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보도자료
detail content area
- 작성일2021-08-30
- 최종수정일2021-09-08
- 담당부서중앙방역대책본부 보도대응팀
- 연락처043-719-9368
12~17세 소아청소년 및 임신부 접종 가능(8.30., 정례브리핑) ※ 22쪽 잔여백신 접종현황 표 내 백신 구분 순서 수정(9.8., 11:02)
-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를 통해 소아청소년과 임신부 접종 가능 -
◆ 예방접종 현황 ○ 예방접종 1회 이상 전 국민의 55.8%, 접종 완료 28.5% ○ 1차접종 기준 접종률은 60대 92.7%, 70대 92.2%, 50대 90.9%, 80세 이상 82.3% 순으로 높아
◆ 예방접종전문위원회, 12~17세·임신부 접종 및 추가접종 권고 ○ 임신부, 12~17세 소아청소년은 접종대상에 포함 ○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후부터 추가접종(부스터샷) 권고
◆ 이상반응, 피해조사 주간 보고 ○ 이상반응 신고율 0.41%,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6%, 중대 이상반응은 4.4%
◆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최근 1주간(8.22.~8.28.) 국내 발생 신규환자 일평균 1,702.6명으로 전주 대비 2.7% 감소 ○ 종합·대형병원, 학교·학원, 스포츠 시설 동반 사우나 등에서의 집단감염 발생에 따른 방역수칙 준수 철저 당부 ○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 수는 40~50대가,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가장 많았음 |
1. 예방접종 현황 |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 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은 8월 30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예방접종을 1회 이상 실시한 사람이 28,641,079명으로 전 국민의 55.8%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 이 중 접종완료자(얀센 백신 1회 접종자 포함)는 14,619,071명으로, 전 국민의 28.5%이다.
○ 연령대별 인구 대비 접종률은 1차 접종 기준으로 60대 92.7%, 70대 92.2%, 50대 90.9% 80세 이상 82.3% 순으로 높았고, 접종 완료 기준으로는 70대 79.8%, 80세 이상 78.6%, 60대 59.5% 순으로 높았다.
- 특히, 7월 26일부터 실시되었던 50대 연령층의 1차접종이 8월 28일로 마무리되었고, 90% 이상이 1차접종을 완료하였다.
【연령대별 접종현황 (8.30. 0시 기준)】
구분 |
인구(명)* |
1차 접종 |
접종 완료 |
|||
1차접종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접종완료자(명) |
인구 대비 접종률(%) |
|||
계 |
51,349,116 |
28,641,079 |
55.8 |
14,619,071 |
28.5 |
|
연 령 |
80세 이상 |
2,255,736 |
1,855,490 |
82.3 |
1,772,218 |
78.6 |
70∼79 |
3,757,129 |
3,464,199 |
92.2 |
2,999,176 |
79.8 |
|
60∼69 |
7,140,703 |
6,621,561 |
92.7 |
4,246,240 |
59.5 |
|
50∼59 |
8,570,076 |
7,786,660 |
90.9 |
1,237,519 |
14.4 |
|
40∼49 |
8,109,221 |
3,111,932 |
38.4 |
1,362,553 |
16.8 |
|
30∼39 |
6,686,639 |
2,749,638 |
41.1 |
1,522,510 |
22.8 |
|
18∼29 |
7,619,756 |
3,036,312 |
39.8 |
1,465,804 |
19.2 |
|
12~17 |
2,768,836 |
15,287 |
0.6 |
13,051 |
0.5 |
|
* ’20.12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거주자) 기준 ※ 상기통계자료는 예방접종등록에 따라 변동 가능한 잠정 통계임 |
○ 18~49세 청장년층의 경우, 이미 접종받았거나 다른 대상군으로 예약한 분들을 고려하면 현재까지 인구(약 2241.5만 명) 대비 약 82.7%가 접종에 참여할 것으로 전망되며, 사전예약 대상자의 예약률은 68.6%(총 1,495만 명 중 1,026만 명)이다.
2.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임신부, 12-17세 접종 및 추가접종(부스터샷) 권고 |
□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단장: 정은경 청장, 이하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위원장: 최은화 교수)를 열고 임신부 및 12-17세 소아·청소년 접종과 추가접종(부스터샷) 방안 등을 심의했다고 밝혔다.
○ 현재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에서 제외하였던 임신부, 12~17세 소아청소년에 대하여 접종이 가능하도록 하고, 기본접종(얀센은 1회, 그밖의 백신은 2회접종) 완료 6개월 이후 추가접종*을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였다.
* 특히,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전이라 하더라도 추가접종을 우선 실시하는 것이 가능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8.25) 결과>
① (임신부) 코로나19 고위험군으로 현재까지 코로나19 예방접종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WHO를 비롯하여 미국, 영국 등 주요국이 접종을 권장하고 있음. 우리나라도 임신부를 접종대상자에 포함시킬 것을 권고함
② (소아청소년) 최근 식약처 허가(화이자 백신 12세 이상)를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확인되고, WHO를 비롯하여 미국, 일본 등 주요국가에서 접종 후 효과,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어 우리나라도 12-17세 소아청소년을 접종대상자에 포함시킬 것을 권고함. 12-17세 접종은 18세 이상 성인(고위험군 및 일반인구)의 백신접종이 마무리된 후 시작하도록 권고함
③ (추가접종) 기본접종 완료 6개월 이후에 추가접종을 시행할 것을 권고함. 특히, 면역저하자 등은 6개월 이전이라도 우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
④ (접종간격) 코로나19백신은 다른 백신과의 접종간격에 관계없이 접종이 가능함 * 현재는 다른 백신과 최소 14일 간격 접종
|
□ 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의 권고를 반영하여 임신부·소아청소년 및 추가접종에 대한 접종계획을 수립하고, 9월 중에 발표할 예정이다.
○ 소아청소년·임신부에 대한 접종은 18-49세에 대한 1차접종을 9월까지 마무리한 후 4분기부터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며,
- 특히, 교육부 등 관계부처, 대한산부인과학회,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등 관련 학회와 안전한 접종을 위한 세부시행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 추가접종은 기본접종 완료하고 6개월이 지난 대상자에 대해 4분기부터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접종계획을 수립중이다.
□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코로나19 예방접종과 다른 백신과의 접종간격에 제한을 두지 않아도 되도록 권고했다.
○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 초기에는 코로나19 백신과 타백신 접종 간격에 대한 자료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국외사례 등을 참고하여 타 백신 접종과 최소 14일을 유지할 것을 권고하였다.
○ 예방접종전문위원회는 코로나19백신의 안전성 자료가 많이 축적됨에 따라 코로나19백신과 타 백신과의 접종간격을 제한할 과학적 근거가 없고, 다른 백신 접종에서도 간격제한을 두지 않고 있는 점, 4분기 인플루엔자 접종과 코로나19 소아청소년 접종이나 추가접종 등이 계획되어 있는 점을 감안하여
- 코로나19 백신은 다른 백신과의 접종간격에 상관없이 접종이 가능한 것으로 심의하였다.
* 미국, 영국에서도 타 백신접종과의 접종간격으로 인해 접종이 연기되는 것을 우려하여 접종간격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는 것으로 변경(6~7월)
3.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
□ 8월 31일(화),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119.2만 회분이 안동공장에서 출고될 예정이다.
○ 이로써 올해 개별 계약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총 2,000만 회분)은 8월 31일을 마지막으로 국내 공급이 전부 완료될 예정이다.
- 정부는 안정적인 백신 공급을 위해 지속적으로 제약사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며, 구체적인 공급 일정은 제약사와 협의 되는대로 신속하게 안내할 계획이다.
【 ’21년 백신 도입 현황 및 계획 (’21.8.30. 기준, 단위: 회분) 】
백신 종류 |
도입 확정 |
도입 완료 |
도입 예정 |
|||||
계 |
상반기 |
7.1~8.30 |
8.31~9.5 |
9.6~9.30 |
4분기 |
|||
계 |
1억 9,340만 |
4,740만 |
1,862만 |
2,877만 |
약 990만 |
약 4,200만 (협의중) |
약 9천만 |
|
아스트라제네카 |
2,000만 |
1,880.8만 |
881.4만 |
999.4만 |
약 390만 (8.31 AZ 119.2만) |
|
|
|
화이자 |
6,600만 |
2,108.6만 |
700.2만 |
1,408.3만 |
||||
모더나 |
4,000만 |
347.2만 |
11.2만 |
336.1만 |
600만 |
|||
얀센 |
740만 |
151.4만 |
101.3만 |
50.1만 |
(협의중) |
|||
노바백스 |
4,000만 |
- |
- |
- |
- |
|||
코백스 |
아스트라 제네카 |
2,000만 |
210.2만 |
126.7만 |
83.5만 |
- |
||
화이자 |
41.4만 |
41.4만 |
- |
- |
|
|
|
|
제약사와 공급 일정 협의 중이거나 일정 공개 협의 중(노바백스 백신은 허가 일정 고려) |
|
|
|
|
|
|
|
|
|
|
|
|
|
|
|
|
|
|
|
|
|
|
|
|
4. 이상반응 신고현황 주간 분석결과 (26주차) |
□ 추진단은 코로나19 예방접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신고된 이상반응 의심사례에 대한 주간(26주차, 8.29. 0시 기준)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 전체 예방접종 42,048,131건 중 이상반응은 171,159건(25주 신규 신고건수 17,981건)이 신고되어 신고율은 0.41%(1차 0.48%, 2차 0.26%)으로,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율(접종일 기준)은 접종 초기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는 추세이다.
- 신고 사례 중 근육통, 두통 등 일반 이상반응은 95.6%(163,578건), 중대한 이상반응은 4.4%(7,581건)이었으며, 백신별 신고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0.50%(1차 0.72%, 2차 0.12%), 화이자 백신 0.31%(1차 0.27%, 2차 0.37%), 얀센 백신 0.65%, 모더나 백신 0.51%(0.47%, 1.98%)이였다.
[누적 예방접종건수 대비 이상반응 의심사례 신고율 그림 붙임 참조]
□ 추진단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발생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 접종받는 사람은 예방접종 후 15~30분간 접종기관에 머물러 이상반응 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귀가 후에도 적어도 3시간 이상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며, 접종 후 최소 3일간은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고열이 있거나 평소와 다른 신체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 특히, 중증 알레르기 반응(아나필락시스)이 나타나면 즉시 119로 연락하거나 가까운 응급실로 내원해야 한다.
○ 화이자, 모더나 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심근염/심낭염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료기관 진료를 받도록 당부했다.
【심근염 및 심낭염 의심증상】
◈ 예방접종 후 아래와 같은 증상이 새롭게 발생하거나 악화되어 지속되는 경우 ① 가슴 통증, 압박감, 불편감 ② 호흡곤란 또는 숨가쁨, 호흡시 통증 ③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④ 실신 |
○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 접종 후 드물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또는 길랑-바레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어 다음과 같은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증상】
◈ 아데노바이러스벡터 코로나19 백신(아스트라제네카, 얀센) 접종 후 4일에서 4주 사이에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① 심한 또는 2일 이상의 지속적인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조절되지 않는 경우 또는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② 호흡곤란, 흉통, 지속적인 복부 통증, 팔·다리 부기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 경우 ③ 접종부위가 아닌 곳에서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 등 |
【길랑-바레 증후군 의심증상】
① 사물이 두 개로 보이거나 눈동자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② 삼키기, 말하기, 씹기 어렵거나, 걷기 등 몸의 움직임을 조정하기 어려운 경우 ③ 손과 발의 저린 감각 및 팔다리, 몸통, 얼굴의 약화 ④ 방광조절 및 장기능 장애 |
○ 아울러,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의심 환자를 진료한 의료기관은 심근염, 심낭염,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길랑-바레증후군 등 신속한 진단·치료 및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신고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5. 코로나19 주간발생 동향 |
□ 최근 1주간(’21.8.22∼8.28.) 코로나19 국내 발생 신규환자는 일평균 1,702.6명(국내 발생 11,918명)으로 전주(일평균 1,750.7명) 대비 2.7%(48.1명) 감소하였다.
○ 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1,112.4명(전체 환자 수 7,787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1,100.7명) 대비 1.1% 증가하였다.
○ 비수도권은 최근 1주간 일평균 590.1명(전체 환자 수 4,131명) 발생하여 전주(일평균 650.0명) 대비 9.2% 감소하였다.
○ 주간 감염재생산지수(Rt)는 전국 0.99로 전주(1.02) 대비 감소하였고, 수도권은 1.02, 비수도권은 0.94이었다.
* 전국 Rt : 0.99(8월1주) → 1.10(8월2주) → 1.02(8월3주) → 0.99(8월4주)
○ 해외유입 사례는 일 평균 43명(총 303명)으로 전주대비 (53.0명→43.3명) 감소하였다.
< 전국/수도권/비수도권(’20.11.29.~’21.8.28.) 그림 붙임 참조>
< 최근 한달 간 주간 위험도 평가지표 >
구 분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8월 4주 (8.22.~8.28.) |
||
일일 평균 확진환자 수(명) |
국내발생 |
1,495.4 |
1,780.0 |
1,750.7 |
1,702.6(-2.7%) |
|
|
수도권 |
936.6 |
1,076.9 |
1,100.7 |
1,112.4(+1.1%) |
|
비수도권 |
558.9 |
703.1 |
650.0 |
590.1(-9.2%) |
||
해외유입 |
59.9 |
60.3 |
53.0 |
43.3 |
||
전 체 |
1,555.3 |
1,840.3 |
1,803.7 |
1,745.9 |
||
감염경로 조사중 분율(%)(건) |
국내발생 |
25.0 (2,620/10,468) |
29.6 (3,688/12,460) |
31.5 (3,855/12,255) |
36.7 (4,376/11,918) |
|
방역망 내 관리 분율(%) |
국내발생 |
41.4 |
39.4 |
37.9 |
32.9 |
|
감염재생산지수(Rt) |
0.99 |
1.10 |
1.02 |
0.99 |
||
신규 집단발생 건수(건) |
96(▲1) |
106(▲9) |
93(▲56) |
41* |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명) |
347 |
377 |
375 |
417 |
||
주간 사망 환자 수(명) |
21 |
32 |
54 |
74 |
||
즉시 가용 중환자실(개) |
312 |
287 |
273 |
362 |
* 역학조사 진행 중으로 이후 증가할 수 있음
○ (연령군) 2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5.8명(전주 5.9명), 30대 연령군에서 인구 10만 명당 4.3명(전주 4.3명)으로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10대 이하 및 50대 이상 연령군은 소폭 감소했다.
< 전국 연령별 발생률(8.28. 0시 기준) >
구분 |
계 |
0-9세 |
10-19세 |
20-29세 |
30-39세 |
40-49세 |
50-59세 |
60-69세 |
70-79세 |
80세이상 |
|
8월 1주 (8.1.~8.7.) |
환자수 |
10,468 |
706 |
1,177 |
2,245 |
1,589 |
1,698 |
1,781 |
862 |
287 |
123 |
일평균발생률 |
2.9 |
2.5 |
3.5 |
4.7 |
3.3 |
2.9 |
2.9 |
1.8 |
1.1 |
0.9 |
|
8월 2주 (8.8.~8.14.) |
환자수 |
12,460 |
776 |
1,359 |
2,893 |
2,066 |
1,875 |
1,992 |
1,021 |
311 |
167 |
일평균발생률 |
3.4 |
2.8 |
4.1 |
6.1 |
4.3 |
3.2 |
3.3 |
2.2 |
1.2 |
1.2 |
|
8월 3주 (8.15.~8.21.) |
환자수 |
12,255 |
802 |
1,249 |
2,816 |
2,065 |
1,950 |
1,884 |
997 |
329 |
163 |
일평균발생률 |
3.4 |
2.9 |
3.7 |
5.9 |
4.3 |
3.4 |
3.1 |
2.1 |
1.3 |
1.2 |
|
8월 4주 (8.22.~8.28.) |
환자수 |
11,918 |
774 |
1,185 |
2,761 |
2,079 |
1,951 |
1,734 |
995 |
326 |
113 |
일평균발생률 |
3.3 |
2.8 |
3.5 |
5.8 |
4.3 |
3.4 |
2.9 |
2.1 |
1.3 |
0.8 |
*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 = (확진자수)/(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20.12월 기준) × 100,000(명)
○ (감염경로) 가족·지인·직장 등 개인 간 접촉감염으로 인한 ‘확진자 접촉’ 비중은 지속적으로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8월 4주 49.3%, 총 6,028명), 조사 중 비율(35.8%)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확진자 접촉 비중 :(8월1주) 46.1%(5,024명) → (8월2주) 46.3%(5,965명)→ (8월3주) 47.5%(6,003명) → (8월4주) 49.3%(6,028명)
< 최근 4주간 감염경로*(’21.8.1.~8.28.)>
구 분 |
8월 1주 (8.1.~8.7.) |
8월 2주 (8.8.~8.14.) |
8월 3주 (8.15.~8.21.) |
8월 4주 (8.22.~8.28.) |
||||
전체 |
10,887명 |
(100%) |
12,882명 |
(100%) |
12,626명 |
(100%) |
12,221명 |
(100%) |
확진자 접촉 |
5,024명 |
(46.1%) |
5,965명 |
(46.3%) |
6,003명 |
(47.5%) |
6,028명 |
(49.3%) |
지역 집단발생 |
2,678명 |
(24.6%) |
2,666명 |
(20.7%) |
2,202명 |
(17.4%) |
1,356명 |
(11.1%) |
병원 및 요양시설 등 |
135명 |
(1.2%) |
138명 |
(1.1%) |
188명 |
(1.5%) |
157명 |
(1.3%) |
해외유입 |
419명 |
(3.8%) |
422명 |
(3.3%) |
371명 |
(2.9%) |
303명 |
(2.5%) |
해외유입 관련 |
11명 |
(0.1%) |
3명 |
(0.0%) |
7명 |
(0.1%) |
1명 |
(0.0%) |
조사중(미분류) |
2,620명 |
(24.1%) |
3,688명 |
(28.6%) |
3,855명 |
(30.5%) |
4,376명 |
(35.8%) |
수도권 지역 조사중(미분류) |
1,875명 |
(17.9%) |
2,556명 |
(24.4%) |
2,798명 |
(26.7%) |
3,232명 |
(30.9%) |
* 역학조사 진행에 따라 감염경로는 재분류 될 수 있음
○ (집단감염) 신규 집단감염은 총 41건으로 사업장 17건, 다중이용시설(노래방, 수산물직판장, 사우나 등) 7건, 교육시설(학교·학원·유치원 등) 6건, 가족 지인모인 4건, 종교시설(교회, 미륵대도) 2건, 의료기관(병원) 1건, 기타 4건(파출소 등)이 발생하였다.
□ (위중증·사망) 주간 평균 위중증 환자 수는 417명으로 증가추세에 있으며, 주간 사망자는 74명으로 전주(54명) 대비 증가하였다.
* 주별 평균 위중증 환자 규모 :(8월2주) 377명→(8월3주) 375명→(8월4주) 417명
* 주간 사망 환자 수 : (8월2주) 32명→(8월3주) 54명 → (8월4주) 74명
* 즉시가용 중환자실 :(8월2주) 287개→(8월3주) 273개→(8월4주) 362개
○ (연령군별 위중증 환자 수) 8월 4주 위중증 환자 수는 40~50대가 220명(52.8%)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이상이 160명(38.4%), 30대 미만이 37명(8.9%)이었다.
○ (연령군별 사망자 수) 8월 4주 사망자 수는 60대 이상이 52명(70.3%)으로 가장 많았고, 40~50대가 21명(28.4%), 30대 미만이 1명(1.4%)이었다.
<최근 5주간 연령군별 재원중 위중증 환자수 및 사망자수 그림 붙임 참조>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최근 들어 종합병원·대학병원 집단감염이 보고되고, 등교 증가에 따른 학교·학원 집단감염이 지속되며, 스포츠시설 동반 사우나에서도 감염이 확산되고 있으며, 외국인 확진자도 지속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7월 이후 종합병원·대학병원 집단감염이 다수 발생하면서 재원 환자 확진에 따른 병동폐쇄, 의료종사자 접촉자 격리 등으로 의료인력·병상 운영에 부담을 초래한다.
- 의료기관 감염은 주로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환자, 보호자, 간병인 중심으로 발생하고 있어, 의료기관 자율접종 등을 통해 입원환자 및 종사자, 돌봄인력(보호자·간병인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적극 실시할 예정이다.
- 또한, 방역 당국은 예방접종완료자라 할지라도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병원 출입을 자제하고 즉시 검사받을 것을 당부하였으며, 의료기관내에서 철저한 마스크 착용·주기적 환기 및 환기설비 점검 등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요청하였다.
○ 8월 개학 이후 등교하는 학교 수가 증가함(81.6% 증가, 9,008개교(8.20.) → 16,362개교 등교(8.26.))에 따라 학교·학원을 중심으로 집단감염 발생 위험이 증가하였다.
- 정부는 학교 방역조치와 현장점검을 지속 실시하며, 학교 방역관리자를 통해 교내 마스크 착용, 주기적인 환기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밀집도가 높은 학원·기숙학교의 경우 선제검사, 예방접종을 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 최근 스포츠 시설을 동반한 사우나에서도 집단감염이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스포츠 시설 특성상 운동 중 비말이 다량 배출되고, 사우나는 환기가 어려워 감염에 취약해, 방역수칙을 더욱 엄격히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정부는 해당 시설의 방역수칙 준수 여부를 집중 점검할 예정이며, 시설 종사자에 선제검사와 예방접종을 실시해줄 것을 독려하고, 시설 이용자에는 탈의실 등 다수가 이용하는 장소와 운동 중에도 마스크를 항시 착용할 것을 요청하였다.
○ 외국인 확진자가 지속 발생하면서 확진자 중 비중이 13.8%까지 증가했으며, 외국인은 예방접종률이 낮고, 열악한 근무 및 주거환경과 검사 접근성이 낮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 이에 따라, 외국인 밀집지역, 사업장 등 감염위험지역을 중심으로 선제검사를 실시하고, 지자체 자율접종으로 외국인 예방접종을 추진하고, 고용부·법무부·여가부 등 관계부처와 외국인 예방접종 안내와 예약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6. 당부 말씀 |
□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염력이 높은 델타바이러스로 인한 4차 유행으로 하루 평균 1,700명대 환자 발생이 지속되고 있어
○ 국민들께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 ▲마스크 착용,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다.
○ 또한, 아직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분들은 나와 가족의 안전을 위해 예방접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시고,
- 특히, 60세~74세 어르신들은 예약일정에 따라 2차 접종을 완료하여 주실 것도 당부하였다.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에서 내려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0시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 ‘일일확진자’ ▶ 다운로드(화살표선택) ▶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 시도별 발생동향 ▶ 시도 선택 ▶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
<붙임> 1. 코로나19 예방접종 현황
2. 코로나19 국내 발생 현황
3. 코로나19 주간 발생 현황
4.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주간 분석 결과(26주차)
5. 임신부 및 소아청소년 예방접종
6. 코로나19 예방접종 전 꼭 알아야 할 5가지
7. 알아두면 편리한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 꿀팁
8. 코로나19 예방접종 온라인 예약방법 안내(영문)
9. 코로나19 예방접종 안내문 및 Q&A
10. 코로나19 백신 관련 심근염 및 심낭염 안내문
11.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포스터
12.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안내
13. 검사소 및 진료소 폭염 관련 안내 [일반국민 및 의료인력] Q&A
14. 폭염대비 코로나19 예방수칙(마스크 착용 시, 에어컨 사용 시)
15. 여름철 올바른 환기 방법 안내
16.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방법 안내
17. 코로나19 유증상자 적극 검사 시행 포스터
18.「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별첨> 1. 코로나19 예방접종 국민행동수칙
2.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 국가보상제도 홍보자료
3. 변경된 실내·외 마스크 착용 지침
4. 마스크 착용 권고 및 의무화 개편 관련 홍보자료(국‧영문)
5.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마스크 착용
6. 잘못된 마스크 착용법
7. 가족 감염 최소화를 위한 방역수칙
8. 가족 중 의심환자 발생 시 행동요령 점검표
9. 자가격리 대상자 및 가족·동거인 생활수칙
10. 코로나19 고위험군 생활수칙(대응지침 9판 부록5)
11.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어르신 및 고위험군
12. <입국자> 코로나19 격리주의 안내[내국인용]
13. 생활 속 거리 두기 실천지침: 환경 소독
14. 올바른 소독방법 카드뉴스 1, 2, 3편
15. 코로나19 살균·소독제품 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내 및 주의사항(환경부)
16. 코로나19 예방 손 씻기 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