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웨스트나일열 최초 해외유입사례
  • 작성일2012-10-29
  • 최종수정일2012-10-29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웨스트나일열 최초 해외유입사례
The first imported case of West Nile virus disease in Korea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역학조사과1)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신경계바이러스과2)
박지혁, 권동혁, 윤승기1), 최우영2)


   웨스트나일열(West Nile virus disease)은 1937년 아프리카 우간다 웨스트 나일 지역(West Nile district)에서 최초로 발견된 질병이다.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의 병원소는 새이며, 모기를 매개로 사람에게 전파되는 질환이다. 잠복기는 모기에 물린 후 2-14일이며 사람에서는 대부분 무증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상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독감과 비슷한 증상으로 시작하며, 발열, 두통, 무력감, 근육통, 피로, 피부 발진(주로 등을 포함한 몸통 부위), 림프절병증, 구토, 설사와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발생한다. 이 중 일부(감염자의 1% 미만)에서 중증 신경학적 질환(West Nile neuroinvasive disease)이 발생하며, 웨스트나일열 수막염, 웨스트나일열 뇌염, 급성 이완성 마비로 구분된다[1, 2].
전 세계적으로는 아프리카, 중동, 유럽에서 유행하다가 1990년대 이후 유행의 빈도와 중증도가 증가하였다. 1999년 아메리카 대륙 중 미국에서 최초로 웨스트나일열이 발생한 이후 수년 내에 멕시코, 캐나다, 남부 아메리카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미국에서는 약 12,000여 건이 넘는 웨스트나일열 수막염/뇌염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웨스트나일열은 중증 신경학적 질환이 발생한 사례가 드물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환자수는 이보다 클 것으로 추정된다[3].
국내에서는 웨스트나일열이 2007년 7월 지정전염병으로 고시되었고, 2011년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으며, 이후 의사환자 및 확진환자를 신고 받고 있다. 2012년 9월 26일 질병관리본부에 웨스트나일열 사례가 최초로 보고되었고, 경기도청을 통하여 역학조사를 진행하였다. 환례는 업무상의 이유로 2012년 1월 30일부터 2012년 6월 28일까지 웨스트나일열 토착화 지역인 아프리카 기니(Guinea)에 거주하였다. 해외 거주 당시 5월경 두통, 경부강직 등의 증상이 발생하였고 이후 웨스트나일열 합병증 중 하나인 급성 이완성 마비 등이 발생하였다. 환례는 현지병원에서 치료받던 중 2012년 6월 28일 귀국하여 국내의 한 대학병원에 입원하였다.
환자로부터 12일 간격으로 채혈을 실시한 후 검체를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 의뢰하여 웨스트나일열 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 및 2차 검체에 대한 효소결합면역흡착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결과 IgM 음성, IgG 양성이었으며, 플라크감소중화시험법(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PRNT)에서 중화항체가가 4배 이상 상승하여 확진환자로 진단받았다. 웨스트나일열과 교차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으로는 같은 플라비바이러스 속(Flavivirus genus)에 속하는 뎅기열, 일본뇌염이 존재한다[4]. 검사 결과 뎅기열에 대해서는 음성이었으며, 일본뇌염 플라크감소중화시험에서는 백신접종에 의해 중화항체가 존재하였으나 항체 양전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번 사례는 임상증상이 웨스트나일열과 부합하며 검사 결과 웨스트나일열 양성으로 웨스트나일열 확진환자로 최초로 확인된 사례이며, 해외에서 유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는 웨스트나일열 매개모기인 빨간집모기, 금빛숲모기 등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웨스트나일열에 안전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아프리카 국가보다 우리나라와 교류가 빈번한 미국에서 웨스트나일열이 대규모로 유행하고 있기 때문에 추가로 웨스트나일열 사례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최근 미국을 방문한 사람들의 웨스트나일열 검역을 강화하였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감시와 관리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1. Mandell GL, Bennett JE, Dolin R. Principles and practice of infectious diseases. Sixth edition. Elservier, 2004.
2. Kramer LD, Li J, Shi PY. West Nile virus. Lancet Neurol 2007;6(2):171-181.
3. Murray KO, Mertens E, Desprès E. West Nile virus and its emergenc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et Res 2010;41(60):41-67.
4. Solomon T, Ooi MH, Beasley DWC, Mallewa M. West Nile encephalitis. BMJ 2003;326(7394):865-869.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