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감염지역 불명 뎅기열 발생사례 잠정결론
  • 작성일2012-01-13
  • 최종수정일2012-08-2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감염지역 불명 뎅기열 발생사례 잠정결론
The tentative conclusion of a dengue fever case with unknown origin in Korea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역학조사과             
곽진, 박지혁, 김선자             

  


 
  2011년 7월 19일 보고된 감염지역 불명 뎅기열 사례는 위험지역에서 귀국한 날로부터 증상 발생일까지 기간이 39일로, 뎅기열의 최대 잠복기가 14일인 점 등에 비추볼 때 해외유입 사례로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감염지역 추정을 위하여 환례에 관한 추가조사 및 거주지 부근 매개모기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주간 건강과 질병」제4권 44호(2011년 11월 4일)에 게재한 바 있다. 당시 환례의 감염경로는 해외 유행지역에서 뎅기열에 감염되었으나 무증상 감염상태로 우연히 발견된 경우이거나, 국내 모기에 의해 감염되었을 경우 중의 하나로 추정하였다.
  환례는 효소결합면역흡착측정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에 의한 IgM이 2차례 양성(1개월 간격)으로 법정감염병 진단기준에 의한 뎅기열 환자에 해당한다. 하지만 뎅기열 IgM은 감염된 이후에도 수개월 동안 검출되기 때문에 뎅기열 감염지역은 확인하기 어렵다. 환례의 임상증상을 살펴보면 비전형적인 발진, 백혈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경도의 간수치 상승이 있었다. 비전형적인 발진을 제외하고는 뎅기열의 임상증상에 부합하지만, 다른 원인(항생제 복용으로 인한 약 발진, 타 바이러스 감염 등)에 의해서도 비전형적 발진을 포함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뎅기열은 무증상 감염(불현성 감염)이 전체 감염자 중 77-88%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질병매개곤충과에서 국내 뎅기열 매개모기인 흰줄숲모기(A. albopictus)가 주로 서식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나무숲 지역중 환례 거주지 인근 2 km 이내에서 4개 지점을 선정하여 드라이아이스 및 유인제를 사용하는 BG트랩 방식으로 모기를 채집하였다. 매개모기 조사는 매주 2회 시행 하였으며, 9월 말부터 10월 말까지 총 8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지점에서 흰줄숲모기가 발견되었으며, 총 414마리의 흰줄숲모기를 채집하였다. 이 모기를 대상으로 신경계바이러스과에서 뎅기열 바이러스 보유 여부를 검사한 결과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종합해보면 환례의 임상증상은 비전형적인 발진을 제외하고는 뎅기열의 임상증상과 부합되지만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뎅기열은 무증상 감염률이 높은 질병이며, 환례 거주지 부근에 뎅기열 매개모기는 존재하지만 뎅기열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감염지역 불명 뎅기열 사례는 국내 매개모기에 의한 뎅기열 감염보다는 해외에서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이며, 뎅기열 무증상 감염 상태로 입국한 뒤 뎅기열(무증상)감염 사실이 발견된 경우일 것으로 추정된다.
  앞으로 질병관리본부에서는 해외에서 감염된 뎅기열 환자가 꾸준히 유입되고 있고 국내에 뎅기열 매개 모기인 흰줄숲모기가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의 뎅기열 발생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으로 주의를 기울이고 감시와 조사를 수행해 나갈 예정이다.

참고문헌

1. Ooi EE, Goh KT, Gubler DJ. Dengue prevention and 35 years of vector control in Singapore. Emerg Infect Dis 2006;12(6):887-893.
2. Chen LH, Wilson ME. Non-vector transmission of dengue and other mosquito-borne flaviviruses. Dengue Bulletin 2005;29:18-30.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