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국내 시판 담배 내 캡슐성분 분석 결과
  • 작성일2017-02-02
  • 최종수정일2017-02-02
  • 담당부서호흡기·알레르기질환과
  • 연락처041-850-8811
국내 시판 담배 내 캡슐성분 분석 결과

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신호상*
질병관리본부 생명의과학센터 호흡기·알레르기질환과
이광수
*교신저자: hshin@kongju.ac.kr / 041-850-8811

Abstract

Analysis of the Capsule Ingredients in Flavor Capsule Cigarettes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hin Ho-sang
Division of Allergy and Chronic Respiratory Diseases, Center for Biomedical Science, CDC
Lee Kwang-soo

Flavor capsule cigarettes are variants of flavored cigarettes. Recently, there has been a surge in sales volume among young people, and it has become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tobacco regulation. To support the policy of smoking cessation, we have analyzed the capsule ingredients found in flavor capsule cigarettes. As of September 2016, there were 29 capsule cigarettes sold in Korea, and each cigarette contained one capsule of 33 different capsules.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we have perform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capsules’ ingredients. A total of 128 ingredients from 33 capsules were detected, and there were 15 common ingredients detected in all the capsules. Most of these identified ingredients were flavorings used as cosmetic and food additives. This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the regulation of flavorings in tobacco products.


캡슐담배는 가향담배의 일종으로 필터에 멘톨 등의 향 성분을 포함한 캡슐을 가지고 있어, 흡연자가 원하는 순간 캡슐을 터뜨려 향을 맛볼 수 있는 담배이다[1]. 우리나라에서는 멘톨(박하)향, 과일향, 커피향 등 다양한 캡슐담배가 판매되고 있으며, 젊은 연령층에서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캡슐담배는 국가 금연정책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18년까지 담배제품에 사용되는 가향물질에 대한 규제 계획 마련을 발표한 바 있으며[2],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가향물질 규제 정책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담배 내 캡슐에 사용되고 있는 가향성분의 현황 조사를 수행하였다.
2016년 9월 현재 국내에서 총 29종의 캡슐담배가 판매되고 있으며, 캡슐의 종류는 33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캡슐담배 한 개비에는 캡슐 한 개가 들어 있었으며, 캡슐 한 개의 평균무게는 17.7±3.8 mg 이었다. 캡슐 내 성분분석을 위하여 담배 필터 내에 위치한 캡슐만 분리하였고, 휘발성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용매로 사용한 메탄올에 캡슐을 넣고 터뜨렸으며, 메탄올에 녹인 성분들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GC-MS)로 직접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정성분석은 SCAN 모드에서 Total Ion Chromatogram(TIC) 분석을 진행하였고, 분석 프로그램에 탑재된 Agilent MassHunter Qualitative Analysis를 이용하였다.
캡슐 성분에 대한 정성분석을 수행한 후, 표준물질을 구입하여 최종 정성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들 성분에 대한 정도관리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농도범위 0.1∼100 mg/kg에서 7개의 농도에 대해 검정곡선을 작성한 결과 직선성이 모두 0.98 이상의 값을 보였다. 검출한계는 1∼262 mg/kg, 정량한계는 2∼835 mg/kg의 값을 보였으며, 정확도는 76∼117 % 이내, 정밀도는 15 % 이내의 값을 보여주었다.
캡슐 33종에서 정성분석 및 정량분석을 수행한 결과, 128개 성분을 최종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모든 캡슐에 들어 있는 성분은 15개 성분이었다. 정량분석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보고하는 mg/kg 단위로 표현하였으며, 가장 많은 함량을 보이며 모든 캡슐에서 검출된 박하맛의 멘톨 (Menthol)은 58000∼272000 mg/kg이었고, 이를 캡슐 하나의 평균무게가 17.7 mg 인 것을 고려할 경우 캡슐 당 멘톨 함량은 1.0∼4.8 mg 으로 확인하였다.
공통으로 존재하는 나머지 14개의 성분명 및 캡슐 내 함량은 다음과 같다. 물과 반응하여 멘톨을 생성하는 이소프레골 (Isopulegol)은 115∼677 mg/kg, 멘톨과 유사한 네오멘톨 (Neomenthol)은 49∼6430 mg/kg, 멘톤 (Menthone)은 29∼31400 mg/kg, 이소멘톤 (Isomenthone)은 11∼13480 mg/kg이 검출되었다. 오렌지향의 리모넨 (D-Limonene)은 26∼69940 mg/kg, 페퍼민트 향인 멘틸아세테이트 (Menthyl acetate)은 15∼9750 mg/kg, 천연 꽃 향기인 리날롤 (Linalool)은 15∼11070 mg/kg, 소나무 피톤치드 중 하나인 피넨 (α-Pinene)은 4∼1740 mg/kg, 로즈메리 향인 카리오필렌 (Caryophyllene)은 2∼3480 mg/kg의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식품 화장품 첨가제이며 고급지방산 에스테르인 트라이옥탄산글리세롤 (Glycerol tricaprylate, Glyceryl trioctanoate)은 5800∼75500 mg/kg, 트라이데카노익산글리세롤 (Glycerol tricaprate, Glycerol tridecanoate)은 1800∼29900 mg/kg, 1,3-디옥탄산글리세롤 (1,3-Dioctanoylglycerol)은 351∼10600 mg/kg, 메틸옥탄산에스테르 (Methyl octanoate)는 12∼287 mg/kg, 메틸데카노익산에스테르 (Methyl decanoate)은 10∼338 mg/kg이 검출되었다.
모든 캡슐에서 확인된 15종 성분 이외에도 각 캡슐에서 검출된 성분들은 대부분 천연 향 성분이며, 에탄올 (Ethanol), 에틸아세테이드 (Ethyl Acetate) 등 추출 용매로 사용하여 잔류하는 성분이 일부 검출되었다. 비록 가향 성분일지라도 인체에 고농도로 노출할 경우에는 피부나 호흡기에 자극과 폐에 손상을 줄 수 있으나,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담배 내 캡슐에 들어있는 함량으로 어느 정도까지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평가할 수는 없다.
캡슐담배에 사용되는 이들 가향 성분이 담배 고유의 자극성을 가리고, 무디게 하는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선호하는 향기와 맛으로 흡연을 유도하는 효과를 주어 청소년, 여성 등 젊은 층에서 신규 흡연자가 늘어나는 요인이 될 수 있다[3]. 담배 자체에는 40여 가지 1급 발암물질을 비롯하여 다양한 유해물질이 들어있어 건강을 위해서는 금연이 가장 효과적이며, 캡슐담배로 대표되는 가향 성분이 흡연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춘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규제가 필요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1. German Cancer Research Center (Ed.). Menthol Capsules in Cigarette Filters – Increasing the Attractiveness of a Harmful Product. Heidelberg, Germany, 2012.
2.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2016.5.9, 성인남성 흡연율 최초 30%대 진입, 2020년까지 29% 달성을 위해 비가격 정책 집중 강화
3. Farley SM, Seoh H, Sacks R, Johns M. 2014. Teen Use of Flavored Tobacco Products in New York City, Nicotine Tob Res. 16(11):1518-21

이 글은 우리나라 담배 내 캡슐에 포함된 가향 성분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질병관리본부 정책연구용역사업인 「국내 유통 담배의 형태 및 구조적 특성 규명(공주대학교, 신호상 교수)」 연차실적·계획서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