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알림·자료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재유행 대비 4차접종 대상 확대 및 미접종자 접종 독려(7.13.)
  • 작성일2022-07-13
  • 최종수정일2022-07-14
  • 담당부서코로나19예방접종대응추진단 접종기획팀
  • 연락처043-913-2309


재유행 대비 4차접종 대상 확대 및 미접종자 접종 독려

-고위험군의 보호를 위한 50대, 성인 기저질환자 등 4차접종 권고-




-주요 내용-

재유행이 우려되는 방역상황, 백신 접종자도 쉽게 감염되는 신규변이(BA.5)의 특성, 백신효과(4차접종의 중증·사망 예방효과 유지) 등 고려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대상을 확대하고 접종을 적극 권고하는 한편, 미접종자에 대한 접종참여 독려 

 ○ 전체 4차접종 대상은 50세 이상 연령층,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및 기저질환자, 감염취약시설(요양병원·시설, 정신건강증진시설, 장애인 및 노숙인 시설)의 입원·입소·종사자

 ○ 당일접종 7월 18일(월)~, 사전예약 7월 18일(월)~, 예약접종 8월 1일(월)~



□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단장 백경란 청장, 이하 ‘추진단’)은, 재유행에 대비하여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추가되는 4차접종 대상은 50대 연령층,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등이다. 


 ○ 그간 4차접종은 2022년 2월 14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입원·입소·종사자, 4월 14일 60세 이상 연령층을 대상*으로 추가하여 시행 중에 있다. 


    * 인구 대비 31.4%, 7월 말 기준 대상자 대비 35.3% 3차접종 완료



○ 그러나, 올해 초 오미크론 유행 이후 백신 접종자와 감염자의 면역감소 시기가 도래하였고, 전파력이 높은 신종변이(BA.5)의 확산으로 재유행이 우려되고 있어,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의 대상 확대를 검토하였다.





□ 이번 시행계획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진행한 4차접종의 효과 등 그간 국내에서 축적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수립했으며, 신규변이(BA.4, BA.5)의 특성, 주요국(미국, 포르투갈, 영국 등)의 재유행 사례 및 접종정책 방향 등 국외 연구·정책을 폭넓게 참고했다. 


 ○ 이번 4차접종 확대계획은 백신분야 전문가 자문회의(7월 8일)와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7월 11일)를 거쳐 결정하였으며, 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7월 11일)에서도 사전 논의를 진행하였다.


 ○ 대상별 접종 필요성과 세부적인 계획은 다음과 같다.





□ [방역상황: 발생현황, 재감염 현황, 위중증·사망현황 ]


 ○ (발생현황) 7월 1주(7.3.~7.9.) 주간 일평균 약 1.6만 명 발생하여 전주 대비 87% 증가하였고, 감염재생산지수는 1.40으로 6월 1주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최근 8주간 주요 발생 지표>

구분

53

(5.15~5.21.)

54

(5.22~5.28.)

61

(5.29.~6.4.)

62

(6.5.~6.11.)

63

(6.12.~6.18.)

64

(6.19.~6.25.)

65

(6.26~7.2.)

71

(7.3~7.9.)

확진자수()

181,856

129,319

86,216

64,284

52,403

49,375

59,834

111,910

일 평균 확진자()

25,979

18,474

12,317

9,183

7,486

7,054

8,548

15,987

주간 일평균 발생률(10만 명당)

50.3

35.8

23.9

17.8

14.5

13.7

16.6

31.0

전 주 대비 확진자 발생 증가비

0.72

0.71

0.67

0.75

0.82

0.94

1.21

1.87

감염재생산지수(Rt)

0.83

0.81

0.74

0.79

0.86

0.91

1.05

1.40



 ○ (재감염 현황) 시간경과에 따른 예방접종 효과 감소, 기존 감염자의 자연면역 저하, BA.5형 변이의 면역회피 경향 등으로 재감염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 주간(-‘22.7.2.)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2.87%로 증가 추세 ((5월1주) 0.59 → (6월1주) 1.22 → (2주) 2.03 → (3주) 2.63→ (4주) 2.94→ (5주) 2.87)


   - 특히, 면역회피가 높은 BA.5형 변이 검출률이 증가*함에 따라 향후 유행 확산의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 국내 오미크론 세부계통 검출률: BA.5형 23.7%(6월 4주 대비 16.2%p 증가)


 ○ (위중증·사망현황) 7월 1주 주간 신규 위중증 환자 48명으로 전주 대비 4.0% 감소하였고, 사망자 68명으로 전주 대비 34.8% 증가하였으나, 낮은 수준으로 유지 중이다.


<그림> 주간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발생 현황 (‘22.7.9일 0시 기준)





□ [접종 필요성 : 고위험군 중증·사망 예방 필요]


 ○ 4차접종은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목적으로 면역형성이 어려운 대상 및 고연령층에 대해 선제적으로 시행 중이다.


   - 국내 코로나19 4차접종 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3차접종군 대비 4차접종군의 감염 예방효과는 20.3%, 중증화 예방효과는 50.6%, 사망 예방효과는 53.3%로 나타났다. 


    * (분석기간·대상) '22.2.16. ~ '22.4.30., 3차접종 후 4개월이 경과한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 약 151만 명 


<그림> 면역저하자, 요양병원‧시설 구성원의 3차접종 대비 4차접종 예방효과




 ○ 또한 현재 백신은 감염예방효과가 낮고 지속기간이 짧으나, 중증 및 사망예방효과는 50% 이상으로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신규변이 유행에도 현재 백신의 중증·사망 예방효과는 유지되므로, 현재 백신을 고위험군의 선제적 보호수단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시간경과에 따른 3차접종 대비 4차접종의 효과>


구분

분석기간

3차 접종 대비 4차 접종 예방효과(%, 95%CI)

0-14

15-30

16-45

46일 이상

감염

’22.2.16.

~’22.4.30.

21.0%

(20.1% ~ 21.8%)

24.6%

(23.6% ~ 25.6%)

8.9%

(7.0% ~ 10.7%)

6.2%

(2.4% ~ 9.8%)

중증화

’22.2.16.

~’22.4.30.

(추적관찰

~’22.5.28.)

50.5%

(44.0% ~ 56.3%)

55.0%

(47.3% ~ 61.5%)

39.9%

(24.5% ~ 52.1%)

40.7%

(2.7% ~ 63.9%)

사망

54.1%

(47.3% ~ 60.0%)

55.2%

(46.9% ~ 62.3%)

44.0%

(26.4% ~ 57.3%)

42.9%

(-5.4% ~ 69.1%)




 ○ 한편, 국외 연구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캐나다의 장기요양시설 입소자를 대상으로 한 4차접종 효과 분석 Effectiveness of a fourth dose of covid-19 mRNA vaccine against the omicron variant among long term care residents in Ontario, Canada: test negative design study, 30 December 2021 to 27 April 2022. (theBMJ., ’22.7.6.)

에서, 백신효과는 매 접종마다 증가하였으며, 미접종자 대비 4차접종의 감염 예방효과가 49%, 중증(입원 또는 사망)예방효과가 86%로 나타났다. 


   - 위 연구 결과는 오미크론 변이 유행에도, 4차접종이 장기요양시설 입소자의 중증·사망 위험을 낮췄음을 시사한다.


    * 분석대상/기간: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있는 626개 장기 요양시설 60세 이상 거주자 61,344명 대상 백신효과 분석(‘21.12.30~‘22.4.27.) 




<그림> 2차·3차·4차접종 후 백신 예방효과




[50대 연령층]


 ○ 3차접종 후 4개월 이상 경과 50대는 7.11일 기준 676.6만 명으로, 50대 3차접종자(703.6만명)의 96.2%에 육박하여 대다수가 3차접종 후 4개월 경과 중이다.


 ○ 50대 연령층은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등에서 60대와 유사한 기저질환 유병률을 보이며,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있다.


 ○ 같은 맥락에서 美 FDA·CDC도 이스라엘 데이터, 의학적 합병증을 앓고 있는 고위험군 중 50-65세가 다수라는 점, 인플루엔자 고위험군 등을 고려하여 50세 이상을 4차접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 코로나19로 사망자가 많이 발생한 주(4월1주)에서, 조사가 완료된 60세 미만 사망자는 모두 기저질환을 보유했으며, 그 중 주요 기저질환은 심부전 등 순환기계 질환(28.1%), 당뇨병 등 내분비계 질환(22.3%) 순으로 나타났다.


<사망자 기저질환 여부(, %)(’22.4.3.~4.9.)>

기저질환 여부

1주 합계

60세 이상

60세 미만

세부질환명

2,163

(100.0)

2,041

(100.0)

122

(100.0)

-

있음

1,533

(70.9)

1,456

(71.3)

77

(63.1)

-

기저질환

순환기계 질환

1,002

(33.0)

969

(33.3)

33

(28.1)

뇌경색, 심부전 등

신경계 질환 등

584

(19.2)

574

(19.8)

10

(7.2)

치매, 파킨슨질환 등

내분비계 및 대사성질환

546

(18.0)

522

(18.0)

24

(22.3)

당뇨병, 갑상선질환, 통풍 등

비뇨생식기계 질환

195

(6.4)

186

(6.4)

9

(7.9)

만성신장질환, 전립선질환 등

악성신생물()

218

(7.2)

191

(6.6)

27

(15.8)

폐암, 간암, 위암 등

정신질환

127

(4.2)

123

(4.2)

4

(3.6)

조현병, 우울증 등

호흡기계 질환

167

(5.5)

160

(5.5)

7

(4.3)

만성폐쇄성폐질환, 천식 등

근골격계 질환

70

(2.3)

69

(2.4)

1

(0.0)

골다공증, 관절염 등

혈액 및 조혈계질환

26

(0.9)

25

(0.9)

1

(2.2)

원발성 혈소판증가증, 빈혈 등

소화기계 질환

45

(1.5)

35

(1.2)

10

(2.9)

간경화증 등

기타질환

57

(1.9)

52

(1.8)

5

(5.8)

눈 질환, 장애 등

조사중

628

(29.0)

583

(28.6)

45

(36.9)

-

없음

2

(0.1)

2

(0.1)

0

(0.0)




 ○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60세 이하에서도 상기 질환들의 환자 비중 및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등을 앓고 있는 환자 중 약 40%가 20~50대로, 해당 연령대의 기저질환자도 고령층과 마찬가지로 코로나19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높아질 우려가 있다.  


<연령별 기저질환 환자* 및 유병률** 현황(, %)>

구분

당뇨병

뇌졸중

심부전

환자 수

비중(%)

유병률

환자 수

비중(%)

환자 수

비중(%)

70세 이상

1,085,857

32.6

31.5

37,020

37.3

149,590

65.3

60-69

1,052,367

31.6

25.1

28,248

28.5

45,341

19.8

50-59

854,128

25.6

19.1

23,332

23.5

25,067

11.0

40-49

380,979

11.4

9.0

10,382

10.5

11,041

4.8

30-39

121,568

3.6

4.4

3,124

3.1

4,030

1.8

20-29

35,005

1.0

0.7

1,002

1.0

1,182

0.5



[감염취약시설(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 장애인은 비장애인 대비 높은 위중증과 사망 비율을 차지한다. 장애인 표준화 중증화율은 비장애인 대비 2.9배 높으며,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중 장애인이 2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중증화율 및 표준화 중증화율(, %)>

연령대

총합계

장애인

비장애인

B/A

*100

(%)

중증

화율

(C/D)

전체

위중증

+

사망(A)

중증

화율

N

위중증

+

사망(B)

중증

화율

(C)

N

위중증

+

사망

중증

화율

(D)

전체

8,120,489

27,020

0.33

302,117

7,204

2.38

7,818,372

19,816

0.25

26.7

9.41

0-9

1,002,916

51

0.01

8,933

14

0.16

993,983

37

0.004

27.5

42.10

10-19

1,118,883

57

0.01

13,043

26

0.20

1,105,840

31

0.003

45.6

71.11

20-29

1,273,147

249

0.02

14,818

40

0.27

1,258,329

209

0.02

16.1

16.25

30-39

1,202,830

635

0.05

16,936

64

0.38

1,185,894

571

0.05

10.1

7.85

40-49

1,265,092

1,213

0.10

29,429

195

0.66

1,235,663

1,018

0.08

16.1

8.04

50-59

970,736

2,525

0.26

45,622

465

1.02

925,114

2,060

0.22

18.4

4.58

60-69

764,579

5,323

0.70

67,530

1,382

2.05

697,049

3,941

0.57

26.0

3.62

70-79

323,568

6,577

2.03

55,356

2,014

3.64

268,212

4,563

1.70

30.6

2.14

80세이상

198,738

10,390

5.23

50,450

3,004

5.95

148,288

7,386

4.98

28.9

1.20

표준화중증화율(표준인구: 총확진자)

0.85

0.29

2.93





   - 또한, 장애인의 표준화 치명률은 비장애인 대비 2.7배 높으며, 전체 사망자 중 장애인은 31.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별 치명률 및 표준화 치명률(, %)>

연령대

총합계

장애인

비장애인

B/A

*100

(%)

치명률

(C/D)

전체

사망

(A)

치명률

N

사망

(B)

치명률

(C)

N

사망

치명률

(D)

전체

8,120,489

14,299

0.18

302,117

4,475

1.48

7,818,372

9,824

0.13

31.3

11.79

0-9

1,002,916

8

0.00

8,933

2

0.02

993,983

6

0.00

25.0

37.09

10-19

1,118,883

3

0.00

13,043

2

0.02

1,105,840

1

0.00

66.7

169.57

20-29

1,273,147

33

0.00

14,818

15

0.10

1,258,329

18

0.00

45.5

70.77

30-39

1,202,830

68

0.01

16,936

18

0.11

1,185,894

50

0.00

26.5

25.21

40-49

1,265,092

175

0.01

29,429

72

0.24

1,235,663

103

0.01

41.1

29.35

50-59

970,736

592

0.06

45,622

194

0.43

925,114

398

0.04

32.8

9.88

60-69

764,579

1,819

0.24

67,530

628

0.93

697,049

1,191

0.17

34.5

5.44

70-79

323,568

3,460

1.07

55,356

1,211

2.19

268,212

2,249

0.84

35.0

2.61

80세이상

198,738

8,141

4.10

50,450

2,333

4.62

148,288

5,808

3.92

28.7

1.18

표준화중증화율(표준인구: 총확진자)

0.41

0.15

2.73




 ○ 노숙인 중 50대 이상이 82.0%로 상당수가 고령자이며, 34.1%가 대사성 질환(당뇨병·고혈압 등)·28.6%가 정신질환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숙인 연령별 비율(%)>

구분

70세 이상

60

50

40

40세 미만

연령별

11.5

39.7

30.8

12.6

5.4

<노숙인 질환보유별 비율(%)>

구분

대사성질환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간장질환

위장관질환

정신질환

질환보유별

34.1

3.7

4.5

2.3

8.1

28.6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2021년도 노숙인 등의 실태조사」면접조사 원자료



 ○ 시간경과에 따른 면역력 감소, 신규 변이 바이러스 유행 등을 고려하여, 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4차접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국외 동향 : 미국, 호주 방역당국 4차접종 대상 확대]


 ○ 현재 미국, 호주 등 국외 주요 국가에서는 기저질환자 등 고위험군 대상으로 4차접종을 실시하고 있으며, 4차접종 대상 확대 여부를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 미국은 코로나19 재유행에 따른 고령층 입원환자 증가로 50세 이상에 대해 4차접종을 권고(5.19일)하였다.


   - 또한, 호주에서는 BA.4,BA.5 신규변이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4차접종을 50세 이상 성인에게 권고(7.8일)하고 있다.



<국외 주요국가 4차접종 동향>

국가

일반 인구
대상 연령

성인 기저질환자

요양시설과
그에 준하는 시설

4차접종 시기

(3차접종 후 간격)

이스라엘

60세 이상

(1.26)

4개월

미국

50세 이상

-

4개월

독일

70세 이상

(5.6)

3개월

일본

60세 이상

(5.18)

6개월

호주

50세 이상

(16세 이상, 5.25)

노인 요양원 및 장애인 주거시설

4개월

프랑스

60세 이상

-

3개월





□ [접종 세부계획 : 고위험군 접종 권고]



<접종대상 변경사항 요약>


국가

변경

변경

4차접종

(고위험군)

?18세 이상 면역저하자 (권고)

?좌동

?감염취약시설 (권고)

: 요양병원·시설 및 정신건강 증진시설 입원·입소·종사자

?감염취약시설 (권고)

: 좌동 + 장애인시설 및 노숙인시설 입원·입소·종사자

?80세 이상 (권고)

?60·70 (허용)

?50세 이상 (권고)

-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권고)

3차접종

(12세 이상)

-

?4차접종 대상(고위험군)에 대한 접종 적극 권고

기초접종

(5세 이상)

-

?성인 대상 기초접종 완료 권고



○ (접종목표) 재유행 우려에 대비하여, 코로나19 고위험군에 대한 중증·사망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 (접종대상) 50대 연령층 전체,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감염취약시설(장애인·노숙인 생활시설*) 입소자·종사자 중 3차접종을 완료하고 4개월(120일)이 경과한 분들을 대상으로 접종을 권고한다.


    * 2022년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지침상 사회복지시설 종류에 따른 생활시설


   - (50대 연령층) 4차접종 대상자인 50대 연령층은 출생연도 기준으로 1963년 이후 출생자부터 1972년 이전 출생자까지 해당한다.


   - (18세 이상 기저질환자) 코로나19 예방접종 문진표에 기저질환 보유여부를 표시하고, 예진의사의 확인·상담 후 접종 실시한다. 


      * 18-49세 연령층은 4차접종 사전예약 시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4차접종 가능하다’는 문구가 담긴 팝업창 표시 예정 



< 4차접종 대상질환 >


4차접종 기저질환자 대상질환

만성폐질환: 천식, 간질성폐질환, 폐색전증, 폐고혈압, 기관지확장증, 만성폐쇄성폐질환

심장질환: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심근병증, 허혈성심질환, 심장판막질환, 선천성심장병

만성간질환: 간경변, 비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자가면역성 간염

만성신경계질환: 치매, 파킨슨병, 중증근무력증, 근육병, 다발성경화증,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성증후군, 간질

자가면역질환: 전신성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뇌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낭포성섬유증

당뇨병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비만(BMI30kg/) 활동성 결핵

이외에도, 상기 기준에 준하는 기절질환자 및 면력저하자로서 4차접종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의사소견에 따라 접종 가능




 ○ (접종간격) 3차접종 후 최소 4개월(120일) 경과 시점부터 접종할 수 있으나, 개인 사유(국외출국, 입원·치료 등)가 있을 경우 3차접종 완료 3개월(90일) 이후부터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다.


 ○ (접종방법) 사전예약 누리집(ncvr.kdca.go.kr)을 통해 예약하거나 당일접종으로 접종 가능하고, 누리집을 통한 대리예약이나, 전화예약(1339, 지자체콜센터)도 할 수 있다. 


 ○ (접종일정) 사전예약은 7월 18일(월)부터 시작되며, 예약접종은 8월 1일(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 당일접종은 7월 18일(월)부터 가능하며, ①카카오톡·네이버에서 잔여백신을 예약하거나 ②의료기관에 유선 연락을 통한 예비명단을 활용하여 접종할 수 있다. 


 ○ (이상반응 감시) 접종받은 고위험군 모두에게 접종 시 등록된 연락처로 접종 이후 3일 차에 주의사항 및 조치사항을 재안내할 계획이다.





 [4차접종 권고범위 확대 및 예방접종 독려]


□ 추가로, 재유행 우려에 따라 접종 권고 대상을 현재 80세 이상 연령층에서 4차접종 대상자 전체로 확대하여 적극적인 중증·사망 예방을 도모할 예정이다. 


 ○ 현재까지 60세 이상 연령층의 접종률은 35.2%로 집계되었으며, 대상자 대비 접종률은 35.9%이다.


 ○ 최근 4주간(‘22.6.5.∼7.2.) 위중증 환자의 84%, 사망자의 80%가 60세 이상 연령층에 집중되어 있고, 특히 사망자 중 80세 이상이 44.8%를 차지하고 있어, 4차접종을 통한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 접종을 당부드린다. 


□ 이와 더불어, 4차접종 대상이 되는 18세 이상 고위험군 중 3차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3차접종 참여를 당부하였다.


 ○ 3차접종을 완료하면, 접종 후 확진되더라도 미접종자에 비해 중증진행 위험 95.4% 감소되어, 3차접종 참여가 필요하다.


   - ‘미접종자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21.9배, ‘2차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3배가 높았다.


    * ‘3차접종 후 확진군’은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 위험이 95.4%, ‘2차접종 후 확진군’도 ‘미접종자 확진군’에 비해 중증 진행 위험이 69.9% 낮음


<그림> 확진자 중 예방접종력에 따른 연령대별 누적 중증화율 위험도 비교(’22.6.26.기준)



 ○ 추진단은, 18세 이상 성인 기초접종 미접종자에 대해서도 기초접종을 완료하여 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 60세 이상 미접종자는 감염 시 중증·사망 위험이 매우 높다. 해당 연령 인구 중 미접종자 및 1차 접종자 비율이 4% 내외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1주간 60세 이상 사망자 중 미접종자의 비율은 36.7%로 매우 높아, 기초접종 완료가 절실하다.





□ 추진단은 오미크론 하위변이의 유행에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본인과 가족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중요한 수단인 점을 재차 강조하며, 


 ○ 특히 고위험군의 중증·사망 예방을 위해서는 4차접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접종대상자 본인과 가족 등의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참고> 4차접종 추진경과

접종대상별 추진경과

(면역저하자/요양병원·시설)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2.9),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2.11), 발표(2.14) 이후 접종 시행(당일·자체·방문접종 2.14~, 예약접종 2.28~)

(정신건강증진시설)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2.21),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2.25), 발표(2.28) 이후 접종 시행(자체·방문접종 2.28~)

(60세이상 연령층) 전문가 자문회의 검토(4.8), 예방접종전문위원회 심의(4.11), 발표(4.13) 이후 접종 시행(당일접종 4.14~)

접종대상별 추진현황

(접종경과) 접종간격(3차접종 후 3개월)과 확진이력(확진자는 접종대상 포함) 고려 시, 요양병원·시설 83.5%, 정신건강증진시설 81.6% 접종

- 60세이상 대상자 대비 35.9%이며, 특히 접종이 권고되는 80세 이상 55.8%



이 보도자료는 관련 발생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 투명하게 공개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 결과 등에 따라 수정 및 보완*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확진자 급증에 따라 당일 일부 중복 및 오신고 건들이 있어 익일 확인시 정정하고 있습니다. 확진자 신고 및 집계 업무 부담 증가로 오신고 등의 구체적 내역 제공이 어려운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코로나19 일일 확진자 통계*(국내/해외발생/사망/성별/연령별/시도별 구분) 원시자료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리집에서 내려 받으실 수 있으며,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매일 18시 이전 업데이트).

*(일일 확진자 통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누리집(ncov.mohw.go.kr) 메인화면 좌측 ‘(누적)확진
다운로드(화살표선택) 엑셀파일 시트별 확인가능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발생동향 시도별 발생동향 시도 선택 (우측 하단) 코로나19 누적 시군구 확진자 현황




<붙임> 1. 고위험군 4차접종 확대 시행계획 관련 Q&A

        2. 「감염병 보도준칙」(2020.4.28.)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