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3-03-15
- 최종수정일2023-03-16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위기소통팀
- 연락처043-719-9374
대중교통수단 및 벽이나 칸막이 없는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도 3.20.(월)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 주요 내용 -
□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추가 조정 방안
○ 실내 마스크 착용 1단계 의무 조정(‘23.1.30.시행) 이후에도 방역 상황 안정화 지속 및 높은 마스크 실내 착용 의향 고려하여 의무시설 일부 조기 조정
- (대중교통수단)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및 혼잡 시간대 착용 적극 권고
- (약국) 마트·역사 등 벽·칸막이가 없는 대형시설 내 개방형 약국 착용 의무 해제*
*약국 종사자의 경우는 마스크 착용 권고
○ 마스크 착용의 효과성이 높고 필요성도 여전한 만큼 필요시 자율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하는 방역수칙 생활화를 거듭 강조
□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 및 위험도 평가(3.5.~3.11.)
○ 주간 신규 확진자 일평균 10,058명(전주 대비 7.4%↑)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는 전주 대비 감소
○ 주간 위험도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 ‘낮음’으로 유지
1. 코로나19 주간 발생 동향(3. 5.∼3.11.)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3월 2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146명, 일평균 사망자는 1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34,096명이라고 밝혔다.
구분 |
3.5 |
3.6 |
3.7 |
3.8 |
3.9 |
3.10 |
3.11 |
일평균 |
계 |
재원중 위중증 |
148 |
145 |
158 |
139 |
143 |
146 |
146 |
146 |
- |
사망자* |
5 |
9 |
15 |
12 |
20 |
12 |
3 |
11 |
76 |
입원 |
30 |
18 |
34 |
52 |
37 |
41 |
22 |
33 |
234 |
○ 최근 1주간 연령대별 사망자 비중은 80세 이상이 51.3%, 70대가 18.4%, 60대가 17.1%로, 50대 이하 13.2%와 비교하면 고연령층 사망자가 대다수였다.
< 성별·연령별 주간 사망 및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현황 > |
||||||||
구 분 |
신규 사망 (주간 누적) |
(%) |
사망누계 |
(%) |
치명률(%) |
재원중 위중증 |
구성비(%) |
|
계 |
76 |
(100.0) |
34,096 |
(100.0) |
0.11 |
146 |
(100.0) |
|
성별 |
남성 |
47 |
(61.8) |
16,792 |
(49.2) |
0.12 |
86 |
(58.9) |
여성 |
29 |
(38.2) |
17,304 |
(50.8) |
0.11 |
60 |
(41.1) |
|
연령 |
80세 이상 |
39 |
(51.3) |
20,328 |
(59.6) |
1.95 |
64 |
(43.8) |
70-79 |
14 |
(18.4) |
7,734 |
(22.7) |
0.45 |
39 |
(26.7) |
|
60-69 |
13 |
(17.1) |
3,877 |
(11.4) |
0.12 |
25 |
(17.1) |
|
50-59 |
8 |
(10.6) |
1,399 |
(4.1) |
0.03 |
11 |
(7.5) |
|
40-49 |
1 |
(1.3) |
460 |
(1.3) |
0.01 |
5 |
(3.4) |
|
30-39 |
1 |
(1.3) |
160 |
(0.5) |
0.01 |
1 |
(0.7) |
|
20-29 |
0 |
(0.0) |
79 |
(0.2) |
0.01 |
1 |
(0.7) |
|
10-19 |
0 |
(0.0) |
22 |
(0.1) |
0.01 |
0 |
(0.0) |
|
0-9 |
0 |
(0.0) |
37 |
(0.1) |
0.01 |
0 |
(0.0) |
|
* 치명률(%) = 사망자수 / 확진자수 × 100 * 위중증 : 고유량(high flow) 산소요법, 인공호흡기, ECMO(체외막산소공급), CRRT(지속적신대체요법) 등으로 격리 치료 중인 환자 * 사망 신고 집계일 기준으로 실제 사망일과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상기 통계는 모두 추후 역학조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음 |
2. 코로나19 주간 위험도 평가(3. 5.∼3.11.)
□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 지영미)는 3월 2주차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 수도권 및 비수도권 ‘낮음’으로 평가하였다고 밝혔다.
○ 신규 확진자, 신규 위중증 환자는 증가하였으나, 사망자 수, 60세 이상 비율 지속 감소 및 의료대응역량의 안정세를 고려하였다.
<3월 2주차 종합평가 결과>
구분 |
’22.10월 |
’22.11월 |
’22.12월 |
’23.1월 |
’23.2월 |
’23.3월 |
|||||||
1주 (10.2.~) |
2주 (10.9.~) |
3주 (10.16.~) |
4주 (10.23.~) |
1-5주 (10.30.~) |
1-4주 (12.4.~) |
1주 (1.1.~) |
2주 (1.8.~) |
3주 (1.15.~) |
4주 (1.22.~) |
1-4주 (1.29.~) |
1주 (2.26.~) |
2주 (3.5.~) |
|
전국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비수도권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낮음 |
[위중증·사망자 현황]
□ 지난주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는 전주 대비 2.6% 감소하여 일평균 146명이고, 신규 사망자 수는 전주 대비 5.0% 감소하여 일평균 11명이다.
* 주간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수 : (2월 3주) 236명→ (2월 4주) 190명→ (3월 1주) 150명→ (3월 2주) 146명
** 주간 일평균 사망자 수 : (2월3주) 19명→ (2월4주) 14명→ (3월1주) 11명→ (3월2주) 11명
그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및 일평균 사망자 발생 현황(’23.3.11. 0시 기준)>
○ 3월 2주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60세 이상은 129명(88.4%), 일평균 사망자 중 60세 이상은 10명(90.9%)이었다.
※ 일평균 재원중 위중증 환자 중 50세 이상 140명(95.9%)일평균 사망자 중 50세 이상 11명(100.0%)
○ 2월 4주차 확진자를 2주간 모니터링한 결과, 중증화율 0.27%, 치명률은 0.12%이었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23.3.11. 0시 기준)>
○ ’23년 3월 11일 기준, 전체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누적 사망률은 66.0명(치명률 0.11%)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망률과 치명률이 높았다.
- 80세 이상의 누적 사망률이 964.3명(치명률 1.95%)으로 가장 높고, 70대는 208.2명(치명률 0.45%), 60대는 54.1명(치명률 0.12%)이었다.
[확진자 및 발생추이]
□ 3월 2주(3.5.~3.11.) 주간 신규 확진자는 70,404명으로 전주 대비 7.4% 증가하였다.
○ 주간 일평균 확진자수는 10,058명이고, 감염재생산지수(Rt)는 1.03으로 전주 대비 소폭 증가하였다.
* 주간 누적: (2월3주) 8.1만 명 → (2월4주) 7.0만 명 → (3월1주) 6.5만 명 → (3월2주) 7.0만 명
** 일 평균: (2월3주) 11,597명 → (2월4주) 10,067명 → (3월1주) 9,361명 → (3월2주) 10,058명
그림. < 최근 8주간 전국 확진자수 및 발생률* 추이(명)(’23.1.15.~3.11.)>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
1월 3주 (1.15.~1.21.) |
1월 4주 (1.22.~1.28.) |
2월 1주 (1.29.~2.4.) |
2월 2주 (2.5.~2.11.) |
2월 3주 (2.12.~2.18.) |
2월 4주 (2.19.~2.25) |
3월 1주 (2.26.~3.4) |
3월 2주 (3.5~3.11) |
확진자수(명) |
208,564 |
147,962 |
112,717 |
94,851 |
81,177 |
70,466 |
65,525 |
70,404 |
일 평균 확진자(명) |
29,795 |
21,137 |
16,102 |
13,550 |
11,597 |
10,067 |
9,361 |
10,058 |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
57.9 |
41.1 |
31.3 |
26.3 |
22.5 |
19.6 |
18.2 |
19.6 |
전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
0.7 |
0.7 |
0.8 |
0.8 |
0.9 |
0.9 |
0.9 |
1.1 |
감염재생산지수(Rt) |
0.77 |
0.75 |
0.90 |
0.81 |
0.90 |
0.90 |
0.93 |
1.03 |
○ (고발생군) 70세 이상 연령대 제외 모든 연령대에서 전주 대비 일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 발생률은 10-19세이상(28.3명), 20-29세(23.4명), 30-39세(22.6명) 순으로, 젊은 연령층에서 높았다.
- 전주 대비 60세 이상 확진자 규모와 발생 비중 모두 감소하였다.
* 60세 이상 확진자수(명) : (2월3주) 21,732→ (2월4주) 18,986→ (3월1주) 17,139→ (3월2주) 16,940
** 60세 이상 비율(%): (2월3주) 26.8→ (2월4주) 26.9→ (3월1주) 26.2→ (3월2주) 24.1
- 전체 확진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수는 전주 대비 감소(3,350명 → 3,027명)하였으며, 3월 1주 비율은 4.7%였다.
* 전체 확진자조사서 등록환자 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수(비율)
(2월2주)4,746명(5.2%) → (2월3주)3,551명(4.6%) → (2월4주)3,350명(4.9%) → (3월1주)3,027명(4.7%)
(해당 사례는 코로나19 확진자 조사서 전체 등록자중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예’라고 응답한 건)
<성별·연령별 발생 현황(명, %)>
구분 |
2월 4주 |
3월 1주 |
3월 2주 |
누적 발생 |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일평균 발생률 |
확진자수 |
비중(%) |
발생률 |
||
계 |
70,466 |
(100.0) |
19.6 |
65,525 |
(100.0) |
18.2 |
70,404 |
(100.0) |
19.6 |
30,625,389 |
(100.0) |
59,537 |
|
성별 |
남성 |
31,068 |
(44.1) |
17.3 |
28,727 |
(43.8) |
16.0 |
31,256 |
(44.4) |
17.4 |
14,184,355 |
(46.3) |
55,328 |
여성 |
39,398 |
(55.9) |
21.8 |
36,798 |
(56.2) |
20.4 |
39,148 |
(55.6) |
21.7 |
16,441,034 |
(53.7) |
63,720 |
|
연령별 |
0-9세 |
3,910 |
(5.5) |
15.8 |
3,300 |
(5.0) |
13.3 |
4,044 |
(5.7) |
16.4 |
3,103,098 |
(10.1) |
87,841 |
10-19세 |
5,757 |
(8.2) |
17.5 |
5,919 |
(9.0) |
18.0 |
9,318 |
(13.2) |
28.3 |
3,804,285 |
(12.4) |
80,887 |
|
20-29세 |
10,222 |
(14.5) |
22.8 |
9,868 |
(15.1) |
22.0 |
10,516 |
(14.9) |
23.4 |
4,460,442 |
(14.6) |
69,508 |
|
30-39세 |
11,255 |
(16.0) |
24.3 |
10,380 |
(15.8) |
22.4 |
10,476 |
(14.9) |
22.6 |
4,483,714 |
(14.6) |
67,776 |
|
40-49세 |
10,514 |
(14.9) |
18.6 |
9,763 |
(14.9) |
17.3 |
9,822 |
(14.0) |
17.4 |
4,666,890 |
(15.2) |
57,808 |
|
50-59세 |
9,822 |
(13.9) |
16.3 |
9,156 |
(14.0) |
15.2 |
9,288 |
(13.2) |
15.4 |
4,002,286 |
(13.1) |
46,473 |
|
60-69세 |
9,151 |
(13.0) |
17.7 |
8,368 |
(12.8) |
16.1 |
8,429 |
(12.0) |
16.3 |
3,346,872 |
(10.9) |
45,206 |
|
70-79세 |
5,855 |
(8.3) |
21.9 |
5,125 |
(7.8) |
19.1 |
4,992 |
(7.1) |
18.6 |
1,712,936 |
(5.6) |
44,774 |
|
80세이상 |
3,980 |
(5.6) |
25.2 |
3,646 |
(5.6) |
23.1 |
3,519 |
(5.0) |
22.3 |
1,044,866 |
(3.4) |
46,314 |
[재감염 추정사례]
□ 3월 1주(2.26.-3.4.)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7.02%로 전주(26.29%) 대비 증가했다. 예방접종은 재감염 및 중증진행을 낮추기 때문에, 권장접종 시기에 맞춰 동절기 접종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구성비(%): (2월2주) 25.72%, (2월3주) 26.09%, (2월4주) 26.29%, (3월1주) 27.02%
○ (누적발생) ’23.3.5.0시 기준, 28,903,723명 중 재감염 추정사례 (2회이상) 1,456,414명*, 누적구성비 5.04% 확인되었다.
* 2회 감염 1,445,958명, 3회 감염 10,348명, 4회이상 감염 108명
** (2월2주) 92,249명(4.87%), (2월3주) 78,731명(4.93%), (2월4주) 68,852명(4.95%), (3월1주) 65,583명(5.04%)
[예방접종 효과]
□ 최근 4주간 예방접종 효과분석 결과, 2가백신 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이 92.0% 감소되었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2가백신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12.5배, ‘4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7.5배가 높았다.
* ‘2가백신 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2.0%, ‘4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86.7% 낮음
그림. <최근 4주간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화율 위험도(’23.3.5. 0시 기준)>
[병상가동률]
□ 전국, 수도권, 비수도권 중환자 병상가동률은 확보병상 대폭 감소로 증가하였다.
* 중환자 병상가동률(3.1주 → 3.2주): (전국) 13.0% → 25.2%, (수도권) 14.8% → 23.9%, (비수도권) 10.6% → 27.4%
* 준-중환자 병상가동률(3.1주 → 3.2주): (전국) 12.3% → 33.4%, (수도권) 12.4% → 39.3%, (비수도권) 12.1% → 25.7%
그림. 중환자 병상가동률 및 준-중환자 병상가동률
[변이 바이러스]
○ 국내 전체 오미크론 BN.1의 검출률은 53.8%(-3.7%p)로 소폭 감소하였고,
- 재조합 XBB.1.5는 7.6%(+2.8%p), CH.1.1은 5.7%(-0.2%p)로 확인되었으며,
- BA.5(4.9%), BQ.1(8.2%), BQ.1.1(2.1%) 등을 포함하는 BA.5 세부계통은 16.0%(-2.7%p)로 확인되었다.
그림.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23.3.11. 0시 기준) ]
[ 국내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세부계통 검출률(3.11. 기준) ]
구분 |
분석주차 |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
|||||||||
BA.5 세부계통 |
그 외 세부계통 |
||||||||||
BA.5 |
BF.7 |
BQ.1 |
BQ.1.1 |
소계 |
BA.2.75 |
CH.1.1 |
BN.1 |
XBB.1.5 |
기타 |
||
전체 |
2월3주 |
7.8 |
1.7 |
8.0 |
3.1 |
20.6 |
7.7 |
5.7 |
59.1 |
2.1 |
4.8 |
2월4주 |
7.5 |
2.1 |
8.5 |
3.3 |
21.4 |
8.5 |
6.5 |
57.6 |
3.0 |
3.0 |
|
3월1주 |
6.5 |
0.8 |
8.6 |
2.8 |
18.7 |
7.7 |
5.9 |
57.5 |
4.8 |
5.4 |
|
3월2주 |
4.9 |
0.8 |
8.2 |
2.1 |
16.0 |
9.3 |
5.7 |
53.8 |
7.6 |
7.6 |
|
국내감염 |
2월3주 |
7.8 |
1.5 |
8.2 |
2.3 |
19.8 |
7.8 |
5.7 |
61.1 |
1.6 |
4.0 |
2월4주 |
7.7 |
1.9 |
8.7 |
2.7 |
21.0 |
8.9 |
6.7 |
59.1 |
2.0 |
2.3 |
|
3월1주 |
6.6 |
0.8 |
9.0 |
2.5 |
18.9 |
7.9 |
5.9 |
58.6 |
3.9 |
4.8 |
|
3월2주 |
4.9 |
0.6 |
8.5 |
1.9 |
15.9 |
9.4 |
5.8 |
55.6 |
6.5 |
6.8 |
|
해외유입 |
2월3주 |
7.4 |
4.3 |
5.3 |
17.0 |
34.0 |
6.5 |
5.3 |
25.5 |
10.6 |
18.1 |
2월4주 |
4.2 |
5.3 |
4.2 |
12.6 |
26.3 |
2.1 |
3.2 |
32.6 |
20.0 |
15.8 |
|
3월1주 |
4.5 |
0.0 |
0.0 |
10.6 |
15.1 |
1.5 |
6.1 |
30.3 |
25.8 |
21.2 |
|
3월2주 |
4.8 |
4.8 |
3.6 |
4.8 |
18.0 |
7.1 |
2.4 |
20.2 |
28.6 |
23.7 |
○ 주간 코로나19 위험평가 지표별 추이(※ 잠정통계로 향후 변동 가능) : 첨부파일 참고
3. 코로나19 병상 및 재택치료 등 현황
[병상]
□ 3월 14일(화) 17시 기준, 전체 병상 보유량은 1,115병상이다.
○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25.2%, 준-중증병상 34.6%이다.
< 3.14.(화) 17시 기준 중증도별 병상 현황 >
(단위 : 개) |
||||||||||
구분 (개, %) |
위중증(危重症) |
준중증(準-重症) |
중등증(中等症)병상 |
|||||||
중환자 전담치료병상 |
준-중환자병상 |
감염병 전담병원 |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보유 (증감) |
사용 (증감) |
가용 (증감) |
||
전국 |
412 |
104 |
308 |
673 |
233 |
440 |
30 |
0 |
30 |
|
(+0) |
(-7) |
(+7) |
(+0) |
(-16) |
(+16) |
(+0) |
(+0) |
(+0) |
||
수도권 |
244 |
64 |
180 |
366 |
131 |
235 |
0 |
0 |
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