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3.7.보도참고자료] 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해외여행 전 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 의심!
  • 작성일2025-03-07
  • 최종수정일2025-03-11
  • 담당부서감염병관리과
  • 연락처043-719-7190

전 세계 홍역 유행 중, 해외여행 전 접종! 여행 후 발열, 발진 있으면 홍역 의심!


- 최근 국내 홍역 환자(18명) 중 베트남 방문력 환자가 13명(1차 백신접종 이전 시기 영아 4명 포함, ‘24.12~’25.3.6.)

- 면역체계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 유행국가 방문 자제, 불가피한 경우 반드시 백신 접종 후 출국

- 해외여행 후 발열 동반 기침, 콧물, 결막염 등 증상이 있는 경우 홍역 의심 진료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고,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발생한 환자 18명 중 13명이 베트남 방문력이 있음을 고려하여 베트남 등 해외 방문을 계획중인 경우 백신 접종 등 주의를 당부하였다. 


 국내 홍역 환자는 ’24년 총 49명, ’25.3.6일 기준 총 16명이 발생하였으며, 모두 해외여행을 다녀오거나, 국내에서 환자와 접촉하여 감염된 사례이다. 특히 ’24년 12월 2명과 금년 3월까지 발생한 확진자 중 13명은 베트남을 다녀왔다. 

  * (’22년) 약 17만 명, (’23년) 약 32만 명, (’24년) 약 33만 명 (’25.2.11. 기준 WHO)

  ** ‘24.12.1.~25.3.6. 환자 18명중 13명(베트남 방문력), 5명(국내에서 환자 접촉)


24-25년 월별 국내 홍역 환자 발생 현황(신고일 기준, 단위: )

2024

2025

소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소계

1

2

3

49

1

10

4

24

8

0

0

0

0

0

0

2

16

2

7

7


최근 10(’16~’25) 홍역 환자 발생 현황(단위: )*( )베트남 유입 확진자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5.3.6.기준)

18

(0)

7

(1)

15

(1)

194

(47)

6

(3)

0

(0)

0

(0)

8

(0)

49

(2)

16

(11)


※ 국내 홍역 환자(‘24년∼’25.3.6.)는 모두 해외유입 또는 해외유입 관련 환자 

 •(해외유입, 29건 ) 발진 발생 21일 내 해외여행력, 해외 유행 중인 유전자형(B3 혹은 D8)인 경우

   * 베트남13, 우즈베키스탄 6, 카자흐스탄 3, 말레이시아 2, 태국 2, 아제르바이잔 1, 남아프리카공화국 1, 러시아 1

 •(해외유입 관련, 36건) 국외 또는 국내에서 홍역 환자와 접촉하거나, 해외에서 유행 중인 유전자형(B3 혹은 D8)인 경우

  ‘24년 12월 이후 베트남 방문력을 가진 홍역 환자 13명은 1명을 제외하고 모두 홍역 백신 접종력을 모르거나, 없는 사람들이다. 연령은 0세(3명)부터 50대까지 다양한데, 특히 4명은 1차 홍역 백신 접종 시기(12~15개월) 이전 영아이다. 체류 기간은 최소 5일에서 최대 1.5개월이었고, 귀국 후 홍역 증상인 발열을 동반한 기침, 콧물 등 증상을 보이다가 발진이 발생하였다.



1. ‘24.12’25.3.6. 베트남 방문 홍역 환자 사례

연번

연령대

체류지

방문시기

체류기간

접종력

1

30

하노이

‘24.11

1주 미만

모름

2

0(9개월)

호치민

‘24.11월 말-12

14

없음

3

30

호치민

‘24.12

14

모름

4

50

나트랑

‘25.1

1주 미만

모름

5

20

하노이등

‘24.12-’25.1

4주 이상

없음

6

1(12개월)

호치민·호이안

‘25.1-2

4주 이상

없음

7

0(7개월)

호치민

‘25.1-2

4주 이상

없음

8

40

호치민

‘25.2

1주 미만

없음

9

30

다낭

‘25.1-2

14

모름

10

7

나트랑

‘25.1-2

4주 이상

없음

11

1(13개월)

호치민

‘25.2

1

모름

12

40

다낭·호이안

‘25.1-2

1주 미만

모름

13

20

다낭

‘25.1

1주 미만

2

  세계보건기구(WHO) 자료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중으로, ‘24년 홍역환자 수는 약 33만 명*이며(’25.2.11. 기준) 유럽, 중동, 아프리카 순으로 많고, 우리나라 사람들이 많이 여행하는 동남아시아, 서태평양지역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표 2 참고).


2. 세계보건기구(WHO) 지역별 홍역 환자 수

지역

홍역 환자수1)

비교

(전년 동기간 대비 환자수)

2023

2024

전 세계

321,890

334,717

1.0

아프리카

73,443

85,745

1.2

아메리카

73

461

6.3

중동

90,855

92,425

1.0

유럽

60,945

108,200

1.8

동남아시아

90,832

36,824

0.4

서태평양

5,742

11,062

1.9

1) 각국 보고 기준(실험실 확진, 역학적 연관 또는 임상기준에 합당한 환자)

자료원: WHO, Immunization Data Portal(‘25.2.11. 보고자료, 보고지연 상황 고려 필요)



  참고로 서태평양지역의 홍역 환자는 ’24년 기준 11,062명이 발생하였는데 지역별로는 필리핀이 4,00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말레이시아(3,753명), 베트남(2,105명), 중국(1,026명) 순이다.(표 3 참고) 


3. 세계보건기구(WHO) 지역별 주요 10개 국가 홍역 환자 수*(2024)

중동

동남아시아

서태평양

유럽

아메리카

국가명

환자수

국가명

환자수

국가명

환자수

국가명

환자수

국가명

환자수

이라크

32,179

인도

20,726

필리핀

4,001

카자흐스탄

28,147

미국

284

파키스탄

25,401

태국

8,194

말레이시아

3,753

러시아

22,076

캐나다

147

예맨

19,988

인도네시아

7,191

베트남

2,105

아제르바이잔

16,690

아르젠티나

14

아프가니스탄

9,769

스리랑카

305

중국

1,026

키르기스스탄

13,961

멕시코

7

소말리아

1,309

방글라데시

240

호주

56

루마니아

12,040

브라질

4

사우디

아라비아

1,116

네팔

132

대한민국

49

영국

2,920

볼리비아

3

수단

796

미얀마

30

일본

42

보스니아

헤르체코비나

1,680

페루

2

아랍에미리트

571

몰디브

3

몽골

12

터키

1,520

-

-

모로코

409

동티모르

3

싱가포르

12

우즈베키스탄

1,459

-

-

이란

316

-

-

캄보디아

4

이탈리아

1,049

-

-

* ‘24WHO에 보고된 각국 실험실 확진, 역학적 연관 또는 임상 기준에 합당한 환자 수

사각형입니다. WHO 홍역 퇴치인증 국가

자료원: WHO, Immunization Data Portal(‘25.2.11. 보고자료, 보고지연 상황 고려 필요)

  베트남이 공식 홍역 환자 보고수가 가장 많은 국가가 아님에도 베트남 방문이력을 가진 홍역 환자가 국내에서 최근 지속 신고되는 이유는, 베트남이 국내 여행자들의 선호 국가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 베트남의 ‘24년 외국인 관광객 총 1,758만 명 유치로 전년대비 39.5%증가, 국적별로는 한국이 전년대비 27% 증가한 456만 명으로 1위 차지(한국관광데이터랩, ‘25.1.22)

 ※ 2024년 한국인이 가장 많이 방문한 국가는(일본(8.8백만 명), 베트남(4.6백만 명), 태국(1.8백만), 필리핀(1.6백만),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마카오 순임(「국민 해외관광객 주요 목적지별 통계」 ‘24.12월, 한국관관공사)


  따라서,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중국 등 홍역 유행국가 방문 또는 여행을 계획중인 경우, 반드시 홍역 백신 접종력을 확인*하고, 접종력 확인이 어려운 경우 백신 접종후에 방문할 것이 권고된다.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 예방접종관리 → 접종내역 조회


  홍역은 기침 또는 재채기를 통해 공기로 전파되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호흡기 

감염병으로, 감염 시 발열·발진·구강 내 회백색 반점(Koplik’s spot) 등이 나타나며, 홍역에 대한 면역이 불충분한 사람이 환자와 접촉 시 90% 이상 감염될 수 있다(붙임1 참고). 하지만, 백신접종으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한 만큼, 생후 12~15개월 및 4~6세 총 2회에 걸쳐 반드시 홍역 백신(MMR)을 접종해야 한다.

   * 1차 접종시 93%, 2차 접종시 97% 예방 가능 


  특히 면역체계가 취약한 1세 미만 영유아는 홍역에 감염되면 폐렴, 중이염, 뇌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감염에 유의하기 위해 홍역 유행 국가 방문을 최대한 자제하고, 방문이 불가피하다면(생후 6개월이상 12개월 미만) 반드시 출국전에 홍역 가속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

   * 예방접종 후 방어면역 형성까지의 기간(보통 2주)을 고려해 출국 전 예방접종 필요


홍역 유행국가 방문 시 접종 권고 예시

구분(만나이)

접종 횟수 및 방법

6개월~11개월

출국 최소 2주전 1회 접종

* 이후 생후 12-15개월, 4-6세 표준접종 일정 준수(3)

12개월-3

접종력 없음/모름

출국 최소 2주전 1회 접종

* 4-6세 표준접종 일정 준수(이전 접종과 4주 이상 간격)

4~6

접종력 없음/모름

출국 최소 6전 부터 시작하여 2회 접종

* 접종 간격 최소 4주이상, 방어면역형성기간 2주 필요

접종력 1

출국 최소 2주 전 1회 접종


* 612개월 미만 가속 예방접종의 경우 정부에서 전액 지원
다만, 가속접종 이후 1(1215개월) 2(46) 정기접종은 받아야 함


  우리나라는 홍역 퇴치 인증국(WHO, 2014)으로, 홍역을 검역감염병으로 지정(’24.1월~)중이다. 귀국 시 홍역의 주요 증상인 발열, 발진이 있다면 입국장의 검역관에게 건강상태를 신고(Q-CODE 또는 건강상태질문서)해야 한다. 

  신고내용에 따라 홍역 환자로 의심된다고 판단한 경우 격리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으로 이송하고, 검사 결과 홍역으로 확진된 경우 정부에서 치료비를 지원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전세계적으로 홍역이 유행하고 있는 만큼, 여행 전 홍역 백신(MMR)을 2회 모두 접종하였는지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출국 최소 6주 전부터 2회 접종(최소 4주 간격)을 완료할 것”을 권고하였다. 

 * (홍역 면역의 증거가 없는 경우) 과거 백신 접종 기록이 없으면서 홍역에 걸린 적이 없거나, 홍역 항체가 확인되지 않는 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아울러 “해외여행 이후 발열을 동한한 기침, 콧물, 결막염 또는 발진 증상을 보인다면 바로 의료기관 방문하여 해외 여행력을 알리고 진료를 받을 것과, 의료기관에서도 검사 및 관할 보건소 신고 등을 적극적으로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붙임>  1. 홍역 개요

         2. 전세계 홍역 발생 현황

         3. 홍역 바로 알기(Q&A)

         4. 홍역 예방수칙 안내 포스터

         5. 홍역 예방수칙 카드뉴스

         6. 올바른 손씻기 포스터

         7. 기침예절 홍보 포스터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