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민건강영양조사 HDL콜레스테롤 추이비교방안(2008-2012)
  • 작성일2014-05-08
  • 최종수정일2014-05-08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66
국민건강영양조사 HDL콜레스테롤 추이비교방안(2008-2012)
Development of Trend analysis methods for HDL cholesterol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2008-2012)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노 선 진

Ⅰ. 들어가는 말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건강증진법 제16조에 근거하여 1998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전국규모 조사로서 2007년부터 매년 만 1세이상 약 10,000명을 대상으로 검진 및 건강설문, 영양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본 조사를 통하여 산출된 지표는 국가 단위의 대표성 있는 통계자료로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목표설정 및 평가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제기구에 제공되고 있다.
검진조사 항목 중 혈액 및 소변검사(이하 진단의학검사) 결과는 당뇨병, 이상지혈증, 만성신부전 등 주요 만성질환 유병수준을 파악하는 근거 자료로 쓰이기 때문에 결과의 정확성 및 재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질병관리본부는 2008년부터 대한진단검사의학회와 협력협정(M.O.U)을 체결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검사수행 인력 전문성 및 숙련도, 분석 방법, 시설 및 장비, 시약, 검사실 운영시스템, 내-외부 정도관리시스템, 검사수행지침서 등)에 대한 질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검사수행기관의 현장실사를 통해 내·외부정도관리를 평가하고, 동일 검체 이중검사, 주기별 정도관리, 측정소급성(Traceability) 평가를 통해 측정한 자료의 질을 관리하고 있다.

심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인 이상지혈증을 평가하는 항목은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4종이며, 매년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에서 운영하는 지질 표준검사실의 참값과 검사수행기관 측정값의 차이를 평가하여 측정소급성을 관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DL콜레스테롤 측정은 일관성 유지가 어려운 점이 발견되어 2013년 정책연구용역사업을 통해 연도별 추이비교 및 통합 방안을 결과보고서로 발간하였고 그 내용을 요약하여 기술하였다[1].

Ⅱ. 몸말

국민건강영양조사 HDL콜레스테롤 원자료를 NCEP-ATPⅢ 진단기준에 근거하여 만 30세이상 및 공복시간 8시간 이상인자만 분석에 포함하여 2008-2012년 HDL콜레스테롤 평균 및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Figure 1과 같이 2008년부터 2011년까지 HDL콜레스테롤 평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2년에 감소하였으며, 감소폭은 2011년과 2012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이러한 결과는 인구집단의 HDL콜레스테롤 변화에 의한 결과로 해석될 여지가 있으므로 연도별 측정값의 일관성 유지여부를 확인하였다.

2008-2012년 HDL콜레스테롤 원자료에 대한 정확도 평가를 위하여 그간 검사수행기관에서 실시한 내․외부정도관리 결과를 분석하였다. 내부정도관리에 속하는 정도관리물질 측정 및 Westgard rules 적용과 시약 및 교정물질 변경에 따른 비교평가는 적절하였다. 외부정도관리로는 미국병리학회(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CAP) 지질정확도평가(Accuracy based lipid, ABL)와 미국 CDC 지질 표준화 프로그램(Lipid standard program, LSP)에 참여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Figure 2와 같이 2008-2009년에는 참값대비 7-9% 높게 측정되었으나 2010년부터 오차범위가 좁아져 2012년은 2-3% 수준으로 참값에 가까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연도별 변화추이와 변화폭을 확인하기 위하여 2008-2012년 질관리 보관검체 각 160건(총 800검체)을 다양한 농도로 무작위 선정하여 2013년 10월에 2회 반복(Duplicate)으로 재측정하여 기존 측정값과의 수준 차이를 확인하였다. 2008-2011년은 재측정 및 원자료 평균간의 차이가 0.17-0.84 mg/dL로 그 차이가 비교적 적어 일관성이 유지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나, 2012년은 2.73 mg/dL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igure 3) 분석장비, 시약, 검사방법 등 관련 요인을 검토한 결과, 시약의 제조사가 교정물질(Calibrator) 값 결정법을 변경한 것이 변동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2]. 시약 제조사는 2011년까지 사내표준측정조작법에 의한 자체검사로 교정물질 값을 결정하였으나, 2012년부터 일본 표준검사실인 ReCCS에서 측정한 값으로 변경함에 따라 2012년부터 검사수행기관에서 측정한 HDL콜레스테롤 결과가 이전 년도와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HDL콜레스테롤 추이비교를 위하여 변경 시점을 기준으로 두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각 원자료를 보정하였다.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rt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에서도 검사방법 변경에 따라 결과값의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아 추이비교가 어렵다고 판단된 경우 동일검체에 대한 표준분석방법으로 얻은 참값에 근거하여 전환식을 도출하여 보정한 사례가 있었다[3, 4].

2008-2011년 기간에 적용할 전환식 산출을 위해 2009년 미국 CDC 표준검사실에서 측정한(ID-GC/MS) 참값을 이용하였다. CLSI 37-A 가이드라인에 따라 제작한 Commutable frozen serum 33검체에 대해 미국 CDC와 검사수행기관에서 동시에 측정한 값을 Passing-Bablock regression으로 분석하여 전환식 1[전환식적용HDL = 0.872×원자료HDL + 2.460]을 도출하였다(Figure 4-1). 전환식 1을 적용한 해당연도 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발간되는「국민건강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2년 결과는 2008-2011년 대비 참값과 오차 범위가 감소하여 새로운 전환식이 필요하였으므로 2013년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한 Commutable frozen serum 20검체를 미국 CDC 표준검사실로 보내 측정한(Abell-Kendall) 참값을 이용하여 전환식 2[전환식적용HDL = 0.952×원자료HDL + 1.096]를 도출하였으며(Figure 4-2), 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HDL콜레스테롤 전환식을 적용하여 2008-2012년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 산출 시 추이 비교가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유병률 결정기준인 40 mg/dL에서는 미국 NCEP에서 제시하는 부정확도 허용치인 2 mg/dL의 변동만으로도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5-7%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5] 이러한 오차 범위를 고려하여 연도별 변동성에 대한 결과 해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Ⅲ. 맺는 말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학검사 항목 중 HDL콜레스테롤 추이 비교 시 측정소급성 평가를 통하여 도출된 전환식을 적용할 것을 권고한다. 그러나 HDL콜레스테롤 값의 엄격한 질관리 기준을 충족(유병률 결정기준인 40 mg/dL에서 참값 대비 오차 2 mg/dL이내)하더라도 저HDL콜레스테롤 유병률은 연간 5-7% 변동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유의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국외 표준검사실을 이용하여 측정소급성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나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고 측정결과 확인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참값대비 오차가 발생한 경우 질 관리 및 문제점 개선이 늦어지고 또 다른 변동 요인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질병관리본부 내 표준검사실 인증 절차가 진행 중으로 향후 측정소급성 평가 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국내 표준검사실 구축 전까지 재현성 확보를 통한 결과 값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검사수행기관 질 관리를 더 엄격히 실시할 계획이다.

Ⅳ. 참고문헌


1. 윤여민. 2013.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질검사결과 추이비교방안 개발.
2. 김정호. 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진단의학검사 수행기관 질 관리 및 주요항목 측정소급성(traceability)조사.
3. Elizabeth Selvin et al. 2007. Calibration of Serum Creatinine in the National Hela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NHANES) 1988-1994, 1999-2004. American Journal Kidney Disease. 50(6):918-926.
4. http://www.cdc.gov/nchs/data/nhanes/nhanes3/VitaminD_analyticnote.pdf
5. Hiram Beltran-Sanchez et al. 2013.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Adult U.S. Population, 1999–2010. Journal of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62(8):697-703.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