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11년 전국 예방접종률 조사 결과
  • 작성일2012-06-08
  • 최종수정일2012-08-24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2011년 전국 예방접종률 조사 결과 1)
Routine vaccination coverage of children aged 3 years old in Korea:
Results from the 2011 National immunization survey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이연경             

  


Ⅰ. 들어가는 말
  예방접종(vaccination)은 감염병으로 인한 질병, 장애, 사망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성공적이고 비용-효과적인 보건사업이다. 우리나라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4조, 제24조 등에 따라 12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결핵, B형간염,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폴리오,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일본뇌염, 수두 등 11종 감염병 대상 국가 예방접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2009년부터는 국가 예방접종사업의 보장성을 확대하여 보건소뿐 만 아니라 민간의료기관에서 시행하는 필수예방접종 비용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병 발생 감소나 퇴치를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적정수준 이상의 예방접종률 유지가 필요하며, 지역사회의 예방접종률이 적정수준에 있는지를 평가하고 모니터링 하기 위해 각 국가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예방접종률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정책 및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미국[1]의 경우 1994년부터 19-35개월 유아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전화조사(National Immunization Survey)를 통해 분기별, 지역별로 예방접종률 통계를 산출하고 있고, 호주와 영국은 별도의 조사체 없이 예방접종등록시스템을 활용하여 접종률 통계를 산출하고 있다. 호주[2]는 예방접종등록시스템(Australian Childhood Immunisation Registry; ACIR)을 통해 12개월, 24개월 어린이의 접종률을 산출하고 있고, 영국1)은 예방접종전산시스템(Cover of Vaccination Evaluation Rapidly; COVER)의 자료를 이용하여 1세, 2세, 5세 어린이의 접종률을 산출하며 KC50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에 다니지 않는 13-16세 어린이의 접종률을 산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간 예방접종률 조사는 지역적, 비정기적 조사로만 수행되었을 뿐 전국단위의 지속적인 조사체계를 갖지 못해 근거기반의 정책 수립 등에는 한계를 가져왔다.2) 그러나 2002년 구축된 예방접종기록 전산등록관리 시스템인 ‘예방접종등록정보 관리시스템’을 통해 예방접종 실적을 등록, 관리하고 있으나 과거의 낮은 등록률로 인해 아직까지는 국가 예방접종률 통계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거기반의 사업 목표 설정 및 정책 수립을 위해 체계적인 국가단위의 조사가 지속적으로   요구됨에 따라 2011년 기초예방접종이 완료되는 시점인 만 3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만 2세까지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 글은 2011년 전국 예방접종률 조사 방법 및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몸 말
  1. 조사대상 및 방법
  조사대상 연령은 기초 예방접종이 종료되는 시점(36개월까지) 이후인 만 3세 어린이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예방접종률 산출 대상인 목표모집단은 우리나라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3세(2007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출생자) 어린이 493,452명이 되며, 현실적 어려움으로 질병관리본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Immunization Registry Information System; IRIS)에 등록된 해당 연령의 대상자를 조사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 상 만 3세 어린이의 등록률은 96.2%이었고, 표본추출을 위해 전국을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 16개 지역으로 나누어 최소 표본수를 산출한 다음, 시부와 군부가 섞여 있는 도지역의 경우는 시부와 군부의 인구비율에 맞게 인구비례 할당하여 조사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소 표본수는 5% 정밀도, 95% 신뢰구간, 50% 접종률을 고려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 인구수가 가장 적은 제주도 375명부터 인구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 399명까지 산출되어 최소 표본수를 여유 있게 400명으로 하고, 최종 분석에서 손실되는 비율을 10%로 계산하여 지역별로 440명을 추출하여 총 조사대상자는 7,040명으로 하였다(440명x 16개시도 = 7,040명)(Table 1).
                    

  조사대상 접종은 예방접종 실시 기준 및 방법(보건복지부고시 제2011-77호)에 따라 만 3세 이하   어린이가 접종 받아야 하는 BCG, HepB 1차-3차, DTaP 1차-4차, IPV 1차-3차, MMR 1차, 수두 1차, 일본뇌염 1차-2차 접종으로 하였다. 동 고시에서 권장하는 백신항목이나 접종방법이 다른 접종도 포함하여 BCG 접종은 피내와 경피접종, 일본뇌염은 생백신과 사백신 구분 없이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컴퓨터 전화조사(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방법으로 조사원이 조사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전화를 걸어 접종별 접종여부, 접종일자, 접종기관(보건소, 의료기관), 접종기관이 의료기관인 경우 의료기관 명칭, 의료기관 소재지(시군구까지)를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예방접종수첩을 기본으로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예방접종수첩을 바로 가져오기 어려운 경우 다시 약속을 잡아 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첩이 없는 경우는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조사의 정확도 분석을 위해 89명(1.3%)의 조사대상자에게는 예방접종수첩 사본을 제출받아 전화조사 내용과 비교분석하였으며 전화조사 자료는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의 접종내역과 비교분석하였다. 조사는 2011년 8월 18일부터 2011년 9월 23일까지 수행하였다.
  예방접종별 접종완료율은 마지막 접종차수로 정의하였으며, 시리즈별 완전접종률은 만 2세까지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DTaP 4차, B형간염 3차, MMR 1차, IPV 3차, BCG, 수두 1차, 일본뇌염 2차; 4:3:1:3:1:1:2)을 모두 받은 경우로 정의하였다.
  조사결과는 예방접종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거주지역 변수와 성별을 사용하여 사후층화 보정 가중치를 산출하였으며, 조사자료의 분석은 SAS ver.9.2(SAS Institute Inc.)를 이용하였다.

  2. 조사결과
  전화조사 접촉 성공률은 53.5%(7,040명/13,156명)로 나타났으며, 전화연결 성공률은 23.5%(조사완료 12.6%, 조사거절 9.2%, 조사약속 3) 1.7%), 전화연결 실패율은 76.5%(전화번호 불일치 10.2%, 부재 43.6%, 결번 22.7%)이었다. 전화조사 자료와 예방접종 수첩 사본을 분석한 결과, 두 자료의 일치율은 98.3%이으며, 접종일자 불일치 1.5%, 접종안함 0.2%로 나타나 매우 높은 일치율을 보였다. 다만, 수첩에 기록된 예방접종내역이 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에 등록된 비율은 전체 접종내역의 66.1% 수준으로 다소 낮은 편이었다.
  예방접종률은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접종별·차수별 접종률은 DTaT 4차 접종률(93.5%)을 제외하고는 모두 95% 이상의 접종률을 보였다. 예방접종 횟수가 많은 경우 접종차수가 높을수록 접종률은 낮아졌다. 예방접종별 완료율은 마지막 차수를 접종한 경우 앞 차수도 접종한 것으로 간주하여  마지막 차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BCG가 98.9%로 가장 높았고 DTaP가 93.5%로 가장 낮았다(Table 2). B형간염의 경우 특이하게 2차 접종률이 1차 접종률보다 높았으나 이는 1차 접종이 출생  직후 분만기관에서 이루어짐으로써 기록관리가 미비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WHO는 예방접종 프로그램 성과평가의 기본지표로 생후 12개월까지의 DTaP 3차 접종률을 선정하였으며, 2005년 WHO와 UNICEF가 발표한 예방접종 목표는 2010년까지 모든 국가의 DTaP 3차 접종률이 90%에 도달하는 것이었다. 2010년 말 전 세계 DTaP 3차 접종률이 85% 수준인 것에 반해 국내 접종률은 99.1%로 매우 높았다.
  완전접종률은 만 2세까지 받아야 하는 예방접종(BCG, B형간염 3차, DTaP 4차, IPV 3차, MMR 1차, 수두 1차, 일본뇌염 2차)을 모두 받은 경우로 남자 86,8%, 여자 85.8%로 나타났으며, 지역별로는 인천이 89.0%로 가장 높았다(Table 3). 인천은 2011년부터 전액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는 지역으로 이러한 환경요인이 접종률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의 기존 결과와 비교를 위해 산출한 4:3:1:3:1 시리즈(4 DTaP, 3 IPV, 1 MMR, 3 Hep B, 1 BCG)는 90.4%로 나타났으며, 이는 2005년 신의철 등의 연구결과 77.1%, 2008년 박수경 등[5]의   연구결과 59.5%(방문조사), 68.9%(전화조사) 보다 높았다. 또한, DTaP 4차, IPV 3차, MMR 1차를   모두 접종한 비율은 91.9%로 2008년도 조사결과) 73.2%보다 높았으며(Figure 1), 완전접종률 자료를 공개하고 있는 미국(77.8%)[6]보다는 높으나 호주[7](92.6%)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이다(Figure 2). 
                              
                              


Ⅲ. 맺는 말


  정부는 그동안 감염병 유행을 최소화 하고, 어린자녀를 둔 보호자들의 양육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예방접종 지원정책을 꾸준히 펼쳐왔다. 우선, 접종률 증대에 큰 걸림돌이 되는 비용부담을 낮추기 위해 2009년부터 국가필수예방접종 예산지원을 지속 확대해 올 1월부터 1회 접종 당 본인부담금을 5천원으로 낮추었고(일부지역 무료), 가까운 동네 병의원에서도 지원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정 의료기관을 전국 7천여 곳으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2010년부터는 자녀 예방접종일을 잊어버려 못 받는 일이 없도록 정부에서 일괄 보호자 휴대전화로 알림문자(SMS)를 안내하고 있으며, 예방접종도우미 모바일 앱을 개발하여 온라인과 스마트폰 앱에서도 접종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당초, 목표모집단(주민등록인구)과 조사모집단(예방접종등록관리 정보시스템 등록인구)간에 3.8%의  차이가 있어(Table 1) 조사의 제한점으로 작용하였으나, 2012년부터는 행정안전부의 출생아정보 공유를 통해 목표모집단과 조사모집단이 일치 할 예정으로, 향후 조사 시 현재 사용한 표본설계방법의 지속적인 적용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또한, 2012년부터 예방접종 비용 지원확대에 따라 예방접종 등록률이   지속증가하고 있어, 사업 시행시기인 2012년 출생아가 만 7세가 되는 2019년부터는 별도의 조사체계 없이 보고통계로 예방접종률 모니터링 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1년도 예방접종률 조사결과 개별 백신의 접종완료율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12개월경에  접종이 완료되는 백신의 경우 접종률이 98% 이상이었다(결핵 98.8%, B형 간염 3차 98.7%, 폴리오   3차 98.4%). 그러나 완전접종률은 86.3%에 그쳐 면밀한 대상자 관리를 통해 완전접종률 향상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12개월 이후에 받는 접종은 MMR(1차, 99.2%)을 제외하고는 다소 낮은 접종률을  나타내(DTaP 4차 93.5%, 일본뇌염 2차, 95.9%), 이번 조사에는 포함되지 않은 추가 예방접종률의   경우 더 낮은 접종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에 따라 2012년 조사부터는 만 7세 어린이에   대한 접종 여부도 조사할 계획이며, 지역사회 대상자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2012년 7월부터 전국  보건소에 보급하여 2012년 출생아를 대상으로 선제적인 예방접종관리를 시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다각적인 예방접종 정책을 통해 예방접종률은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며, 아울러 적극적인 지역사회 예방접종 대상자 관리는 적기접종률 향상, 불필요한 중복 접종방지 등 예방접종의 질적인 향상을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

                                                                                                                                                                                          

1) 통계청 승인번호 제01201호(2012년), 본 조사는 충남대학교(연구책임자 이석구)에서 학술연구용역사업으로 수행됨
2) 전국 예방접종률조사, 충남대학교. 질병관리본부. 2011년
3) 조사약속 : 전화가 연결되어 다음에 조사에 참여하기로 일정을 약속하였으나 최종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음

Ⅳ. 참고문헌

1. www.cdc.gov/nis
2. http://ncirs.edu.au/surveillance/coverage/index/php
3. The NHS Information Centre. NHS immunisation statistics England 2009-10, 2010.11.
4. 신의철 등. 국가예방접종률 조사방법 개발 및 예방접종 사업 평가지표 개발. 가톨릭대학교, 질병관리본부, 2005
5. 박수경 등. 전국 예방접종률 조사 및 체계 개발. 서울대학교, 질병관리본부 2009
6. CDC. National and State Vaccination Coverage Among Children Aged 19 - 35 Months - United States, 2010. MMWR, 60(34)1157-1163, 2011
7. Australian childhood immunization register(ACIR) statistics.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