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area
인수공통감염병관리
- 작성일2019-05-15
- 최종수정일2023-08-29
- 담당부서인수공통감염병관리과
detail content area
진드기 매개 감염병이란?
-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가진 일부 진드기가 풀숲에 있다가 지나가는 사람을 물어서 발생합니다.
- 국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등이 있습니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발생현황
- 쯔쯔가무시증은 10월~11월에 호발하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주로 5월~10월에 발생합니다.
쯔쯔가무시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연도별 발생현황 및 사망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연도별 발생현황 및 사망률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환자수(명)
- 2015년 : 79명
- 2016년 : 165명
- 2017년 : 272명
- 2018년 : 259명
- 2019년 : 223명
- 2020년 : 243명
- 2021년 : 172명
- 2022년 : 193명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치명률(%)
- 2015년 : 26.6
- 2016년 : 11.5
- 2017년 : 19.9
- 2018년 : 17.8
- 2019년 : 18.4
- 2019년 : 15.2
- 2019년 : 15.1
- 2019년 : 20.7
쯔쯔가무시증 연도별 발생현황 및 사망률
쯔쯔가무시증-환자수(명)
- 2011년 : 5,151명
- 2012년 : 8,604명
- 2013년 : 10,365명
- 2014년 : 8,130명
- 2015년 : 9,513명
- 2016년 : 11,105명
- 2017년 : 10,528명
- 2018년 : 6,668명
- 2019년 : 4,005명
- 2020년 : 4,479명
- 2021년 : 5,915명
- 2022년 : 6,230명
쯔쯔가무시증-치명률(%)
- 2011년 : 0.12
- 2012년 : 0.10
- 2013년 : 0.22
- 2014년 : 0.16
- 2015년 : 0.12
- 2016년 : 0.12
- 2017년 : 0.17
- 2018년 : 0.07
- 2019년 : 0.20
- 2019년 : 0.16
- 2019년 : 0.19
- 2019년 : 0.32
감염경로

SFTS
- 원인균:(SFTS바이러스)
- 매개체:작은소피참진드기 등
- 숙주동물 : 포유류(소, 염소, 말, 개, 고양이, 고라니, 멧돼지등), 조류(파충류), 유충(조류,소형포유류-쥐,다람쥐등)
- 반려동물및가죽에서 사람(우연숙주)에게 전파
쯔쯔가무시증
- 원인균:쯔쯔가무시균
- 매개체:털진드기등
- 숙주동물 : 설치류(동물쥐, 갈밭쥐) 등
- 조류 : 파충류
- 사람에서 사람(우연숙주)에게 전파안됨
위험활동

- 농작업(텃밭/주말농장 포함)
- 농작물 수확
- 농작물 나르기
- 풀베기
- 등산로 벗어나기
- 감따기
- 밤줍기
- 산나물 채취(고사리, 버섯 )
증상 및 진드기에 물리는 곳(또는 가피 부위)

초기증상
고혈/오한, 두통, 근육통, 오심/구토/설사
진드기에 물리는 부위남자 앞 : 머리, 목, 겨드랑이, 팔, 배꼽, 사타구니, 무릎
남자 뒤 : 머리, 목, 엉덩이, 무릎, 발꿈치
여자 앞 : 머리, 겨드랑이, 팔꿈치, 가슴, 배꼽, 사타구니
여자 뒤 : 머리, 등, 엉덩이, 무릎, 발꿈치
예방수칙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야외활동 전
- 안전한 옷 착용하기(긴 팔, 긴 바지, 모자, 목수건, 장갑, 목이 긴 양말, 등산화/장화 등)
- 진드기 기피제 사용하기
야외활동 중
- 휴식 시 돗자리 사용하기
- 기피제의 효능 지속시간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사용하기
- 풀숲에 옷 벗어놓지 않기, 풀숲에 앉지 않기
야외활동 후
- 귀가 즉시 옷을 털고 세탁하기
- 귀가 즉시 샤워·목욕하기
- 몸에 벌레 물린 상처(또는 검은 딱지) 또는 진드기가 물고 있지 않은지 확인하기
- 의심 증상 발생 시 보건소 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받기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주간소식지
(감염병포털)링크연결 주간소식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