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주간건강과질병
- 작성일2019-05-16
- 최종수정일2023-08-23
- 담당부서미래질병대비과
detail content area
QuickStats: 급성심근경색증 첫 발생연령 및 기대수명의 변화, 2007-2014
- 작성일2018-08-30
- 최종수정일2019-09-10
- 담당부서만성질환예방과
- 연락처043-719-7436
급성심근경색증 첫 발생연령 및 기대수명의 변화, 2007-2014
Transition between average age of the firs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nce and life expectancy in Korea, 2007-2014
[정의] 첫 발생 평균연령 : 특정질환이 처음 발생되는 평균연령
기대수명 : 우리나라 0세의 출생아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0세의 기대여명)
표준연령 : 인구정책기준에 대해 직접 표준화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연령(2007년도 및 2014년도 인구 정책 기준)
우리나라 급성심근경색증 첫 발생 표준연령은 2007년 61.8세에서 2014년 63.7세로 증가(7년 동안 1.9세 증가)하였고, 기대수명은 2007년 79.2세에서 2014년 81.8세로 7년 동안 2.6세 증가하였음(그림 A).
In Korea, average age of the firs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nce slightly increased from 61.8 in 2007 to 63.7 in 2014 (1.9 year increase). Age-standardized life expectancy increased from 79.2 in 2007 to 81.8 in 2014 (2.6 year increase) (Figure A).
Source: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Life expectancy for Korean
2) 2016-2017 Estimating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in Korea, Project of KCDC, Yesei University, Song Vogue Ahn.
Reported by: Division of Chronic Disease Preven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ransition between average age of the firs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nce and life expectancy in Korea, 2007-2014
[정의] 첫 발생 평균연령 : 특정질환이 처음 발생되는 평균연령
기대수명 : 우리나라 0세의 출생아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0세의 기대여명)
표준연령 : 인구정책기준에 대해 직접 표준화방법을 이용하여 산출된 연령(2007년도 및 2014년도 인구 정책 기준)
우리나라 급성심근경색증 첫 발생 표준연령은 2007년 61.8세에서 2014년 63.7세로 증가(7년 동안 1.9세 증가)하였고, 기대수명은 2007년 79.2세에서 2014년 81.8세로 7년 동안 2.6세 증가하였음(그림 A).
In Korea, average age of the first acute myocardial infarction occurrence slightly increased from 61.8 in 2007 to 63.7 in 2014 (1.9 year increase). Age-standardized life expectancy increased from 79.2 in 2007 to 81.8 in 2014 (2.6 year increase) (Figure A).
Source: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Life expectancy for Korean
2) 2016-2017 Estimating the incidence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in Korea, Project of KCDC, Yesei University, Song Vogue Ahn.
Reported by: Division of Chronic Disease Preven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