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3-03-08
- 최종수정일2023-03-09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4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7.0% 감소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수립 추진 -
- 주요 내용 -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2.26.~3.4.)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9,363명(전주 대비 7.0%↓)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수립 추진
○ 지난 3년간, 코로나19 대응과정을 돌아보고 시사점을 발굴하여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를 위한 중장기계획을 수립할 예정
○ 미지의 감염병, 더 큰 유행상황에도 대응할 수 있는 역량 구축을 위한 분야별 과제를 발굴하고
- 전문가 의견수렴 및 공청회 등을 통해 확정하여 추후 발표할 예정
□ 중국·홍콩·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전 검사 등 조치 해제
○ (세계보건기구 공식 집계) 세계보건기구가 집계한 중국 신규 발생 4,075.5만명(‘22년 12월 4주)에서 7.8만명(‘23년 2월 4주)으로 지속 감소
※ 2.26.~2.28. 3일간 중국발 입국자 5,805명, 검사자 5,650명, 양성자 38명, 양성율 0.7%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2.26.∼3. 4.)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3월 1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50명, 일평균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4,020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
2.26 |
2.27 |
2.28 |
3.1 |
3.2 |
3.3 |
3.4 |
일평균 |
계 |
재원중 위중증 |
168 |
163 |
164 |
145 |
129 |
135 |
143 |
150 |
- |
사망자* |
6 |
15 |
16 |
11 |
15 |
11 |
6 |
11 |
80 |
입원 |
37 |
29 |
40 |
50 |
33 |
30 |
37 |
37 |
256 |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3.8%, 70대가 23.8%, 60대가 15.0%로, 50대 이하 7.4%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
||||||||
구 분 |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 |
사망누계 |
(%) |
치명률(%) |
재원중 위중증 |
구성비(%) |
|
계 |
80 |
(100.0) |
34,020 |
(100.0) |
0.11 |
150 |
(100.0) |
|
성별 |
남성 |
42 |
(52.5) |
16,745 |
(49.2) |
0.12 |
89 |
(59.3) |
여성 |
38 |
(47.5) |
17,275 |
(50.8) |
0.11 |
61 |
(40.7) |
|
연령 |
80세 이상 |
43 |
(53.8) |
20,289 |
(59.6) |
1.95 |
52 |
(34.7) |
70-79 |
19 |
(23.8) |
7,720 |
(22.7) |
0.45 |
48 |
(32.0) |
|
60-69 |
12 |
(15.0) |
3,864 |
(11.4) |
0.12 |
26 |
(17.3) |
|
50-59 |
5 |
(6.2) |
1,391 |
(4.1) |
0.03 |
12 |
(8.0) |
|
40-49 |
0 |
(0.0) |
459 |
(1.3) |
0.01 |
6 |
(4.0) |
|
30-39 |
1 |
(1.2) |
159 |
(0.5) |
0.01 |
2 |
(1.3) |
|
20-29 |
0 |
(0.0) |
79 |
(0.2) |
0.01 |
2 |
(1.3) |
|
10-19 |
0 |
(0.0) |
22 |
(0.1) |
0.01 |
1 |
(0.7) |
|
0-9 |
0 |
(0.0) |
37 |
(0.1) |
0.01 |
1 |
(0.7) |
|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2.26.∼3.4.)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3월 1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신규 위중증 환자, 사망자 수, 60세 이상 확진자 비율이 지속 감소 추세이며 의료대응역량 지표의 안정세를 고려하였다.
<3월 1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
’22.10월 |
’22.11월 |
’22.12월 |
’23.1월 |
’23.2월 |
’23.3월 |
|||||||||
1주 (10.2.~) |
2주 (10.9.~) |
3주 (10.16.~) |
4주 (10.23.~) |
1-5주 (10.30.~) |
1-4주 (12.4.~) |
1주 (1.1.~) |
2주 (1.8.~) |
3주 (1.15.~) |
4주 (1.22.~) |
1주 (1.29.~) |
2주 (2.5.~) |
3주 (2.12.~) |
4주 (2.19.~) |
1주 (2.26.~) |
|
전국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비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1.1% 감소하여 일평균 150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16.7% 감소하여 일평균 11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2월 2주) 292명→ (2월 3주) 236명→ (2월 4주) 190명→ (3월 1주) 150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2월2주) 20명→ (2월3주) 19명→ (2월4주) 14명→ (3월1주) 11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3.4. 0시 기준)>
○ 3월 1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26명(84.0%),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1명(100.0%)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38명(92.0%) 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11명(100.0%)
○ 2월 2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22%, 치명률은 0.08%이었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3.4. 0시 기준)>
○ ’23년 3월 4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5.9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62.5명(치명률 1.95%)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7.8명(치명률 0.45%), 60대는 53.9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3월 1주(2.26.~3.4.) 주간 신규 확진자는 65,539명으로 전주 대비 7.0% 감소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9,363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0.93으로 9주 연속 1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 주간 누적: (2월2주) 9.4만 명 → (2월3주) 8.1만 명 → (2월4주) 7.0만 명 → (3월1주) 6.5만 명
** 일 평균: (2월2주) 13,550명 → (2월3주) 11,597명 → (2월4주) 10,067명 → (3월1주) 9,363명
그림. <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3.1.8.~3.4.)>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
1월 2주 (1.8.~1.14.) |
1월 3주 (1.15.~1.21.) |
1월 4주 (1.22.~1.28.) |
2월 1주 (1.29.~2.4.) |
2월 2주 (2.5.~2.11.) |
2월 3주 (2.12.~2.18.) |
2월 4주 (2.19.~2.25) |
3월 1주 (2.26.~3.4) |
확진자수(명) |
300,496 |
208,567 |
147,963 |
112,719 |
94,851 |
81,179 |
70,469 |
65,539 |
일 평균 확진자(명) |
42,928 |
29,795 |
21,138 |
16,103 |
13,550 |
11,597 |
10,067 |
9,363 |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
83.5 |
57.9 |
41.1 |
31.3 |
26.3 |
22.5 |
19.6 |
18.2 |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
0.7 |
0.7 |
0.7 |
0.8 |
0.8 |
0.9 |
0.9 |
0.9 |
감염재생산지수(Rt) |
0.85 |
0.77 |
0.75 |
0.90 |
0.81 |
0.90 |
0.90 |
0.93 |
○ (고발생군) 10-19세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발생률은 80세이상(23.1명), 30-39세(22.4명), 20-29세(22.0명) 순으로, 고령층 및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와 발생 비중 모두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2월2주) 25,477→ (2월3주) 21,733→ (2월4주) 18,987→ (3월1주) 17,146
** 60세 이상 비율(%): (2월2주) 26.9→ (2월3주) 26.8→ (2월4주) 26.9→ (3월1주) 26.2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
2월 3주 |
2월 4주 |
3월 1주 |
누적 발생 |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발생률 |
||
계 |
81,179 |
(100.0) |
22.5 |
70,469 |
(100.0) |
19.6 |
65,539 |
(100.0) |
18.2 |
30,555,102 |
(100.0) |
59,401 |
|
성별 |
남성 |
35,988 |
(44.3) |
20.1 |
31,068 |
(44.1) |
17.3 |
28,737 |
(43.8) |
16.0 |
14,153,151 |
(46.3) |
55,206 |
여성 |
45,191 |
(55.7) |
25.0 |
39,401 |
(55.9) |
21.8 |
36,802 |
(56.2) |
20.4 |
16,401,951 |
(53.7) |
63,568 |
|
연령별 |
0-9세 |
5,111 |
(6.3) |
20.7 |
3,910 |
(5.5) |
15.8 |
3,300 |
(5.0) |
13.3 |
3,099,064 |
(10.1) |
87,727 |
10-19세 |
7,085 |
(8.7) |
21.5 |
5,758 |
(8.2) |
17.5 |
5,919 |
(9.0) |
18.0 |
3,794,980 |
(12.4) |
80,689 |
|
20-29세 |
11,041 |
(13.6) |
24.6 |
10,223 |
(14.5) |
22.8 |
9,871 |
(15.1) |
22.0 |
4,449,945 |
(14.6) |
69,344 |
|
30-39세 |
12,605 |
(15.5) |
27.2 |
11,255 |
(16.0) |
24.3 |
10,382 |
(15.8) |
22.4 |
4,473,253 |
(14.6) |
67,618 |
|
40-49세 |
12,320 |
(15.2) |
21.8 |
10,514 |
(14.9) |
18.6 |
9,763 |
(14.9) |
17.3 |
4,657,085 |
(15.2) |
57,686 |
|
50-59세 |
11,284 |
(13.9) |
18.7 |
9,822 |
(13.9) |
16.3 |
9,158 |
(14.0) |
15.2 |
3,993,011 |
(13.1) |
46,365 |
|
60-69세 |
10,596 |
(13.1) |
20.4 |
9,151 |
(13.0) |
17.7 |
8,370 |
(12.8) |
16.2 |
3,338,458 |
(10.9) |
45,093 |
|
70-79세 |
6,566 |
(8.1) |
24.5 |
5,855 |
(8.3) |
21.9 |
5,126 |
(7.8) |
19.1 |
1,707,949 |
(5.6) |
44,644 |
|
80세이상 |
4,571 |
(5.6) |
28.9 |
3,981 |
(5.6) |
25.2 |
3,650 |
(5.6) |
23.1 |
1,041,357 |
(3.4) |
46,158 |
[병상가동률]
□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연속 감소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2.4주 → 3.1주): (전국) 17.1% → 13.0%, (수도권) 16.3% → 14.8%, (비수도권) 11.9% → 10.6%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2.4주 → 3.1주): (전국) 15.5% → 12.3%, (수도권) 15.5% → 12.4%, (비수도권) 15.5% → 12.1%
그림. 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먹는 치료제 처방률]
□ 2월(2.1.~2.25.) 60세 이상 환자에 대한 먹는 치료제 추정 처방률(월별)은 37.8%로 전월(1월: 34.6%) 대비 3.2%p 증가하였다.
[변이 바이러스]
○ 국내 전체 오미크론 BN.1의 검출률은 57.5%(-0.1%p)로 1월4주 우세종화된 이후 50% 후반의 검출률을 유지하고 있다.
- 재조합 XBB.1.5는 4.8%(+1.8%p), CH.1.1은 5.9%(-0.6%p)로 확인되었으며,
- BA.5(6.5%), BQ.1(8.6%), BQ.1.1(2.8%)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18.7%(-2.7%p)로 확인되었다.
그림.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3.4. 0시 기준) ]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3.4.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
|||||||||
BA.5 세부계통 |
그 외 세부계통 |
||||||||||
BA.5 |
BF.7 |
BQ.1 |
BQ.1.1 |
소계 |
BA.2.75 |
CH.1.1 |
BN.1 |
XBB.1.5 |
기타 |
||
전체 |
2월2주 |
11.1 |
2.3 |
7.3 |
3.0 |
23.7 |
6.1 |
4.7 |
59.8 |
1.9 |
3.8 |
2월3주 |
7.8 |
1.7 |
8.0 |
3.1 |
20.6 |
7.7 |
5.7 |
59.1 |
2.1 |
4.8 |
|
2월4주 |
7.5 |
2.1 |
8.5 |
3.3 |
21.4 |
8.5 |
6.5 |
57.6 |
3.0 |
3.0 |
|
3월1주 |
6.5 |
0.8 |
8.6 |
2.8 |
18.7 |
7.7 |
5.9 |
57.5 |
4.8 |
5.4 |
|
국내감염 |
2월2주 |
10.8 |
2.1 |
7.4 |
2.8 |
23.1 |
6.2 |
4.9 |
60.6 |
1.5 |
3.7 |
2월3주 |
7.8 |
1.5 |
8.2 |
2.3 |
19.8 |
7.8 |
5.7 |
61.1 |
1.6 |
4.0 |
|
2월4주 |
7.7 |
1.9 |
8.7 |
2.7 |
21.0 |
8.9 |
6.7 |
59.1 |
2.0 |
2.3 |
|
3월1주 |
6.6 |
0.8 |
9.0 |
2.5 |
18.9 |
7.9 |
5.9 |
58.6 |
3.9 |
4.8 |
|
해외유입 |
2월2주 |
18.2 |
6.1 |
4.5 |
6.1 |
34.9 |
4.5 |
1.5 |
42.4 |
10.6 |
6.1 |
2월3주 |
7.4 |
4.3 |
5.3 |
17.0 |
34.0 |
6.5 |
5.3 |
25.5 |
10.6 |
18.1 |
|
2월4주 |
4.2 |
5.3 |
4.2 |
12.6 |
26.3 |
2.1 |
3.2 |
32.6 |
20.0 |
15.8 |
|
3월1주 |
4.5 |
0.0 |
0.0 |
10.6 |
15.1 |
1.5 |
6.1 |
30.3 |
25.8 |
21.2 |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2.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추진 방안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으로부터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 중장기계획 추진 방안’를 보고받고 이를 논의하였다.
○ 신종감염병 발생주기는 줄어들고, 규모는 확대되는등 향후 감염병 대유행 위험이 커지는 환경에서 코로나19 대응 과정을 점검하고 신종감염병 대비·대응을 위한 중장기계획을 세울 예정이다.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대응은 국민 건강과 사회 안전의 필수사항으로 해외 주요국 및 국제기구 등도 중장기계획을 수립 및 지속적인 대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 동 계획은 지난 3년간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면밀한 평가를 바탕으로 향후 완전히 새로운 감염병 발생에도 신속히 대응 및 코로나19보다 대규모 유행에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위해 각 부처가 준비해야 할 내용들을 폭넓게 포함할 계획이다.
○ 감시예방, 초기대응·대규모 유행관리, 일상회복, 법·제도 기반강화 및 연구개발 영역에 대해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 정부는 영역별로 개선과제 발굴하고 공개토론회, 전문가 의견수렴,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확정된 계획을 5월 초(잠정)에 발표할 예정이라고 안내하였다.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3월 7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1,410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1.7%, 준-중증병상 27.5%, 중등증병상 7.3%이다.
< 3.7.(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
구분 (개, %) |
위중증(危重症) |
준중증(準-重症) |
중등증(中等症)병상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
전국 |
493 |
107 |
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