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2009년 국내 임파성 사상충증 퇴치 후 매개모기 조사연구
  • 작성일2012-11-02
  • 최종수정일2012-11-0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9

2009년 국내 임파성 사상충증 퇴치 후 매개모기 조사연구

Vector surveillance after elimin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in the Republic of Korea, 2009

국립보건연구원 면역병리센터 말라리아기생충과
전형일


Ⅰ. 들어가는 말 

  임파성 사상충증은 Wucherea bancrofti(W. bancrofti), Brugia malayi(B. malayi) 및 Brugia timori( B. timori) 등의 선충류 기생충에 의해 감염되는 기생충증이다. 전 세계적으로 약 13억명 이상이 감염취약지역에 살고 있고, 약 1억명 이상이 감염되어 있으며 이들 중 약 90%이상이 W. bancrofti, 그리고 10%가량이 B. malayi에 감염된다[1, 2]. 한국에서의 임파성 사상충증의 첫 감염증례는 1927년에 보고되었고[3], 국내에서는 수종다리, 피내림, 피종 또는 각몸살로 불리며, 남부 해안지역과 제주도를 비롯하여 내륙지역에서 감염예가 보고되었다[4-6]. 특히 경상북도 내륙지역인 영주지역에서는 1970년대 초까지 평균 12%(5.5-18.0%)의 감염률을 보였으며, 1970년대 초반까지 제주도는 25% 그리고 1990년대 중반까지 전라남도 신안군은 22%까지 높은 감염률이 보고되었으나 정부와 학계의 지속적인 조사와 치료제(Diethylcarbamazine, 6mg/kg/day, 6일간) 투약사업과 유행지역의 모기장설치, 환경개선 등에 힘입어 2008년 한국의 사상충증 퇴치가 확인되었고, 질병관리본부에서는 2008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로부터 한국의 사상충증 퇴치인증을 받았다[7-13].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전체 모기종은 약 9종 즉, Anopheles, Culex, Ochletotatus(formerly known as Aedes), Armigeres, Mansonia, Heizmannia, Tripteroides, Culisera 및 Tozorhynchites로 알려져 있으나[14], 이들 중 국내에서 사상충을 매개하는 모기종은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Ochletotatus togoi와 Anopheles sinensis sensu stricto로 알려져 있다[15, 16]. 우리나라는 WHO로부터 임파성 사상충증 퇴치 인증을 받았다 하나, 사상충증 유행지역의 해외여행의 증대로 인한 해외유입으로 잠재적인 재유행의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매개모기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과거 유행지역을 중심으로 매개모기 밀도와 분포를 관찰하고, 매개모기로부터 사상충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Ⅱ. 몸 말

  조사지역으로는 과거 사상충증 유행지역인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 사리, 여수시 거문도 거문리, 완도군 보길도 백도리, 경상남도 통영시 매물도 매죽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위미리와 남원리를 조사하였다. 모기채집은 유문등을 이용하여 2회/주 저녁 7시부터 다음날 새벽 6시까지 채집하였다. 채집된 모기 중 Anopheles와 Ochletotatus 종을 동정하여 사상충에 감염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한 사상충 유전자를 검사하였다[17]. 
   흑산도 사리에서는 총 149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4속 6종으로 Och. togoi(62.4%)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Cx. pipiens(16.8%), Armigeres subalbatus(13.4%), Cx. tritaeniorhynchus(6%), Culex bitaenihynchus(0.7%), An. (Hyrcanus) group(0.7%) 순으로 채집되었으나(Table 1), 사상충매개모기인 Och. togoi와 An. (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은 검출되지 않았다.
  보길도 백도리에서는 총 3,097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7속 12종으로 Och. togoi(84.1%)가 가장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An. (Hyrcanus) Group(5.3%), Cx. tritaeniorhynchus(4.1%), Arm. subalbatus(2.5%), Cx. pipiens(1.3%), Och. dorselis(1.1%), An. sinensis(1.0%), Coh. ochracea(0.3%), Och. nipponicus(0.1%), Och. vexans(0.03%), Lutrie. vorax(0.03%) 순으로 채집되었다. Och. togoi의 모기채집개수가 5월에서 6월로 넘어오면서 급격하게 증가되었고, 여름(6-9월) 내내 높은 수치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지만 Och. togoi와 An. (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 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Table 2).
  거문도 거문리에서는 총 376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5속 8종으로 Cx. pipiens(45.2%) 가 가장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Och. togoi(42%), Arm. subalbatus(6.4%), Cx. tritaenior(4.8%), Och. albopictus(0.8%), Cx. inatomi(0.3%), Och. koreicus(0.3%), Lutrie. vorax(0.3%)순으로 채집되었다(Table 3). 하지만 Och. togoi와 An. (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매물도 매죽리에서는 총 1,213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4속 7종으로 Och. togoi(84.9%)가 가장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Arm. subalbatus(12%), Cx. pipiens(2.1%), Cx. tritaenior(0.5%), Och. albopictus(0.3%), Och. koreicus(0.2%), Cx. bitaenior(0.1%) 순으로 채집되었다. Och. togoi가 5월에서 6월로 넘어오면서 채집량이 급격하게 늘어났으며, 9월에서 10월로 넘어 오면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Table 4). Och. togoi와 An. (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서귀포시 남원리에서는 총 247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2속 4종으로 Cx. pipiens(81.8%) 가 가장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Och. togoi(13%), Cx. tritaenior(4.9%), Cx. mineficus(0.4%) 순으로 채집되었다(Table 5). 하지만 Och. togoi와 An. (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서귀포시 위미리에서는 총 298마리의 모기가 채집되었다. 4속 5종으로 Cx. pipiens(77.9%)가 가장 빈번하게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Och. togoi(15.8%), Cx. tritaenior(5.4%), Arm. subalbatus(0.7%), Och. albopictus(0.3%) 순으로 채집되었으며(Table 6), Och. togoi와 An.(Hyrcanus) group에서 사상충 유전자는 발견되지 않았다(Table 6).


Ⅲ. 맺는 말

  2009년 우리나라 매개모기 분포조사 결과, Och. togoi는 매물도, 보길도, 흑산도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채집되었는데, 거문도와 제주도의 남원리, 위미리에서는 Cx. pipiens가 주로 많이 채집되었다. 이것은 2002년부터 2005년도까지 시행 된 모기밀도조사에서와 같은 결과를 나타냈으며[18], 거문도와 제주도는 Cx. pipiens가 우점종인 모기종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전의 보고에 의하면 제주도에서 Och. togoi로부터 B. malayi 자연감염 유충이 발견되어 임파성 사상충증의 매개체라는 것이 보고되었으나[19-21], 내륙지방인 영주지역에서는 Och. togoi와 An. sinensis 모두 lymphatic filariasis에 대하여 감수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 본 연구에서 An. (Hyrcanus) group의 경우, 조사된 다른 지역에 비하여 완도군 보길도 백도리에서 Och. togoi 다음으로 많은 비율로 채집되었다. 또한 모기 유충은 염도 및 온도에 민감하여 낮은 염도, 온도 상승 그리고 장마이후에 증가한다는 보고[22]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금번 조사된 전 지역에서 6월에 개체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7-9월까지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며 10월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금번 조사연구에서는 과거 임파성 사상충증 유행지역인 6개 도서 섬 지역을 중점적으로 사상충 매개모기를 조사하였고 사상충 유전자 검사를 수행한 결과, 모두 음성 결과를 얻었으며, 이결과로 국내에서는 임파성 사상충증의 유행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상충증의 잠복기가 4-10년인 것을 고려해 볼 때, 사상충증 발병지역인 서태평양, 동남아시아, 아프리카지역 등지로의 여행증가, 물품교역 등을 통해 사상충증 환자가 재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매개체 예방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매개모기 감시와 검역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Ⅳ. 참고문헌

1. Michael E, Bundy DA & Grenfell BT. Re-assessing the global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lymphatic filariasis. Parasitology 1996;112:409-28.
2. World Health Organization. Lymphatic filariasis. Weekly Epidemiological Record 2003; 78:169-80.
3. Yun IS. Elephantiasis due to filaria in Korea. Chosen iggakai Zasshi. 1927; 76:326-34.
4. Seo BS. Studies on filariasis in Korea : Status survey and chemotherapy in Cheju Do. Seoul J. Med. 1976;17:83-95.
5. Senoo T. and Lincicome DR. Malayan filariasis. Incidence and distribution in Southern Korea. U.S. Armed Forces Med. Jour. 1951;2:1483-89.
6. Lee KT, Kim SH, Kong TH, Song JS. Malayan filariasis. 2nd report: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on filariasis due to Brugia malayi in the residents of southern Cheju-Do island. J Korean Med Assoc 1964;7:657-64.
7. Kim DC, Lee OY, Lee KW. Epidemiology of malayan filariasis of inland Korea. 1. Endemicity of filariasis malayi in Yongju area. Yonsei Rep Trop Med 1977;8:9-22.
8. Kim DC. Lee OY, Lee KW. Epidemiology of malayan filariasis of inland korea.(Ⅱ). Vector finding and transmission of Brugia malayi in Yongju area. Yinsei Rep Trop Med 1977;8:23-32.
9. Lee JS, Kim TS, Lee WJ, In TS, Kim H, Lee OY, Kim DC. Epidemiology of malayan filariasis of inland korea(Ⅲ). Report of NIH Korea 1992;29:114-22.
10. Lee OY, Lee JS, Son SC, Yong TS, Kim DC, Kim JB, Lee SS. Epidemiological studies on filariasis malayi on Cheju Do and the southern islands. Report NIH Korea 1986;23:407-22.
11. Chai JY, Lee SH, Choi SY, Lee JS, Yong TS, Park KJ, Yang KA, Lee KH, Park MJ, Park HR, Kim MJ, Rim HJ. 2003. A survey of Brugia malayi infection on the Heyksan island, Korea. Korean J Parasitol 41:69-73.
12. Cheun HI, Lee JS, Cho SH, Kong Y, Kim TS. Elimination of lymphatic filariasis in the Republic of Korea: an epidemiological survey of formerly endemic areas, 2002-2006. Trop Med Int Health 2009;14:445-49.
13. Cheun HI, Cho SH, Lee JS, Chai JY, Lee JS, Lee JK, KIM TS. Successful Control of Lymphatic Filariasi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Parasitol. 2009;4:323-35.
14. Ree HI. Medical Entomology. Seoul, Korea. Komoon Sa. 1978;p1-294.
15. Kim JS, Lee WY, Chun SL. Ecology of filariasis on Cheju Island. Korean J Parasitol 1973;11:33-53.
16. Kim DC. Epidemiological studies of filariasis in inland Korea. 4. Vector determination of filariasis malayi in Yongju Area. Abstracts of the 16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Parasitology 1974.
17. Mishra K, Kumar Raj D, Dash AP, Hazra RK. Combined detection of Brugia malayi and Wuchereria bancrofti using single PCR. ACTA Tropica 2005;93:233-37.
18. Lee WY. A study on Aedes togoi as vector of filariasis in Cheju Island. Korean J Parasitol 1969;7:153-159.
19. Chun SR. A preliminary survey of mosquitoes of Cheju do related to filariasis, on the species, biology and infection status. Korean J Public Health 1968;5:113-21.
20. Wada Y, Katamine D, Oh MY. Studies on malayan filariasis in Cheju Island, Korea. 2. Vector mosquitoes of malayan filariasis. Jpn J Trop Med Hyg 1973;1:197-210.
21. Seo BS. The periodicity of microfilariae of Brugia malayi in Cheju Island, Korea. Korean J Parasitol 1974; 12: 95-100.
22. Cheun HI, Cho SH, Lee HI, Shin EH, Lee JS, Kim TS, Lee WJ,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Including Vectors of Brugian Filariasis, in Southern lslands of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Parasitol. 2011;1:59-64.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