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프로그램 소개
  • 작성일2014-11-06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66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프로그램 소개
Introduction of Standard Training Program for CPR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질환관리과
최정아

Abstract

Rapid response at the scene, such as immediate CPR and call 119, is critical for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sudden cardiac arrest. In particular, the average survival rate was 2-3 times higher when the witness performed CPR. Thus, KCDC developed 4 levels of standard training program for CPR to improve bystander CPR and enable high-quality education in various institutions.


  급성심장정지(Sudden Cardiac Arrest)는 예기치 못하게 갑자기 심장박동이 멈춘 상태로, 4-6분 이상이 경과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므로 신속한 응급처치와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응급처치가 지연될 경우 환자는 소생되더라도 뇌기능이 회복되지 못하거나,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여 타인에게 의존하는 삶을 살게 되는 경우가 많아 장기적 의료비 상승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으로 직결된다. 이로 인해 선진국에서는 일찍부터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심장정지에 대해 초기 대응체계를 구축하여 생존율 향상과 후유장애 예방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급성심장정지 생존율을 높이려면 이를 목격한 사람이 심장정지를 확인하여 119에 신고하고, 멈춰있는 환자의 심장을 대신하여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하는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한다. 이렇게 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의 생존율과 그렇지 않은 경우의 생존율은 평균 2-3배 차이가 있으나[1], 우리나라의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012년 6.5%로 미국(CARES) 33.3%[2], 일본 34.8%[3]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시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교육 대상에 따라 맞춤형 교육 내용과 시간을 배정한 심폐소생술 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4]. 심폐소생술에 대한 국민 인지도와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가장 높은 스웨덴(2007년 55%)은 1983년부터 스웨덴 심장학회(Sweden Society of Cardiology)에서 국가적인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1997년부터는 학교과정과 자동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 교육과정 등을 추가로 도입하여 교육대상군에 따른 개별교육(“Life-saving first aid in schools”, “Life-saving first aid for children”, “AED Course”)을 진행하고 있다[5]. 우리나라도 심폐소생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다수의 기관에서 자체 개발하거나 외국의 교육프로그램을 번역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신청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강사의 지식수준, 교육시간, 기자재 및 방법이 서로 달라 교육의 일관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심폐소생술 지침은 매 5년마다 개정되는데, 주로 대학이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사들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보급되어 대다수의 국민들은 새로운 지식을 접하고 추가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양질의 교육을 시행하려면 더 많은 노력과 더 긴 시간을 들여 교육을 해야 한다는 교육학적 일반 원칙에도 불구하고, 여러 심폐소생술 교육기관 및 강사들은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과정이 사회 전반에 확산되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로 3시간이 넘는 긴 교육시간으로 인해 생업에 바쁜 일반 시민들이 참여하기를 꺼려하는 성향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질병관리본부는 이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여러 기관에서도 일정한 수준의 심폐소생술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프로그램’을 기초 및 심화 단계별 각 2개씩 총 4단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프로그램 동영상과 함께 강사용 교육 운영 지침과 슬라이드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짧은 시간 안에 체계적인 교육이 가능하도록 대상자에 따른 교육시간 배정을 배정하고,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숙련된 강사가 시범을 보인 후 실습하는 ‘보고 따라하기 방식(Practice While Watching, PWW)’의 동영상으로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각 단계별 부여된 시간 및 준비사항이 정해져 있어 체계적인 교육진행이 가능하며, 심폐소생술 시행의 큰 저해요인인 구강 대 구강(Mouth-to-Mouth) 인공호흡을 제외한 가슴압박 소생술(Hands only CPR) 만으로 심폐소생술 시행률 향상을 도모하는 한편,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처치 시행으로 사상 피해 발생 시 응급처치를 시행한 일반인의 법적 책임에 대한 면책 기준인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을 설명하고 있다. 일명 ‘선한 사마리안 법’으로 알려져 있는 이 법령은 2008년 제정되었으나 국민의 20.5%만이 알고 있어 목격자 심폐소생술의 주요한 저해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심폐소생술 표준 교육프로그램은 보건복지부(www.mw.go.kr) 및 질병관리본부(www.kdca.go.kr) 온라인 홈페이지(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방식으로 무료 제공된다. 앞으로도 질병관리본부는 일관성 있는 심폐소생술 교육 및 확산을 위하여 홍보용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2015년부터 배포할 계획이다. 이를 토대로 우리 국민들의 심폐소생술 시행 역량이 강화되어 목격자 심폐소생술 시행과 그에 따른 생존율 증가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참고문헌>

1. Sasson C, Rogers MA, Dahl J, Kellermann AL. 2010. Predictors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irc Cardiovasc Qual Outcomes. 3:63-81.
2. MMWR.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Surveillance-Cardiac Arrest Registry to Enhance Survival (CARES), United States, October 1, 2005-December 31, 2010. 2011.
3. Mashiko K, Otsuka T, Shimazaki S, et al. 2002. An outcome study of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using Utstein template - a Japanese experience. Resuscitation.
4. Chamberlain DA, Hazinski MF, 2003. European Resuscitation Council, et al. Education in resuscitation. Resuscitation. 59(1):11-43.
5. Stromsoe A. et al. 2010. Education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Sweden and its clinical consequences. Resuscitation. 81:211-6.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