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전체)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3-05-22
- 최종수정일2023-05-23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환자관리팀
- 연락처043-719-9130
5월3주 엠폭스 발생 한자리수로 감소
- 엠폭스 5월14일 ~ 5월21일까지 확진환자 6명 발생, 누적 확진환자 81명
- 예방접종 기관수 대폭 확대(33개→130개)와 평일 저녁과 토요일 접종 가능 기관 추가 지정(5.20일~)
-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신고 및 모르는 사람과의 성접촉 삼가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지영미)는 5월 15일 엠폭스 발생현황 발표 이후 5월21일까지 6명*(#76~#81)의 추가 확진환자가 발생하여 현재까지 국내 발생 누적 확진환자는 총 81명이라고 밝혔다.
* (5월16일) 1명, (5월17일) 3명, (5월18일) 1명, (5월 20일) 1명
구분 |
‘22년도 |
‘23년도 |
계 |
|||||
3월 3주 (3.12~18) |
4월 1주 (4.2~8) |
4월2주 (4.9~15) |
4월3주 (4.16~22) |
4월4주 (4.23~29) |
5월1주 (4.30~5.6) |
|||
확진환자 수(명) |
4 |
1 |
1 |
7 |
15 |
16 |
16 |
|
구분 |
5월 2주 (5.7~13) |
5월 3주 (5.14~20 ) |
5월4주 (5.21~ ) |
|||||
확진환자 수(명) |
15 |
6 |
0 |
81 |
5월 3주(5.21일 포함) 확진환자 거주지역*은 서울(6명)으로 수도권에서의 발생이 많았고, 국적**은 내국인 5명, 외국인 1명이다.
* 환자 거주지역(누적): 서울 45명, 경기 16명, 인천 3명, 경남 3명, 대구 3명, 경북 2명, 부산 2명, 대전 1명, 전남 1명, 강원 1명, 충북 1명, 충남 1명, 광주 1명, 세종 1명
** 국적(누적): 내국인 74명, 외국인 7명
인지경로를 살펴보면 의심증상 발생 후 본인이 신고한 사례가 6건이었다.
* 인지경로(누적) : 본인 신고 사례 54건, 의료기관 신고 26건, 환자 역학조사 중 확인된 밀접접촉자 1건
주간 신규환자의 추정 감염경로는 모두 최초 증상 발현 전 3주 이내 해외 여행력이 없거나 관련성이 없어 국내 감염으로 추정된다.
※ 추정 감염경로(누적) : 국내 감염 추정 사례 75건, 해외 유입 및 관련 사례 6건
방역당국은 5월 8일부터 고위험군에 대한 노출 전 예방접종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접종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5월 20일부터는 서울, 경기지역에 평일 저녁과 토요일 접종이 가능한 기관을 추가 지정하고 접종기관 수를 대폭 확대(33개 → 130개)하였다. 5월 21일까지 누적 접종자는 2,269명이다.
* 접종 예약자(5.21. 기준) : 3,637명 (서울 2,518명, 경기 641명, 기타 478명)
접종백신은 기존 2세대 백신보다 효과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3세대 백신(진네오스)으로 작년 8월부터 의료진 등을 대상으로 접종에 활용하였다. 현재까지 이상사례 신고는 40건으로 사유는 주사 부위 통증, 붓기, 발적 등 경증이며 중증도 이상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3세대 백신은 독성을 낮추어 감염 우려가 없고 이상반응 위험도 낮음
예약방법과 접종기관 목록은 고위험군에게 별도로 안내하였으며, 1339 콜센터를 통해서도 사전예약 방법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지자체 대상 병상 지정운영, 치료제 공급 적정성 등 대응상황을 지속 점검하고 전문가 중심의 자문단을 구성․운영하여 임상진료가이드 개발 등 실효성 있는 정책 수립을 추진할 예정이다.
방역당국에서는 엠폭스 의심증상 신고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히 보호하고 있으므로, 의심증상이 있을 시 가까운 의료기관이나 보건소를 찾아 진료와 검사를 받거나 콜센터 1339로 신속하게 신고 및 문의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 ▴익명의 사람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피부병변을 긴팔 옷 등으로 감싸 다른 사람들과 직접 접촉이 없도록 각별한 주의 ▴유증상기(피부발진,궤양,림프절병증,발열 등)에 다른사람들과의 밀접접촉(피부․성접촉) 삼가 ▴ 손씻기 준수 ▴ 유증상자와의 화장실, 식기, 세면대 등 공동사용 자제 ▴ 유증상자외의 접촉이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으로 검사․진료받고 백신 접종 등
위 내용은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붙임> 1. 확진환자의 정보공개 지침
2. 엠폭스 질병개요
3. 엠폭스 국외 발생 동향
4. 엠폭스 예방수칙 안내문
5.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