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주간건강과질병
- 작성일2019-05-16
- 최종수정일2023-08-23
- 담당부서미래질병대비과
detail content area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질항목(HDL콜레스테롤) 전환식 적용
- 작성일2017-06-08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건강영양조사과
- 연락처043-719-7479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질항목(HDL콜레스테롤) 전환식 적용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
노선진, 오경원*
*교신저자: kwoh27@korea.kr, 043-719-7460
Abstract
Calibration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values from KNHANES (2008-2015)
Division of Health and Nutrition Surve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Nho Sun-Jin, Oh Kyung-Won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학검사 결과는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주요 만성질환 유병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되므로 검사결과의 정확성 및 재현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2005년부터 대한진단검사의학회와 공동으로 진단의학검사 전반에 대한 질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진단의학검사 질관리는 현장실사, 검사실간 비교평가, 재현성 평가(이중검사), 추이비교 및 계통오차 측정을 위한 주기별 정도관리, 측정소급성 평가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특히 주요항목에 관한 측정소급성 평가는 국제적으로 인증받은 표준실험실 및 표준물질이 있는 항목에 한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혈청크레아티닌 등이 해당된다.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2008년 진단의학검사 수행기관 변경에 따라 변경전, 후 측정값이 차이가 있었고, 동일기관에서 검사가 수행된 2008년 이후는 분석시약의 교정용물질 값 변경에 따라 측정값이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2009년 미국 질병통제센터(CDC)에서 운영하는 지질표준화프로그램(LSP, lipid standardization program)에 참여하였다. 즉 검체 제작지침[1]에 따라 준비한 동일검체를 이용하여 2009년(33검체, GC-IDMS 표준방법), 2012년(19검체, Abell-Kendall 표준방법), 2015년(26검체, Abell-Kendall 표준방법)에 미국 CDC와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학검사 수행기관의 측정값이 미국 CDC의 참값에 비해 약 2-5mg/dL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진단의학검사 질관리위원회, 전문가(내분비, 통계, 역학 등), 분과 및 조정자문회의를 개최하여 미국 CDC의 참값과 차이를 보인 2008∼2015년 HDL콜레스테롤 측정치에 전환식을 적용하기로 결정하였고, 회귀분석(Passing-Bablok regression)을 이용하여 세 개의 전환식(2009, 2012, 2015)을 도출하였다(Table 1). 국민건강영양조사 진단의학검사 수행기관에서 참여한 측정소급성 평가결과를 근거로 참값과의 차이가 가장 적은 전환식(Table2)을 적용하여 해당 연도의 원자료를 전환하여 공개하였다.
2008∼2015년 HDL콜레스테롤 유병률을 산출할 경우 전환식에 적용한 값을 사용해야하며, 저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에 대한 부정확도 허용치(미국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에 의하면 HDL콜레스테롤 2mg/dL 변동 시 유병률 5-7% 변동)[2]를 고려하여 연도별 추이를 해석하기를 권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상세내용은 질병관리본부가 진단의학검사 질관리위원회와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을 참조할 수 있으며[3],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홈페이지(http://knhanes.kdca.go.kr/)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향후, 가능한 한 HDL콜레스테롤 전환식을 적용하지 않기 위해 2017년부터 NIST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교정물질 값을 재설정한 후 분석을 실시하고 있으며, HDL콜레스테롤 측정소급성 평가 실시 등 질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이다.
<참고문헌>
1. CLSI. Preparation and validation of commutable frozen human serum pools as secondary reference materials for cholesterol measurement procedures; approved guideline. CLSI document C37-A. 1999.
2. Beltran-Sanchez H et al. Prevalence and trends of metabolic syndrome in the adult U.S. population 1999-2000.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3;62(8):697-703.
3. Yun YM et al. Calibration of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value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2008 to 2015.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2017;3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