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detail content area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 코로나19 등 해외 감염병 유입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전국 13개 검역소의 공항만 검역구역 내 운송수단(항공기, 선박)및 하수집하장의오하수에대한 병원체 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전장유전체 분석을 통해 변이 유행 현황을 파악하고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신규 변이를 감시하고 있다.

- 인천공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인천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평택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항공기)
- 군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목포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항공기)
- 제주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항공기)
- 여수검역소
- 하수(항만)
- 마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김해공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부산검역소
- 하수(항만)
- 오수(선박)
- 울산검역소
- 하수(항만)
- 포항검역소
- 하수(공항)
- 오수(항공기)
- 동해검역소
- 하수(공항/항만)
- 오수(선박)
[공항만 오하수 검체 채취 지점]

공항만 하수 | 항공기·여객선 오수 |
---|---|
JN.1.16 : 5% | JN.1.16 : 17% |
LP.8.1 : 11% | LP.8.1 : 33% |
NB.1 : 26% | - |
KP.3 : 26% | KP.3 : 33% |
XEC : 32% | XEC : 17% |
공항만 오하수 코로나19 변이 감시 결과(3월 기준)
- 공항만 하수에서는 XEC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이며, 항공기∙여객선오수에서는 KP.3와 LP.8.1이 높은 점유율을 보이고,XEC, JN.1.16, NB.1과 같은 다양한 세부계통도 확인
변이 바이러스 | 유행상황 | 위험성 |
---|---|---|
LP.8.1(JN.1세부계통) | ‘24.7월 미국에서 첫 검출 후,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행 중 | XEC, KP.3와 유사한 면역회피능을 보이며, 공중보건 위험성과 중증도 증가 관련성 없음(WHO, LP.8.1 초기위험도 평가, ‘25.1.24) |
XEC(JN.1재조합) | ‘24.6월 독일에서 첫 검출 후,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행 중 | JN.1 대비 면역회피능 소폭 증가하였으며, 공중보건 위험성과 중증도 증가 관련성 없음(WHO, XEC 초기 위험도 평가, ’24.12.9) |
KP.3(JN.1세부계통) | ‘24.2월 미국에서 첫 검출되었으며, 현재 전세계적으로 유행 중 | JN.1 대비 면역회피능 소폭 증가하였으며, 중증도 증가 관련성 없음(WHO, COVID-19 Epidemiological update, ‘24.8.13) |
JN.1.16(JN.1세부계통) | ’23.11월 싱가포르에서 첫 검출 후, 현재 전세계적인 검출률높지 않음 | - |
NB.1(XDV 세부계통) | ’24.2월 중국에서 첫 검출 후, 현재 전세계적으로 낮은 검출률확인 | - |
※ 각 채취 지점의 우세 세부계통으로 해당 월의 점유율을 산출함. 공항만 오하수는 출발국가의 변이 현황을 반영하는 결과로 국내 변이 유행 상황과는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