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간행물·통계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지역사회건강조사 기반의 지역보건사업 지원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제시: 비만사업을 중심으로
  • 작성일2017-01-19
  • 최종수정일2021-04-15
  • 담당부서만성질환관리과
  • 연락처043-719-7380
지역사회건강조사 기반의 지역보건사업 지원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방안 제시: 비만사업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강성홍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만성질환관리과
강양화, 최형윤, 김영택*
*교신저자: ruyoung@korea.kr, 043-719-7380

Abstract

A Program Development and Proposal for an Application Method Supporting
Community Health Service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Inje University
Kang Seong-hong
Division of Chronic Disease Control,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CDC
Kang Yang-hwa, Choi Hyeong-yun, Kim Yeong-tae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hat supports Community Health Service and to suggest an application method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data accumulated for seven years (2008-2014). At the first stage, we constructed an integrated community health indicator database (DB). We analyzed the DB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 in the next stage. Based on the results, we developed a program that can be used easily.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e availability of the integrated community health indicator DB on adopting various regional health planning programs. An effective health planning program is needed in the annually updated and managed DB system. Moreover, there is a need for a methodology of accessing and analyzing the regional health data using the integrated community health indicator DB.


연구배경 및 목적

지역사회건강조사의 비전은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지역보건사업 수행 기반 마련”으로 단순히 각 지역별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확인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산된 지표를 통해 지역보건사업을 개발하고 향후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비전으로 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 다년간 축적된 전국 시군구 단위의 체계적이며 신뢰성 있는 자료이다[1]. 그러나 기존의 단면적인 분석방안 및 결과로는 지역별 보건사업 계획 수립 및 평가에 한계가 있으므로 지역사회건강조사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년간 자료를 통합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석과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로 첫째는 다양한 자료원에서 산출되는 지역사회 보건지표 통합 DB의 구축, 둘째로 구축된 DB의 체계적인 분석, 셋째는 DB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제 지역보건사업 구성에 적용해 봄으로써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국내·외의 지역사회보건지표 DB 구축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활용 사례, 나아가 최신 정보기술을 이용한 지역보건사업 선정 방법론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집 가능한 지역사회 보건지표를 조사하고 지역사회보건 사업 담당자 및 관련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건지표를 선정하여 시군구 단위 지역사회 보건지표 통합DB를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구축된 DB를 사용하여 지역별로 특정 건강행태의 차이가 발생하는지에 대한 요인 분석을 위해 공간적 특성을 반영한 형태의 분석 기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GWR 모형 설정 시, 지리적 가중치 부여를 위한 커널함수의 유형은 조사대상 지역에서의 관측값들이 불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가정하여 분포가 조밀한 곳에서는 커널이 작아지고 산발적인 곳에서는 커지도록 해 어느 위치에서나 동일한 관측치 수들이 포함되도록 대역폭(bandwidth)을 설정하는 가변방식(adaptive spatial kernal)을 사용하였으며, 적정 대역폭 설정에 있어서는 AIC(Akaike information criterion)값을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는 2014년도 기준의 지역사회 보건지표 DB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예방의학 전문가들이 설정해 놓은 변수를 중심으로 하였다[2]. 비만에 대해서 지역별 변이요인을 GWR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후, GWR의 지역별 회귀모형에 근거하여 각 보건소에서 비만사업의 효과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비만에 관련된 사업의 수치를 변화시키면 지역별 비만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 수 있는 형태로 개발 하였다. 실제 지역보건사업에 활용하기 위해 지역사회건강조사 지역 1개 대상을 선정(경남지역 A시 보건소)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실제 값을 입력한 후 변화율을 예측하였다.


연구결과

1. 지역사회 보건 DB구축


현재 지역사회 보건 DB로 구축이 가능한 5,174개 항목 중 문헌고찰 및 연구진 간 협의를 통해 471개 지표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은 외국의 보건지표(미국[3], 유럽연합[4], 영국[5], 캐나다[6] 등)와 국내 보건 사업계획에 활용된 지표 검토 우리나라 보건사업별 세부사업 및 7개 보건소(김해시, 경주시, 양산시, 울산시, 창원시, 마산시, 진해시)의 보건소 사업계획에 활용되고 있는 지표를 검토함
, 각 자료원간의 조합을 통한 일부 지표 생성 등으로서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2. 지역별 주요 건강행태의 변이 요인 분석

1) 지리적 가중회귀분석


구축된 DB의 5개 주요 건강행태(남자흡연율, 고위험음주율, 비만율(자기기입식), 걷기실천율, 아침결식 예방률) 지표 중 비만율 지표를 대상으로 지역별 변이요인에 대해서 지리적 가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만에 영향을 끼치는 유의한 변수는 현재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사회보장비중, 인구천명당체육시설수, 현재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 걷기 실천율,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로 나타났다. 현재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현재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높을수록 비만율이 높았으며 사회보장비중(복지예산)이 높을수록 비만율은 낮게 나타났다. 한편, 인구 천명당 체육시설수와 걷기 실천율 및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의 경우, 높을수록 비만율이 높은 지역이 있는 반면 낮은 지역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다. 중앙값 기준으로 독립변수가 비만에 영향을 끼치는 관련성은 보건학적으로도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Table 1).

2) 엑셀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지리적 가중회귀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주요 건강행태에 대해서 사업의 효과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중 비만에 관한 프로그램을 예시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Figure 1). 각 보건소 사업 담당자는 개발된 엑셀파일에서 해당되는 보건소를 선택하고 지리적 가중회귀분석 결과에 따라 선정된 비만에 영향을 끼치는 각 요인에 대한 목표치를 설정하여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요인의 변화에 따른 비만율이 계산되어 타당한 근거에 기반하여 보다 쉽게 사업의 효과성을 예측하고 주요 건강행태 개선 목표를 설정하도록 하였다.

3) 개발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적용 A보건소 사례

2014년도의 A시의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2.9%, 사회보장비중(복지예산)은 33.2%, 인구천명당체육시설수는 0.029%, 현재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은 20.9%, 걷기실천율은 35.2%, 중증도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25.9%인데 이 경우 GWR모형에서 A시의 비만율의 예측값은 24.2% 였다. 2014년 값을 기준으로 A시의 예측모형은 기초생활수급자비율, 현재음주자의 고위험음주율을 낮출수록, 걷기실천율, 중증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사회보장비중(복지예산)을 높일수록 예측 비만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보건소 사업 담당자는 비만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각 요인에 대한 목표치를 직접 조정하며 입력하면 이에 따라 시나리오 1,2,3,4 등과 같이 A시의 비만율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Table 2).


결론 및 제언

다년간 축척된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보건지표 통합 DB가 구축됨에 따라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지역사회 보건지표 DB는 지역보건사업의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이를 이용하여 지역사회건강조사를 기반으로 실제 보건사업 계획 및 평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DB를 매년 업데이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하며 DB 및 분석 결과를 통해 구축된 보건사업 지원 도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널리 알리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1. http://chs.kdca.go.kr/chs/index.do
2. 김동현. 2008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한 지역간 건강행태 변이 요인에 관한 연구, 질병관리본부(보고서). 2010
3. http://www.healthindicators.gov/
4. http://ec.europa.eu/health/indicators/indicators/index_en.htm
5. http://fingertips.phe.org.uk/profile/health-profiles/data#page/9/gid/3007000/pat/6/par/E1 2000004/ati/101/are/E07000032/iid/91872/age/1/sex/4
6. http://yourhealthsystem.cihi.ca/epub/search.jspa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