <주차별 확진자 수 및 2회감염 추정 비율>




[예방접종 효과]


□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2.6% 감소되었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3.4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6.7배가 높았다.

   *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2.6%,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5.1% 낮음


그림. <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3.1.29. 0시 기준)>



[병상가동률]


□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과 수도권이 10%대로 4주 연속 감소하였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 수도권이 5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4주 → 2.1주): (전국) 25.0% → 18.8%, (수도권) 24.1% → 16.7%, (비수도권) 26.8% → 22.9%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4주 → 2.1주): (전국) 21.9% → 20.2% (수도권) 22.2% → 19.7%, (비수도권) 21.2% → 21.2%



[병상가동률]


□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과 수도권이 10%대로 4주 연속 감소하였고, 준-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전국, 수도권이 5주 연속 감소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1.4주 → 2.1주): (전국) 25.0% → 18.8%, (수도권) 24.1% → 16.7%, (비수도권) 26.8% → 22.9%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1.4주 → 2.1주): (전국) 21.9% → 20.2% (수도권) 22.2% → 19.7%, (비수도권) 21.2% → 21.2%



그림. <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먹는 치료제 처방률]


□ 2월 1주차(1.29~2.4)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평균 처방률은 32.5%로 지난주(32.6%) 대비 0.1%p 감소하였다. 


그림.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률>




[변이 바이러스]


 ○ 국내 전체 오미크론 BN.1의 검출률은 55.3%로 전주 대비 6.4%p 증가하였고, BA.5(12.9%), BQ.1(7.4%), BQ.1.1(4.3%)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27.3%(-8.2%p)로 확인되었으며, BA.2.75의 세부계통인 CH.1.1*이 6.0%(+1.8p)로 확인되었다. 

   * (CH.1.1) BA.2.75의 하위변이(BA.2.75.3.4.1.1.1.1)로 10월에 재명명된 오미크론 변이의 하나임


   - 미국 내 발생이 증가하는 XBB.1.5는 21건 추가 검출(국내 13건, 해외유입 8건)되어, 누적 총 71건(국내 32건, 해외유입 39건)이 확인되었다. 

   * (국내감염 검출률) 1.2주 0.4% → 1.3주 0.1% → 1.4주 0.4% → 2.1주 0.8%


그림.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2.4. 0시 기준)]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2.4. 기준) ]


구분

분석주차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 세부계통

그 외 세부계통

BA.5

BF.7

BQ.1

BQ.1.1

소계

BA.2.75

CH.1.1

BN.1

XBB.1.5

기타

전체

12

28.3

6.2

7.4

4.7

46.6

5.3

3.4

39.2

0.8

4.7

13

22.0

3.1

9.3

4.5

38.9

5.8

4.3

46.3

0.5

4.2

14

18.2

4.1

9.0

4.2

35.5

7.0

4.2

48.9

0.7

3.7

21

12.9

2.7

7.4

4.3

27.3

6.5

6.0

55.3

1.2

3.7

국내감염

12

26.0

3.5

8.1

3.0

40.6

5.9

4.0

44.5

0.4

4.6

13

20.2

2.1

9.6

4.2

36.1

6.1

4.6

48.9

0.1

4.2

14

18.3

3.1

9.5

3.7

34.6

7.1

4.1

50.4

0.4

3.4

21

12.8

2.3

7.4

3.8

26.3

6.4

6.2

56.9

0.8

3.4

해외유입

12

35.9

14.9

5.1

10.3

66.2

3.3

1.1

21.7

2.1

5.6

13

40.1

12.2

6.8

7.5

66.6

2.0

1.4

19.7

4.1

6.2

14

17.3

13.3

4.0

9.3

43.9

6.7

4.6

35.3

4.0

5.5

21

13.8

9.6

7.4

12.8

43.6

7.4

2.1

27.7

8.5

10.7




 ○ 중국발 입국자 검역강화에 따라, ‘23년 1월 25~29일 단기체류 확진자 49명 중 분석가능한 총 12명의 검체에 대해 변이를 분석한 결과, BA.5 세부계통이 100%(BA.5 58.3%, BF.7 41.7%)로 확인되었다.

    * ’23.1.2~1.29. 분석건수 누계 107명


구 분

BA.5 세부계통

BA.2

BA.2.75

BN.1

BA.5

BF.7

BQ.1

소계

125~29

100%

58.3%

41.7%

-

100%

-

-

-

누계(12~29)

100%

52.4%

41.1%

0.9%

94.4%

2.8%

1.9%

1.1%





  - 또한 이를 포함, ‘22년 11월부터 현재까지 국가 호흡기바이러스 통합감시(K-RISS)를 통해 검역 및 지역사회에서 확인된 중국발 확진자 총 498명*에 대한 분석 결과, BA.5 세부계통이 96.2%(BA.5 62.4%, BF.7 33.2% 등)로 대부분임을 확인하였다.

     * 단기체류 확진자 107명 포함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상세 내용 첨부파일 확인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2월 7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3,905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5.1%, 준-중증병상 23.5%, 중등증병상 15.7%이다.



< 2.7.(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