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예방접종 전자 예진표 기능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결과
  • 작성일2013-02-01
  • 최종수정일2013-02-01
  • 담당부서질병관리본부
  • 연락처043-719-7164
예방접종 전자 예진표 기능 개발 및 시범사업 추진 결과
Pilot project for application of electronic immunization screening questionnaire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예방접종관리과
김은성 신재경


  예방접종을 시행하는 의료인은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하여 예방접종 전에 접종대상자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예방접종 금기 및 주의사항이 있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접종대상자 또는 보호자(접종대상자)로 하여금 ‘예방접종 사전 예진표(예진표)’를 작성하도록 권유하고[1], 작성한 예진표는 10년간 보존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매년 영유아 및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약 2,000만 건 이상 실시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동안 예진표는 종이형태로 작성 및 보존되었는데 10년 동안 장기보존 해야 함에 따른 보관장소 부족과 필요시 과거 예진내역을 손쉽게 찾기 어렵다는 불편사항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예진표를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예진표를 전자문서로 작성 및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개발· 보급하고자 하였다. 

  ▷ 예진업무 현황 파악: 예진표는 접종대상자 인적사항, 접종대상자 확인 설문 10문항, 예진결과, 접종대상자 및 예진의사 확인서명으로 구성되는데 전자 예진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접종기관별로 예진표 작성에 대한 업무흐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대부분의 접종기관에서는 접종대상자가 예진표를 작성하고, 예진의사가 작성된 예진표 내용 확인을 통해 특이사항 유무 파악과 예방접종 전·후 주의사항을 안내한 후 접종대상자로 하여금 접종동의 서명을 받고 있었다. 작성된 예진표는 종이문서로 보관하거나 일부 접종기관의 경우 종이문서를 스캔하여 보관하고 있었고, 과거 예진내역 확인이 필요할 경우에는 접종일자 별로 종이문서 또는 스캔하여 저장된 파일을 개별적으로 확인하고 있었다.
  ▷ 전산시스템 현황 파악: 예진업무 흐름을 바탕으로 예진표를 전산으로 작성, 보관 및 관리를 위해 접종기관별로 개발이 필요한 요소를 파악하였다. 보건소의 경우 한국보건의료정보개발원의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Public Health Information System, PHIS)을 통해 예방접종 기록을 관리하고 있었고, 민간 의료기관은 질병관리본부의 예방접종등록 정보시스템(Immunization Registry, IR)을 이용하여 예방접종 기록을 관리하고 있었다. 보건소 시스템은 예진표를 전자문서로 작성 및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은 있었지만 접종대상자의 서명을 등록하는 기능이 없어 해당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민간 의료기관은 예진결과를 전산으로 등록할 수 있는 기능 자체가 없어 예진표 작성, 보관 및 조회를 위한 모든 기능을 새롭게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 전자 예진표 기능 개발: 전자 예진표는 기존에 접종대상자가 종이로 작성하였던 예진표를 예진의사가 예진과 동시에 예진내용을 전산시스템에 등록하고, 서명패드를 이용하여 접종대상자 및 예진의사의 서명을 등록·저장하는 방향으로 개발하였다(Figure 1).

  접종기관별로 예방접종 업무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전산시스템이 다르기 때문에 보건소용과 민간 의료기관용으로 전자 예진표를 분리하여 개발하였으며, 보건소용은 기존 PHIS의 예진표 작성기능에 전자서명을 등록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완하였다. 민간 의료기관용은 예진표 등록·조회 및 전자서명 기능을 개발하여 예방접종등록 정보시스템에 추가하였다.
  ‘접종대상자 인적정보’는 전산시스템에 기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자동으로 불러오도록 하였고, ‘접종 대상자 확인사항’은 기존의 종이 예진표와 동일하게 예방접종 금기 및 주의 대상자 확인을 위한 설문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해당 문항에 대한 답변은 기본적으로 ‘아니오’로 설정하여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답변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의사 예진결과에는 이상반응에 대한 설명여부를 체크하고 문진결과를 입력하도록 하였다. 전자 예진표 작성이 완료되면 접종대상자가 서명패드를 이용하여 접종동의 서명을 하고, 예진의사 확인서명은 사전에 전산시스템에 저장한 서명파일이 자동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Figure 2). 이렇게 저장된 예진표는 인적정보를 바탕으로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시범사업 추진결과: 전자 예진표를 전국적으로 상용화하기 이전에 동 기능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접종기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일부 보건소 및 보건지소, 민간 의료기관을 대상으로(총 9개 기관) 시범사업을 실시하였다. 시범사업은 2012년 8월 1일부터 10월 1일까지 2개월 동안 진행하였으며, 전자 예진표 사용 시 기본 업무 흐름(Figure 1)에 따라 예진표 작성 및 예진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시범사업 실시 전에 질병관리본부에서 사업지침을 전달하고 전자서명을 위해 사용되는 서명패드를 지원하였다. 시범사업 종료 후에는 시스템 보완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업 수행 결과 보건소 및 보건지소의 전자 예진표 평균 사용률은 각각 81.2%, 88.5%였으며, 1-2주 정도의 적응기 이후에는 전자 예진표 사용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민간 의료기관의 경우 평균 사용률이 12.3%로 보건소보다 낮았다(Table 1). 이러한 차이는 접종기관별로 예방접종 업무 방식에 차이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건소의 경우 예방접종실에서 예방접종 업무만 전담하는 상황이지만 민간 의료기관은 소아과 진료와 예방접종 업무를 함께하면서 짧은 시간 동안 다수의 환자를 진료해야 하므로 기존 종이 예진표 방식과 비교하여 조회, 확인, 서명의 절차가 추가되는 것이 번거롭게 여겨져 사용률이 낮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시범사업 참여기관 모두 전자 예진표 사용으로 예진표 보관의 편의성은 있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접종기관 내 접종대상자가 많을 경우 기존의 종이 예진표 방식과 비교하여 사용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고, 전산 프로그램 및 서명패드 오류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접종기관별로 전자 예진표 시행여부를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동 기능을 사용할 의향이 있는 접종기관을 적극 지원하는 것으로 사업 운영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예진표를 전산으로 입력하는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향후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범사업을 통해 확인된 전산 프로그램 및 서명패드 오류는 수정·보완을 완료하였고, 2013년도 2월 1일부터 전국의 접종기관에서 자율적으로 전자 예진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예진표는 안전한 예방접종을 위하여 예방접종 전에 반드시 작성해야 하며, 특히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발생 시 접종과정의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일정기간 동안 보존이 필요하다[2]. 이번에 개발된 전자 예진표는 장기간 예진표를 보관하는데 편의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과거 예진내역을 손쉽게 검색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예진표를 인쇄하는데 소요되는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동 기능 사용을 통해 예진표 보관 및 관리에 따른 접종기관에서의 불편사항이 조금이나마 해소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예진의사가 예진과 동시에 예진내용을 전산시스템에 등록하고 접종동의에 대한 서명을 저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기존의 종이 예진표 방식과 비교하여 의사의 업무 부담이 일부 늘어나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향후 예진의사가 전산으로 확인 및 체크할 사항을 좀 더 간소화는 방향으로 기능을 보완하면서 예진표 보관과 적정 보존기간에 대한 법적근거를 마련하여 예진표를 효율적으로 사용 및 관리할 수 있는 여건을 지속적으로 조성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1. 예방접종의 실시기준 및 방법(보건복지부 고시 제2011-77호).
2.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의 역학과 관리. 2011.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