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사용자별 맞춤메뉴

자주찾는 메뉴

추가하기
닫기

민원·정보공개

contents area

detail content area

공무국외여행보고서(아시아태평양 지역 리더 말라리아 연맹 참가와 호주 국립보건 및 의료연구 심의회 방문)
  • 작성일2014-07-24
  • 최종수정일2014-09-12
  • 담당부서말라리아·기생충과
  • 연락처043-719-8525
1. 목적 : 말라리아 약제(알테미시닌 및 복합제재)의 질과 기타 기술의 접근성 향상(Access to Quality Medicines and Other Technologies Task Force, AQMTF)을 위한 국가별 말라리아 전문가 회의임

2. 수집정보
   가. 아시아태평양 지역 말라리아 발생 국가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말라리아 약제 내성 관련 현황
   나. 호주 NHMRC의 조직, 예산 및 기능, 역할 관련 자료

3. 시사점 및 특이사항 
   회의결과 
   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알테미시닌 내성 방지에 대해 중요성과 내성 방지 필요성에 대한 국가별 차별화되고 최적화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구체적인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에 동의함
   나. 특히 아시아태평양 고위험지역(인도, 캄보디아, 베트남, 라오스 등)을 대상으로 알테미시닌을 포함한 말라리아 약제 내성 현황을 지속적으로 감시, 조사 및 연구할 필요가 있음
   다. 우리나라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삼일열 말라리아에 대하여는 말라리아 약제 내성이 보고된 바 없으나, 향후 과학적 근거 확보를 위해 말라리아 약제 내성 감시 및 조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라. 우리나라는 알테미시닌 약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현재 내성 관련 보고가 없으므로, 단일 제재 사용시 내성 발생에 대한 주의깊은 관심이 요구됨. 또한 현재 매년 발간되는 말라리아 지침에 알테미시닌 단일제재 사용과 내성에 대해 일부 수록되어 있으나 약재내성 말라리아 유행지역에서 감염되어 유입되는 환자관리를 위해서는 ‘복합제제 사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마. 우리나라 ODA 사업 대상국인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등의 말라리아 보건사업 지원시 WHO 등 약제내성관련 프로그램과 정책에 대한 공유가 필요함
   호주 국립보건 및 의학연구 심의 기구(NHMRC) 방문 결과
   가. NHMRC는 2009년 보건복지부에서 독립적인 agency로 분리되었고, 보건복지부와 정책적 연계성을 가지고, 200명 이상의 정규 직원에 의하여 3년 단위의 계획에 의거하여 전략적 투자와 성과관리를 수행하고 있음
   나. 연구 예산 지원 부분에 있어서는 주로 3~5년 동안 중기 지원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과제가 끝난 후 결과 평가를 통해 향후 지원 지속 여부를 판단하고 있음
   다. 우리나라는 ‘보건의료 연구 생산성 위기’가 제기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분절적인 보건의료 R&D의 기획과 관리’, 즉 거버넌스의 취약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음. 호주의 예에서 우리나라도 좀더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인력에 의해서 국가의 다양한 정책고객, 학계, 산업계가 참여하는 체계적인 국가 연구기획이 이루어져야 하며, 연구성과 관리는 개별 과제의 성과관리에서 연구비 투자 대비 분야별 성과관리와 outcome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됨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TOP