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모체에서 태아로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수직감염
  • 작성일2012-03-02
  • 최종수정일2012-08-2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모체에서 태아로의 인유두종바이러스 수직감염
Vertical transmission of HPV from mothers to infants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에이즈·종양바이러스과             
이지은             

  


Ⅰ. 들어가는 말
  인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는 약 8kb 크기의 DNA 바이러스로 현재 100여종 이상의 유전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부위에 따라 (cutaneous) 와 점막(mucosal)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유발하는 질환정도에 따라 고위험(high-risk)과 저위험(low-risk)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HPV는 여성에서 자궁경부암(HPV 16, 18, 33형 등)과 생식기 사마귀(HPV 6, 11)를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성적 전파 바이러스로 가임기의 젊은 여성들에게 약 20-46%의 높은 감염률을 보인다[1, 2].
  고위험 HPV 유전형은 악성종양세포의 불멸화와 암저해 유전자들의 발현 억제 등을 통해 암을 유발하며, 저위험 HPV유전형은 생식기 사마귀와 후두유두종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3]. 어린아이들의 경우 성접촉이 아닌 전파경로에 의해 감염될 수 있으며 HPV 감염시 생식기 사마귀를 포함하여 피부사마귀, 호흡기 유두종 등을 유발하는 것이 보고되었다[4,5]. 성적 접촉이 아닌 전파 경로로는 모체에서 태아로의 수직감염, 부모로부터 영아에게 전염, 가족끼리 또는 친구로부터의 전염, 특정 감염 부위로부터 다른 신체 부위로의 감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6]. 이러한 비(非) 성적 접촉에 의한 HPV 수직감염은 백신접종지침,  HPV 양성인 가임기 여성의 임상적 관리 등 차세대 건강을 위한 공중보건학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소아에서 HPV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경로 중 HPV 양성모체에서 태아에게 직접 감염시킬 수 있는 수직감염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Ⅱ. 몸 말
  1. HPV의 수직감염(Vertical transmission)
  수직감염이란 부모로부터 자식에게로 동일한 바이러스가 감염되는 것으로 모체에 감염되어 있는 HPV의 경우 Table 1과 같이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감염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1) 태반을 통한 자궁내로, 2) 감염된 산도를 통한 분만 시, 3) 출산 후의 모유수유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1956년 Hajek[7]에 의해 후두유두종(juvenile laryngeal papillomatosis)이 발병된 소아에서 출산 시 모체로부터 수직 감염 가능성이 제기된 이래, 1989년 Sedlacek[8] 등이 HPV DNA 양성인 모체로부터 태어난 23명의 태아 중 11명이 비인두흡입물에서 산모와 같은 유전형의 HPV DNA가 검출되었다는 결과를 발표하였고, 이후 HPV의 수직감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2. 수직감염 현황
  HPV 양성모체에서 태아로 감염되는 사례연구를 살펴보면(Table 2), 임산부의 HPV 양성률은 5.5-65.0% (전체양성률=24.3%)로 다양한 비율을 보여주고 있고, 양성인 임산부들로부터 태어난 태아의 경우 3.2-87.5%(전체양성률=25.7%)의 HPV 감염률을 나타냄으로서 성 접촉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서도 HPV 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직감염률은 연구대상자 및 범위에 따라 다양한 수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감염률로 보기는 어려우나, 모체에서 태아로의 수직감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3. 소아에서 HPV 감염에 따른 발생 가능 질환
  모체로부터 HPV 수직감염된 태아에서, HPV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게 되면 성장과정 중에 여러 가지 병변이 발생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흔한 증상은 피부사마귀(skin warts), 후두유두종(laryngeal papilloma), 결막유두종(conjunctival papilloma) 등이며, 이 중 피부사마귀(Figure 1)는 청소년 시기에 가장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고 소아에서 약 20%의 발병률을 보인다[18].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신체부위는 얼굴, 손, 발, 팔꿈치 그리고 무릎이며, 보통 HPV 유전형 1, 2, 3, 4, 7, 10, 27, 57 의 감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두유두종은 HPV가 후두에 감염되어 생기는 후두사마귀의 일종으로, 출생 중 모체의 산도에서 HPV에 감염된 후 소실되지 않고 지속감염 된 바이러스(HPV 6, 11형이 주된 원인유전형)에 의해 발병한다(Figure 2). 보편적으로 5세 이전의 소아에서 가장 많이 발병하고 정도에 따라 아무 증상이 없을 수도 있지만 일반적인 증상은 점진적인 목소리의 쉼, 기침, 호흡곤란 등이며, 급성으로 진행할 경우 기도폐쇄에 의한 사망 등을 일으킬 수도 있다. 후두사마귀를 가지고 있는 소아의 경우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juvenile-onset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JO-RRP)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소아 때 발생하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은 미국에서 약 10만명당 1.7-2.6명으로 성별 차이가 없으며, 환자의 25%는 1살 이전에 증상이 발생하고, 5살 이전에 40-75%의 환자가 증상을 보인다고 한다[19]. 이처럼 소아 때 발생하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은 수 년간 지속되다가 재발하여 매년 의료비가  1억 달러이상 소요되고, 신체·정신적으로 매우 심각한 장애를 남기게 된다. 이들 발병의 평균 나이는   4세이며 해마다 평균 5.1회의 수술을 받아야 한다. 덴마크에서 발표된 한 연구는 소아 때 발생하는   재발성 호흡기 유두종은 산모가 생식기에 사마귀를 가졌던 병력이 있는 경우 1,000명당 7명이 발생하고 이 발생률은 산모가 생식기에 사마귀가 없던 경우에 태어났던 소아에서의 발병률보다 231배나 높다고 보고하였다[20].


                              

  4. 국내 임신부의 HPV 감염 및 태아로의 감염 현황
  이처럼 세계 여러 나라 연구자들로부터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한 HPV 감염 및 그에 따른 태아로의  수직감염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 임산부들의 HPV감염률, 태아로의 수직감염률, 그리고 감염된 바이러스의 지속감염 여부에 대한 자료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국립보건연구원은 차세대의 건강과 연관된 국내 임산부의 HPV 감염률과 태아로의 수직감염 및 바이러스 소멸에 대한 자료 확보를 위해 2010년에 학술연구용역사업을 진행하였다. 서울시 소재 1개 산부인과 내원자 중 196명의 자연분만을 통해 출산한 임산부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임산부의 HPV감염률은 20.4%(40/196), 이들로부터 출산한 신생아의 HPV 감염은 22.5%(9/40)였다[21]. 태아에 감염된 바이러스가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HPV 양성인 태아를 2달 후 재검사한 결과 모든 태아에게서 바이러스가 소실된 것을 관찰하였다(Table 3). 또한, HPV 음성인 임산부에서 태어난 태아에서는 HPV 감염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Ⅲ. 맺는 말


  기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HPV에 감염된 임산부로부터 출생한 태아는 질병을 유발하는 HPV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 HPV 태아감염이 지속될 경우 추후 HPV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 임산부의 HPV 감염률 및 태아로의 수직감염 현황 등에 대한 자료는 매우 미비한 실정으로 향후 지역별, 연령별, 분만 형태별 등을 고려한 다수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국내 임산부의 HPV 감염률과 태아에 대한 수직 감염률 그리고 바이러스 소멸 등에 대한 대표성 있는 자료가 확보된다면 가임기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고 위험군을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자궁경부암에 대한 1차 예방을 실시하고, 소아에서는 구강 내 유두종과 피부의 사마귀를 보다 적극적으로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과학적인 근거 제공 및 HPV에 대한 백신 접종 정책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Ⅳ. 참고문헌

1. Kirwan J.M.J, and Herrington C.S. 2001. Human papillomavirus and cervical cancer: where are we now? Br. J. Obstet. Gynaecol. 108:1204-1213.
2. Sigurdsson K., Taddeo F.J., et al. 2007. HPV genotypes in CIN 2-3 lesions and cervical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Int. J. Cancer 121:2682-2687.
3. van der Graaf Y., Nolijn A., et al. 2002. Human papillomavirus and long-term risk of cervical neoplasia. Am. J. Epidemiol. 156:158-164.
4. McDonnell P.J., McDonnell J.M., et al. 1987. Detection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6/11 DNA in conjunctival papillomas by in situ hybridization with radioactive probes. Hum. Pathol. 18:1115-1119.
5. Cason J. 1996. Perinatal acquisition of cervical cancer-associated papillomaviruses. Br. J. Obstet. Gynaecol. 103:853-858.
6. Syrjanen S. and Puranen M. 2000.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s in children: the potential role of maternal transmission. Crit. Rev. Oral. Biol. Med. 11:259-274.
7. Hajek E.F. 1956. Clinical records: contribution to the etiology of laryngeal papilloma in children. J. Laryngol. Otol. 70:166-168.
8. Sedlacek T.V., Lindheim S., et al. 1989. Mechanism for human papillomavirus transmission at birth. Am. J. Obstet. Gynecol. 161:55-59.
9. Brandyopadhyay S., Sen S., et al. 2003.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among Indian mothers and their infants. Asian. Pac. J. Cancer Prev. 4:179-184.
10. Pakarian F., Kell B., et al. 1994. Cancer associated human papillomaviruses: perinatal transmission and persistence. Br. J. Obstet. Gynaecol. 101:514-517.
11. Puranen M., Yliskoski M.H., et al. 1997. Exposure of an infant to cervical human papillomavirus infection of the mother is common. Am. J. Obstet. Gynecol. 176:1039-1045.
12. Smith E.M., Ritchie J.M., et al. 2004. Human papillomavirus prevalence and types in newborns and parents. Sex. Transm. Dis. 31:57-62.
13. Tenti P., Xappatore R., et al. 1999. Perinatal transmi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from gravidas with latent infection. Obset. Gynecol. 93:475-478.
14. Tseng C., Liang C., et al. Perinatal transmi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infants: relationship between infectin rate and mode of delivery. Obstet. Gynecol. 91:92-96.
15. Watts D.H., Koutsky L.A., et al. 1998. Low risk of perinatal transmi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Results from a pro spective cohort study. Am. J. Obstet. Gynecol. 178:365-373.
16. Xiaoping W., Qingyi Z., et al. 1998. Maternal-fetal transmi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Chin. Med. J. 11:726-727.
17. Xu S., Liu L., et al. 1998. Clinical observation on vertical transmission of human papillomavirus. Chin. Med. Sci. J. 13:29-31.
18. Purdon M., and Ruddy G. 2003. Pediatric viral skin infections. Clin. Fam. Pract. 5:1-16.
19. Reeves W.C., Ruparelia S.S., et al. 2003. National registry for juvenile-onset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29:976-982.
20. Silverberg MJ., Thorsen P., et al. 2003. Condyloma in pregnancy is strongly predictive of juvenile-onset recurrent respiratory papillomatosis. Obset. Gynecol. 101:645-652.
21. 한국 임신부와 태아의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율과 분만형태에 따른 HPV의 태아 감염율과의 연관성, 2010. 학술연구용역사업 결과보고서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