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심ㆍ뇌혈관질환 정복을 위한 센터 중심의 모형관리체계
  • 작성일2008-07-04
  • 최종수정일2012-08-25
  • 담당부서감염병감시과
  • 연락처043-719-7173

 

심ㆍ뇌혈관질환 정복을 위한 센터 중심의 모형관리체계


New strategies of national system for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병조사팀   


Ⅰ. 들어가는 말
 2005년 통계청의 사망통계에 따르면 단일질환으로는 뇌졸중이 사망원인 1위로 65,479명이 사망하였으며, 심장질환이 3위로 31,303명이 사망하였다[1]. 심근경색증의 치명률은 다소 감소추세에 있으나 발생률과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 뇌졸중은 출혈성, 경색성 및 미분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출혈성 뇌졸중과 미분류 뇌졸중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다소 감소추세에 있으나 경색성 뇌졸중은 발생률, 사망률, 치명률 모두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2].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유병률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고혈압은 1995년 인구 천 명당 25명에서 2001년에 58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당뇨병은 1995년 인구 천 명당 16명에서 2001년 25명으로 증가하였다[3]. 심·뇌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증가, 급속한 고령화 등을 고려할 때 향후 심·뇌혈관질환의 발생이나 사망자수는 급격히 늘어날 것이다. 특히 뇌졸중의 발생은 1999년부터 2001년까지의 발생률 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해도 2002년 8만 명에서 2030년에는 약 3배인 22만 1천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1)
 보건복지가족부는 2006년 6월 심·뇌혈관질환 문제의 사회경제적 심각성을 절감하고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종합대책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의 합병증을 예방하고 장애를 최소화하는 3차 예방이 현 의료체계로는 어렵다고 판단하여 전문센터 중심의 관리체계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연구는 정부에서 제시한 심·뇌혈관질환의 3차 예방정책의 기조가 타당하다는 전제하에 첫째,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의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하고 둘째, 국내외의 모범적인 센터 모형에 대한 조사·검토를 시행하고 셋째, 심·뇌혈관질환 3차 예방의 혁신적 업그레이드를 위한 센터중심의 관리체계 방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Ⅱ. 몸 말
 1. 연구내용 및 방법
 (1)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정책부서, 감시 및 정보체계, 의료체계, 의료수요와 공급 현황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헌고찰, 전문가 워크샵, 전문가 설문조사,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료기관현황 등록자료 및 심·뇌혈관
      질환 관련 청구자료의 일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2) 국내외 심·뇌혈관질환 관련 모범적 센터의 벤치마킹 대상으로서 일본 국립순환기센터,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심장치료네트워
      크, 뇌졸중 집중치료서비스 선진국 현황, 국립암센터 등을 선정하고, 현지방문조사, 핵심 운영자와의 간담회, 문헌고찰을 수행
      하였다. 
 (3) 앞에서의 두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간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심·뇌혈관질환 3차 예방의 혁신적인 업그레이드를 위한 센
      터 중심의 관리체계를 개발하였다.

 

 2. 연구결과
 1) 국내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의 현황 및 개선 과제
   (1) 정책부서
 암과 정신보건문제로 인한 사회경제적 질병부담이 매우 크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보건복지가족부에 각각 전담 팀이 있으며, 기술지원평가단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비등할 정도로 건강문제가 심각한 심·뇌혈관질환과 관련해서는 관련 조직이 미비하다. 미국, 영국, 호주에서는 이미 심·뇌혈관질환 관련 국가중점질병관리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치료 위주의 보건의료서비스 제공만으로는 해결이 안 되며, 1차, 2차, 3차 예방이 조화롭게 추진되어야 한다. 이 점에서 심·뇌혈관질환 관리를 위한 정책을 기획, 집행, 평가하는 중앙단위의 정책부서 설치가 절실히 필요하다.
   (2) 감시 및 정보 체계
 근거중심의 보건의료정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질병통계나 관련 정보수집이 매우 중요하며 이는 크게 전국 조사, 환자등록체계, 코호트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심·뇌혈관질환과 관련된 감시 및 정보수집원에는 대한순환기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에서 주관하는 급성심근경색증 등록사업(Korean Acute Myocardial Infraction Registry)과 뇌졸중 등록사업(Korean Stroke Registry)이 있다.
 등록사업의 주 목적은 효과적인 예방과 진료지침을 작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이다. 그러나 이 자료들은 대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집되어 대표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을 갖는다. 이밖에 건강보험자료를 통한 심·뇌혈관질환의 질병통계를 산출한 연구도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장기간의 자료를 축적하여 질병의 발생률을 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률 추정이 정확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외국에서의 심·뇌혈관질환 감시체계 운영 경험을 통해 가장효율적인 대안으로 거론되는 것이 전산화된 병원퇴원기록과 사망 자료를 연계하고 이 자료를 중심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표준화된 진단기준에 따라 타당도 검증절차를 거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가 육성하는 심·뇌혈관질환 센터를 중심으로 하여 등록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일 것이다. 효율적인 등록사업을 위해서는 등록사업의 목적과 필요한 자료가 무엇인지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며, 환자의 개인정보 보호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3) 의료체계
  a. 병원 전 단계
  급성 심근경색증은 증상 발현 후 병원도착 시간이 빠를수록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3시간 이내를 기준으로 약 50% 정도만 적정시간 내에 도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치료지연의 원인으로는 환자 및 보호자의 인지가 늦고, 다음으로 후송과정에서 적절한 치료기관으로 바로 방문하지 못하는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뇌졸중의 경우에는 증상 발현 후 병원도착의 적정시간이 혈전용해제 투입을 기준으로 3시간 이내인데 약 20%만이 적정시간 내에 도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이 경우에도 치료지연의 원인으로 환자 및 보호자의 인지도 부족, 후송과정의 지연, 그 외에 뇌졸중의 경우 한방치료를 선호하는 우리나라 환자들의 인식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 및 보호자의 인지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교육이나 홍보, 캠페인이 필요하며, 응급의료후송체계의 개편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b. 병원 입원 및 퇴원 이후 단계
  급성 심근경색증의 경우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하게 되면 혈전용해제 투입 혹은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2)을 통한 재관류가 120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하나 34.2%만이 이 기준을 만족하고 있다[4]. 의료기관별로 적정 재관류 실시율의 편차도 크다. 이러한 원인은 응급실 내 환자분류시스템이 적절히 작동되지 않거나 전문 인력이 24시간 상주하지 못하는 인력부족의 현실적인 여건이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의 경우 의사 1인당 일년에 75건, 의료기관 당 200건을 실시해야 질을 보장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의료기관 당 일 년에 30건 미만인 경우도 11.8% 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치료를 받은 후 퇴원 시 대개 간호사들이 한 시간 정도의 투약 및 주의사항을 알려주는 것이 전부이다. 일부 선진국에서는 별도의 재활프로그램을 시행하여 환자에게 맞는 식사요법, 운동요법 등을 처방하고 실제 훈련을 시키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심장재활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병원은 보험수가책정상의 문제로 5개의 대형병원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재활프로그램의 수가 책정과 함께 병원 및 지역사회 재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급성뇌졸중의 경우, 환자가 응급실에 도착한 이후 혈전용해제를 투입하는 비율은 전체 환자의 2.1%에 불과하다. 이는 혈전용해제를 투입할 수 없는 환자의 상태도 원인이 되겠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치 비율이 너무 낮다. 또한 CT 검사, 지질검사, 심실세동시 항혈액응고제 투여 등의 진료과정에 있어도 의료기관 간 편차가 크고 표준화되어 있지 않았다[6].  한편 뇌졸중의 후유장애로 인해 반복적인 입원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 부문에 대해서는 심층 검토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적절한 의료이용과 적극적인 재활이라는 측면에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선진국에서는 급성 뇌졸중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평가되고 있는 뇌졸중 집중치료(organized stroke care) 서비스가 부서(unit) 혹은 센터의 개념으로 보급되어 시행 중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시설을 갖춘 곳이 전국적으로 10곳 내외이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급성 뇌졸중의 신경과적, 내과적 문제 해결 후 조기 집중재활은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환자 및 보호자, 그리고 의료인들의 조기재활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적절한 재활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기집중재활프로그램의 도입도 검토되어야 한다. 급성 심근경색증과 급성 뇌졸중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이나 병원 내 의료의 질 관리를 위한 critical pathway의 개발 및 보급이 시급하며, 또한 외국과 같이 인증제를 도입하거나 외부기구에 의한 질평가제도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도 필요하다.
   (4) 심·뇌혈관질환의 수요와 의료서비스 공급
  a. 진료권별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수요와 의료서비스 공급 현황
  전국을 50개의 진료권으로 구분한 후, 한 해에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이 필요한 추정환자수와 이를 시행하는 의료기관의 시술 횟수를 검토해 본 결과 수요가 있으나 이를 시행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 한 군데도 존재하지 않는 곳이 50개 진료권 중 17개 진료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일부 진료권은 타 진료권에 가서 치료를 받는다고 가정하더라도 급성 심근경색증 치료가 시간과의 싸움인 것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b. 급성 심근경색증과 뇌졸중 진료기관의 특성
  급성 심근경색증의 치료를 위해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하는 곳은 112개의 의료기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이 전체의 90%이었다. 또한 관상동맥우회로조성술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은 67개로 5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90%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성 뇌졸중 환자의 경우, 응급실을 통해 입원 치료하는 의료기관은 100병상 미만 14.9%, 100-200병상 33%, 201-300병상 22.0%, 300-500병상 14%, 500병상 이상 16.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을 통해 입원치료를 하는 의료기관의 경우, 일년에 29명 미만을 진료하는 183개 기관 중 151개 기관이 신경과 전문의가 없었으며 30-99명을 진료하는 132개 기관 중 97개 기관이 신경과 전문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신경외과 전문의는 비교적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재활의학과 전문의의 부족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국내·외 전문기관의 성공사례
   (1) 일본 국립순환기센터 
 일본에서의 사망의 28%을 차지하는 심·뇌혈관질환에 관한 첨단적인 치료와 연구를 추진하기 위하여 1977년에 오사카부 수이타(Suita)시에 설립된 최첨단 진료 및 연구중심 병원이다.
 병원의 기본 임무는 심·뇌혈관질환을 위한 신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확산, 최고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의료 전문가를 훈련시키며, 기초 및 중재, 임상연구를 선도해나가는 것이었다. 이 센터는 640병상의 병원, 100명으로 구성된 연구소, 70명의 행정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서비스는 중환자실, 심혈관집중치료실, 심장소아집중치료실, 뇌졸중집중치료실, 신경외과집중치료실, 신생아집중치료실, 응급집중치료실 등이 있으며 심장이식, 혈관재생치료 등 최첨단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연구 역시 기초, 중재, 임상연구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학협동을 통해 인공 폐 등을 개발하는 성과도 올렸으며, 그간 연구자들의 헌신으로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었다. 국립순환기센터는 주로 일본 최고의 순환기질환 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이자 심·뇌혈관질환 관련 최첨단의 연구를 수행하는 곳이지만, 타 기관과의 연계나 보건사업프로그램의 운영은 그리 활발하지 않았다.
   (2) 캐나다 온타리오의 심장치료네트워크
 캐나다 온타리오의 심장치료네트워크(Cardiac Care Network ; 이하 CCN)는 1980년대 말 온타리오의 의료체계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출발하였다. 당시 이슈가 됐던 문제는 심장수술을 기다리는 도중에 환자가 사망하고 검사나 치료에 있어 너무 오래 기다려야 하는 불편 등이었고, 이러한 불편에 대한 시민들 사이의 불만이 팽배하였다. 온타리오 주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심장전문의, 시민단체 등과 협력하여 CCN를 출범시켰다. CCN의 핵심은 전문가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활동으로는 환자들의 위급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병원간 기다리는 환자의 수나 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환자들이 오래 기다리지 않게 하며,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서비스를 신속하게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위급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를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수술이나 시술해야 할 환자들을 발견하고 치료하는 방식은 매우 효과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3) 뇌졸중집중치료서비스에 대한 선진국 동향 및 모델
 뇌졸중집중치료는 특화된 팀과 병동으로 운영할 경우 가장 효과적이며, 기존의 일반병동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다 사망 혹은 타인의존율을 22%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용-효과 측면에서도 기존의 치료법보다 입원일수를 늘리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7]. 뇌졸중에 대한 집중치료서비스를 받은 환자의 비율은 스칸디나비아가 80%, 영국 50%, 캐나다 31%이며, 일본은 급성기 병원 중 3%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 유럽에서는 stroke unit의 병동개념으로 운영중이며, 미국은 뇌졸중센터(stroke center)의 개념을 활용하고 있어 뇌수술 및 혈관수술이 필요한 환자 등 다루는 환자의 범위가 더 넓으며, 또한 주변 지역병원과의 연계 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4) 국립암센터
 우리나라의 국립암센터는 연구, 진료, 암 관리를 통합적으로 시행하는 곳이다. 국립암센터의  성장동인은 전문가들간 기관의 필요성에 대한 합의, 전문가 리더십, 금연운동을 등을 통한 대외 이미지 제고 등이었다. 주요 성과는 국민들에게 ‘암도 치료가 가능하다’라는 인식을 심어준 것과 조기 암검진 프로그램을 정착시켰다는 데 있다. 또한 일반인들을 위한 검증되고 과학적인 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각각의 임상전문의와 협의하여 전문성과 적시성을 높였다. 또한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를 위해 임상진료의사들의 상당수를 연구와 겸임토록 함으로써 연구와 진료의 시너지 효과를 가지며 이것이 국립암센터의 주요 장점이다.


 3) 센터 중심의 관리체계 정책방안
   (1) 정책 목표
 현 의료체계 하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증 및 급성 뇌졸중에 대한 3차 예방이 가능한 지점들을 놓치고 있다. 따라서 센터중심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 구축 등 중장기 정책 목표 설정을 통한 정부의 정책적 개입이 매우 필요하다. 향후 단기적(5년 이내)으로는  심ㆍ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치명률과 합병증 발병률 및 후유장애의 전체적인 감소에 초점을 두고, 중장기적(10년 이내)으로 심ㆍ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 및 발생률의 전체적인 감소와 이 지표의 지역 및 계층간 격차 감소에 목표를 두는 것을 제안한다.
   (2)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기반역량 강화 방향
 센터 중심의 심ㆍ뇌혈관질환 관리체계가 담아내야 할 기반 역량 강화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뇌혈관질환 관리를 기획, 조정, 관리해 나갈 정책부서 및 기술지원단의 설치가 필요하다. 둘째, 환자의 질 관리 및 임상진료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감시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병원 전 단계에서는 대국민 교육 및 홍보가 강화되어야 하며, 적절한 전문기관으로 후송할 수 있도록 응급후송체계가 개편되어야 한다. 또한 의료기관 간 질 및 진료과정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임상진료가이드라인 개발 및 적용 확대와 함께 의료인들을 위한 근거 중심의 정보 제공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행되어야 한다. 정부의 역할을 예산 지원에 국한할 것인지, 영국의 경우처럼 정부관련 기관이 주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현실에 비추어 볼 때 향후 추가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넷째, 심·뇌혈관질환의 기초, 중개, 임상연구 활성화를 위해 연구개발에 대한 비전과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관련 국가연구기관의 인력 및 조직이 강화되도록 충분한 예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3) 센터 중심의 심‥뇌혈관질환 관리체계도
  a. 센터 중심의 관리체계도
  중앙단위조직으로는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원, 중앙임상연구중심병원이 위치하고 광역단위로는 관리권역센터와 진료권역센터로 구분하며, 기초단위에는 지역센터를 둔다. 이러한 구분보다 정책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과 진료시스템으로 구분하자는 의견도 있었다.
  b. 중앙단위 조직 및 기능
  심·뇌혈관질환의 1차, 2차, 3차 예방의 혁신적 강화를 위한 가칭 「심·뇌혈관질환 정복을 위한 10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내용과 로드맵, 기금확보방안을 담고 이를 범정부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법 등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c. 각 센터의 기능 및 요건

 

  d. 정부와 심·뇌혈관센터와의 관계
  정부와 센터간의 관계는 성과에 기초한 계약방식으로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계약은 1년마다 갱신하며, 정부는 각 센터수준별로 현행 수가수준에서 전문가들이 합의한 표준적인 구조(인력, 시설 및 장비) 및 과정(진료성과, 운영체계)의 기준을 제시한다. 진료 외 기능으로는 환자등록(권역, 지역), 임상진료지침개발참여(권역), 지역사회교육참여(지역)와 관련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킬 경우 정부는 진료외 기능에 전액비용보조 및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인센티브로는 운영비의 일부를 보조한다.
   (4) 구축전략
  a. 심혈관센터
  심혈관센터는 PCI5)와 CABG의 시술 건수를 고려할 때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충분하므로 시행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다만 심장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수가 책정이 미흡하고 심장재활서비스 전달체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대한 정부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
  b. 뇌졸중센터
  뇌졸중센터에서 핵심은 뇌졸중집중치료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현재는 stroke unit를 개설할 경우 중환자실 수가를 적용받고 있으나 이 정도의 수가수준이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큰 수준인가에 대한 분석이 아직 안 되어 있다. 따라서 stroke unit의 확산을 위해서는 수가의 적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략이 가능하다. 첫째, 현재 수가수준에서 인증제를 도입하여 참여기관을 늘리고 성과를 통해 수가책정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두 번째는 시범사업을 통하여 합리적인 수가를 책정하고 이를 건강보험 급여정책에 반영하는 것이다.
  c. 지원기능의 강화
  각종 정책 및 기술지원부서, 심·뇌혈관센터의 설치 및 운영을 명시한 심·뇌혈관질환 관리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이에 소요되는 비용은 3차 예방사업의 측면에서 건강증진기금의 재원 조달이 가능할 것이며, 농어촌지역에 지역센터 시설, 장비 및 기능보강과 관련해서는 지역균형예산이나 농특예산에서 조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부담을 덜어 주는 측면에서 건강보험재정에서 일부 충당도 가능할 것이다.

                                          
 1) 본 연구진이 ‘정은경 등. 순환기질환 등 주요만성질환 국가중점관리를 위한 중장기 전략목표 수립 및 사업체계 개발.
    보건복지부. 2004’에서 제시한 뇌졸중 발생율을 통계청의 인구추계에 기반하여 추계한 것임
 2)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은 개심술(open heart surgery)을 하지 않고 가이드
    와이어로 고동맥(femoral artery)에서 시작하여 막히거나 좁아진 관상동맥 혈관의 병소부위에 접근하여 혈관을 확장해
    주거나 뚫어주는 기법
 3) PCA (Patient - Controlled Analgesia; 자가무통조절기)는 주로 수술 후 환자의 통증을 완화하거나 만성 적인 통증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자가 통증조절기임
 4) CABG(coronary Artery Bypass Graft, 관상동맥우회로술)는 PCA가 불가능할 정도로 관상동맥의 병소부위가 넓고 심할 때
    개심(open heart)하여 환자의 다른 동맥의 일부는 심장의 병소 부위에 이식하여 혈액이 흐르도록 하는 기법
 5) PCI(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


 

Ⅲ. 맺음말

 이 연구에서는 심ㆍ뇌혈관질환의 3차 예방 및 관리에 초점을 두어 정부가 주도하고 지원하는 센터중심의 관리체계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민간병원이 압도적으로 많은 우리나라 현실에서는 정부가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질 향상 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보다 민간부문이 심·뇌혈관질환 관리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정책수단 마련이 더 현실적일 수 있다는 이견도 있었다.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의 혁신적 업그레이드를 위한 민간과 공공부문의 역할 분담에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다. 현 단계에서 암관리정책이나 국립암센터의 선례를 볼 때 범정부차원의 지속적이고 일관된 추진의지와 예산지원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통계청. 2005년 사망원인 통계결과. 2006
 2. 정은경 등. 순환기질환 등 주요만성질환 국가중점관리를 위한 중장기 전략목표 수립 및 사업체계개발. 보건복지부. 2004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보건복지부. 2002
 4.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허혈성심장질환(관상동맥)질환 급여적정성 평가결과. 2005
 5. 유경호 등. 한국뇌졸중 자료은행에 등록된 10,811명의 급성기 허혈성뇌졸중 환자분석: 병원기반 다의료기관 전향적 자료등록연구. J
     Korean Neurol Assoc 2006:24;535-543
 6.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뇌졸중 급여적정성예비평가. 2005
 7. Organized inpatient(stroke unit) care for stroke의 Cochrane review, Cochrane Library 홈페이지: http://www.chochrane.org/reviews
 8. Bo N, Robert JA. Organized Stroke Care. Stroke 2006:37;326-328

* 본 원고는 2007년 질병관리본부 용역보고서 「심·뇌혈관질환 정복을 위한 센터중심의 모형관리 연구」를 요약 정리한 것입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